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th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introduction speed of foreign language words has got more and more rapid. The foreign language words should be naturally introduced through cultural and linguistic exchan...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introduction speed of foreign language words has got more and more rapid. The foreign language words should be naturally introduced through cultural and linguistic exchange with other nations, but our language system has been seriously polluted by forcible introduction through Japanese coercive occupation, and still in some specialized area, Japanese-line words used like Korean, which is very serious.
This article set its goal to grasp use status of 416 construction site terms emerging at 'our right construction terms handbook' issued by the Korea Construction Group Association' by age, school career, job career, and position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and explore their use frequency and use awareness, and seek Korean purification. The subject were total 186, the construction site workers residing in Jecheon, Choongbuk, Seoul, Incheon and Weonjoo, Gangweon, whose use status was explored.
Above all, the construction site terms were categorized to four at large, where the use status of Japanese-line words and purified Korean was addressed. The findings showed that in Japanese-line words, gakumok(square wooden club), narashi(choosing) etc., in purified Korean, nail(gugi), dimension(seunpo) etc., and in the use of both countries' language, gakumok(square wooden club), bansen(thick iron wire) etc., and in the non-use of both countries' language, ginchoki(fastener), gennawa(kanja) etc. were highly used.
And the next findings of taking and analyzing 30 common words showed that the older the age was, the more noticeably increased the use of Japanese-line words, and in those in their 60s, the use of Korean was remarkably reduced, and in those in their 50s and 60s, the use of both countries' language was the most remarkable.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school career. but the higher their school career, the higher the use frequency of our language was, and the older their job career, the more remarkable the use of both countries' language, and the higher their position, the higher the use frequency of Japanese-line words and that of both countries' language. This is thought to be derived from that the higher their age, job career, and position, the more they know many words, so they use all these two words on work instructions.
Finally, looking at the perception of purified Korean, over a majority(66.1%) responded that they have never heard about 「our right construction terms handbook」, 41.9% responded that they have used purified Korean to some degree, and 39.2% responded to the reason for not using purified Korean they have trouble correcting it habitually since. And for the need of purification of our Korean, 43.0% responded 'essentially required', and 30.6% 'some required', which was found that language habit on the construction site has an effect on the need of purification. The learning route of Japanese-line words was 'on the construction site(workplace)' as 84.4%(the highest), and 'through the site education' for the purification of our language words as 70.4%, relatively high.
As considered above, given that used words by age, career, and posi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nd most people sympathized with the view that our language purification should be the site education, and Japanese-line words are mostly learned at the construction site(workplace), a constant purification education on the site is thought to be the most effective.
In the end, this study can be significant in that its range was limited to Japanese-line words used at the construction site, but fragmentarily analyzed and explored the use frequency of Japanese-line words and purified Korean, grasped the status and the use awareness, by which to seek purification of Korean.
과학과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외래어의 유입속도는 더욱 빨라지고 있다. 외래어는 다른 민족과의 문화적·언어적 교섭을 통해 자연스럽게 유입되어야 하지만, 일제 강점기를 거친 강제적 ...
과학과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외래어의 유입속도는 더욱 빨라지고 있다. 외래어는 다른 민족과의 문화적·언어적 교섭을 통해 자연스럽게 유입되어야 하지만, 일제 강점기를 거친 강제적 유입으로 인해 우리말의 언어체계는 심각하게 오염되어 왔으며 아직도 전문 분야에서는 일본어계 어휘가 마치 한국어인양 사용되고 있어 그 문제가 심각하다.
본 논문의 목적은 건설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일본어계 어휘를 대한건설단체총연합회가 발행한‘올바른 우리말 건설용어집’에 나온 416개 건설현장용어로 한정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연령·학력·경력·직급별로 사용실태를 파악하여 사용빈도 및 사용의식을 알아봄으로써 국어순화를 도모하고자 하는데 있다. 설문 인원은 총 186명으로 충북 제천, 서울과 인천 및 강원도 원주 지역에 거주하는 건설현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사용실태를 알아보았다.
먼저, 건설현장용어를 크게 4가지로 분류하여 일본어계 어휘 및 순화한 우리말의 사용실태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일본어계 어휘의 사용은 가쿠목(각목), 나라시(고르기)등이, 순화한 우리말의 사용은 못(구기), 치수(슨포)등이, 양국어의 사용은 가쿠목(각목), 반센(굵은 철선)등이, 둘 다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긴초키(죄개), 겐나와(칸자)등으로 사용 빈도가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30개의 공통어휘를 추출하여 분석한 결과,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일본어계 어휘의 사용이 눈에 띄게 증가하였으며, 60대에서는 우리말 사용이 현저히 감소하였고, 50~60대에서는 양국어의 사용이 가장 두드러졌다. 학력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학력이 높아질수록 순화한 우리말 사용빈도가 높게 나타났고, 경력이 오래될수록 양국어의 사용이 두드러지는 경향을 보여 주었으며, 직급이 높아질수록 일본어계 어휘의 사용뿐만 아니라 양국어의 사용 또한 높은 빈도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연령, 경력, 직급이 높아질수록 현장 경력이 쌓이고 많은 용어를 알고 있어 작업지시상 두 어휘 모두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순화한 우리말 인식에 대해 살펴보면, 과반수이상(66.1%)이「올바른 우리말 건설용어집」에 대해 들어본 적이 없다고 응답했고, 순화한 우리말의 사용정도에 대해서는 조금 있다(41.9%)는 의견이, 순화한 우리말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로는 습관적 사용으로 고치기 힘들다는 의견(39.2%)이 가장 높았다. 또한 우리말 순화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반드시 필요하다’가 전체의 43.0%, ‘조금 필요하다’가 30.6%로 건설현장에서의 언어습관이 순화의 필요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일본어계 어휘의 습득경로는‘건설 현장(직장)에서’가 84.4%로 가장 높았고, 우리말 용어 순화를 위해서 ‘현장 교육을 통해서’가 전체의 70.4%로 높은 빈도를 보여 주었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이, 연령 및 경력, 직급에 따라 사용하는 어휘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우리말 순화를 위해 현장교육을 통해야 한다는 의견에 대다수의 사람이 공감하고 있고, 일본어계 어휘도 건설 현장(직장)에서 습득하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인 것을 고려한다면 현장에서의 지속적인 순화 교육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
끝으로 본고는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일본어계 어휘에 한정하였지만, 단편적으로나마 건설현장에서의 일본어계 어휘 및 순화한 우리말의 사용 빈도를 분석해 그 실태를 파악하고 사용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국어 순화를 도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