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e of loanwords in Korean language teaching materials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based on the history of acceptance of foreign words and orthographic transition process, and suggested a proper foreign word te...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e of loanwords in Korean language teaching materials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based on the history of acceptance of foreign words and orthographic transition process, and suggested a proper foreign word teaching plan to carry out effectively in Korean language class.
With the rising interest in Korea language today, lots of researche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targeted at foreigners or overseas Koreans who are anxious to learn Korean, are being conducted in various ways. In spite of a variety of researche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however, there is still lack of researches on loanwords problems that foreigners face, learning Korean.
For this study, firstly, Chapter 2 arranged discussions on classification of loanwords, borrowed words and loanwords in order to identify concepts of loanwords, and considered the history of acceptance of loanwords in Korean language. Based on acceptance aspects of loanwords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al history, acceptance aspects of loanwords in modern enlightenment period, Japanese colonial era, post-independent era and after the 1990s were analyzed. Then, circumstances of and social atmospheres of each age were analyzed to see how loanwords were accepted. Lastly, acceptance patterns of loanwords and their settlement aspects were investigated more concretely, through textbooks or literatures representing each age.
Chapter 3 divided the history of loanwords orthography into pre-standard enactment and post-standard enactment to investigate its meanings. Then, it was analyzed how the current <Loanwords Orthography>(1986) has been modified and supplemented, and problems when the linguistic public follow the loanwords orthography were considered. In addition, modification and complementation methods of these problems were devised to prevent what foreign learners feel confused in learning Korean.
Chapter 4 considered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the early discussions, the necessity for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mentioned and then, acceptance aspects of loanwords in Korean language teaching materials during modern enlightenment age, Japanese colonial era, post-independence era and after the 1990s were examined. Plus, meanings of loanwords accepted were considered through analysis of loanwords includ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published during each age.
It is worth while exploring the history of acceptance of loanwords, since it can be interpreted that foreign word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imply that those accepted from other languages during each age have established as Korean words. In order to analyze properties of loanwords used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fter the 1990s, 6 kind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30 books) used at domestic universities and institutes were selected to analyze loanwords included in them, according to grade and frequency. Then, loanwords written in sample questions from the previous TOPIK tes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grade, and the real state of loanwords was examined. In addition, 71 kinds of Korean language teaching materials published from modern enlightenment age to the recent times were analyzed to se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loanwords and their types.
Lastly, Chapter 5 organized conclusions of this study and proposed tasks what further researches have to handle constantly, in the future.
이 연구는 외래어 수용의 역사와 표기법 변천 과정을 바탕으로 한국어 교재에 실린 외래어 현황과 교수·학습 방법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통해 한국어 수업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
이 연구는 외래어 수용의 역사와 표기법 변천 과정을 바탕으로 한국어 교재에 실린 외래어 현황과 교수·학습 방법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통해 한국어 수업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외래어 수업 방향을 제시해 보았다.
오늘날 한국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한국어를 학습하려는 외국인 학습자나 재외 동포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도 다양한 방법의 한국어 교육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짐에도 불구하고 외국인이 한국어를 학습할 때 겪는 외래어 문제에 대한 연구 성과는 높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먼저 2장에서 외래어의 개념을 살펴보기 위해 외국어와 들온말, 차용어와의 구분에 대한 논의를 정리하였다. 그리고 외래어가 우리말에 수용된 역사를 살펴보았다. 시기 구분은 외래어의 수용 양상이나 한국어 교육사를 기준으로 하여 근대 계몽기, 일제 강점기, 광복 이후, 1990년대 이후로 나누었다. 시기마다 시대적 상황을 알아보고 외래어가 어떤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어떻게 수용되었는지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각 시기의 교과서나 그 시기를 대표할 만한 문헌을 선정하여 외래어 수용과 정착 상황을 좀 더 구체적으로 알아보았다.
3장에서는 외래어 표기법의 의미 규명을 하기 위해 외래어 표기법의 역사를 규범 제정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리고 현행 <외래어 표기법>(1986)이 어떤 과정에서 수정·보완되어 제정되었는지와 언중들이 외래어 표기법대로 사용했을 때 나타나는 문제점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그리고 이런 문제점을 어떻게 수정·보완해야 외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학습할 때 혼란을 겪지 않을지 모색해 보았다.
4장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의 외래어 교육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먼저 앞선 논의를 통해 한국어 교육에서 외래어 교육의 필요성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한국어 교재에서의 외래어 현황을 근대 계몽기, 일제 강점기, 광복 이후, 1990년대 이후 네시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리고 각 시기에 편찬된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외래어를 분석함으로써 각 시기에 수용된 외래어가 한국어 교육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를 알아보았다.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외래어는 그 시기의 다른 언어에서 수용된 외국어가 한국어로 정착된 상태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기 때문에 외래어 수용 역사를 살펴보는 데에 가치가 있다. 1990년 대 이후의 한국어 교육에서 사용된 외래어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서 현재 국내 대학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한국어 교재 6종(30권)을 선별하여 교재에 나타난 외래어를 등급별·빈도수별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TOPIK 기출문제에 나타난 외래어를 등급별로 분석하여 외래어 현황을 알아보았다. 또한 한국어 교재에 실린 외래어 교수·학습 방법과 외래어 유형을 확인하기 위해서 근대 계몽기부터 최근까지의 한국어 교재 71종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이 논문의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하고, 이 연구에 이어 지속적으로 해나가야 할 과제를 제기하였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