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의 목적은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한 발음 교육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는데 있다. 지금까지의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는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는 다양한 언어권의 학습자로 이루어져 ...
본 논문의 목적은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한 발음 교육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는데 있다. 지금까지의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는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는 다양한 언어권의 학습자로 이루어져 있는데 반해, 특정 언어권에 한하여 이루어져 왔다. 이에 언어권별 발음 교육 연구의 필요성을 느껴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한 발음 교육을 위한 기초를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음운 체계를 대조하였다.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자음과 모음, 음절 구조를 각각 살펴보고 대조 분석을 함으로써, 학습자들이 보일 수 있는 발음 오류들을 예측하였다. 대조는 한국어와 베트남어에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음운, 한국어에만 존재하는 음운, 베트남어에만 존재하는 음운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초분절음소인 음장은 더 이상 변별적 의미를 가지지 않으므로 논의에서 제외시켰다. 대조 분석의 결과 학습자들이 자주 오류를 일으킬 것이라고 예측한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의 자음은 평음:경음:격음의 삼지적 대립 관계이지만 베트남어는 유성:무성의 이지적 대립 관계이다. 평음:경음:격음의 대립에 관한 정보가 없기 때문에 평음, 경음, 격음의 구별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다.
둘째, 한국어의 평음과 비슷한 음가를 지닌 베트남어는 유성음이다. /b/나 /đ/가 그 예인데 이 음들은 연음이라는 점에서 평음과 비슷하고 무기라는 점에서 경음과 비슷하다. 이 음들은 평음과 경음의 자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평음과 경음의 인지나 생성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다.
셋째, 한국어의 파찰음 /ㅈ, ㅉ, ㅊ/는 베트남어의 발음 방법에 존재하지 않는다. 유사한 발음이 존재하기는 하지만 발음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다.
넷째, 한국어의 /ㅅ/는 베트남어에서 비슷한 음가로도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학습자들이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다섯째, /ㅏ/와/ /ㅓ/, /ㅓ/와 /ㅗ/, /ㅗ/와 /ㅜ/, /ㅡ/와 /ㅜ/는 모음 체계 내의 인접성으로 인해 구별을 어려워 할 것이다.
여섯째, 한국어의 /ㄹ/는 외래어를 제외하고는 음절 초에 올 수 없고 음절 말에만 올 수 있다. 그러나 한국어의 /ㄹ/와 같은 음가를 지닌 /l/는 음절 초에는 올 수 있지만 음절 말에는 올 수 없다. 이러한 음절 구조의 제약으로 인해 학습자들은 음절 말의 'ㄹ' 발음을 어려워 할 것이다.
3장에서는 음운 현상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여기에서 다루어진 음운 현상은 발음 교재인 고려대 한국어문화연수부의 「표준 한국어 발음」과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의 「한국어 발음」에서 다루고 있는 음운 현상만으로 범위를 제한하였다. 음운 현상의 제시 순서는 이상억(1990)에서 제시한 빈도수에 따라 배열하였다. 음운 현상도 베트남어의 음운 현상과의 대조 작업이 필요하지만, 베트남어의 음소들은 제 음가대로만 소리나기 때문에 음운 현상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음운 현상을 학습할 때 모어의 간섭 현상이 일어날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4장의 발음 조사에서 조사 대상자를 음운 현상을 학습하지 않은 학습자군과 음운 현상을 학습한 학습자군으로 나누어 조사였다.
4장에서는 실제 교육 현장에서 나타나는 오류와 대조 분석에서 예측한 오류가 일치하지 않는다는 약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한국어를 배우고 있는 베트남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발음을 조사하였다. 2장과 3장에서 분석한 대조 분석을 결과를 바탕으로 발음 조사지를 작성하여 초급 학습자군과 중급 이상 학습자군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평음, 경음, 격음의 구별을 잘 하지 못하였으며 경음을 격음으로 발음하는 오류를 가장 많이 보였다. 도, 경음과 평음을 잘 구분하지 못하는 오류도 많았다. 파찰음 /ㅈ, ㅉ, ㅊ/의 발음 인지와 발음 생성이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 음절말 'ㄹ'의 인지는 잘 이루어졌으나 발음 생성률은 현저하게 낮았다. 음운 현상도 모어의 간섭으로 인해 표기대로 발음하려는 경향이 강하였다. 그러나 대조 분석의 예측과 달리 /ㅅ/와 모음은 발음 인지는 물론 생성도 잘 이루어졌다.
5장에서는 본고에서 다루지 못한 발음 교육 방안과 억양 대조를 과제로 남기고 2장, 3장, 4장에서 다룬 내용을 요약 · 정리하며 마무리 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