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결혼이민자의 건강상태 및 생활만족도 : 2015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결혼이민의 건강상태와 생활만족도를 파악하고,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15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를 활용한 이차...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결혼이민자의 건강상태와 생활만족도를 파악하고,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15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를 활용한 이차자료 분석 연구이며, 연구의 대상자는 한국 거주기간이 6년 미만이고 기혼이며 국적 미취득 상태로 F-6(결혼 이민) 체류자격이 있는 베트남, 중국, 중국(한국계), 필리핀, 캄보디아 출신의 여성 37,773명이다. 원자료의 자료 조사 기간은 2015년 7월 20일에서 2015년 8월 26일까지였다. 2015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의 조사표 문항 중에서 건강상태 2문항과 생활만족도 1문항 및 대상자 특성을 포함한 20문항을 선정하고, SPSS/WIN 23.0을 이용하여 가중치를 적용한 후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및 Scheff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 베트남 출신(54.0%), 25~30세 미만(32.0%), 3~4년 미만 거주기간(24.2%), 거주지역 동(도시지역)(68.2%), 가구월평균소득 200~300만원 미만(39.7%), 고등학교 졸업(43.8%) 유자녀(67.8%)인 여성이 많았다. 2) 대상자의 결혼 및 사회생활 특성으로 5점 만점에 부부관계만족도는 평균 4.09±0.94점, 배우자 지원 중 ‘외국인지원센터 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격려’는 평균 3.93±1.04점 ‘한국인과 잘 어울려 지내도록지지’하는지는 평균 3.96±0.94점, ‘모국인 친구나 이주자 모임에 참여하도록지지’하는지는 평균 3.89±0.97점이었다. ‘가족원이 대상자의 모국어사용을 지지’는 평균 2.91±1.26점, ‘대상자의 한국어 말하기 능력’은 평균 3.05±0.88점이었다. 대상자 중 지난 1년 간 모국인 친구 모임 참여는 62.2%, 지역주민모임 참여 경험은 92.3%가 없었으며 각종 지원서비스 이용경험은 80.4%가 있었고, 사회적으로 차별 경험이 없는 여성은 64.6%이었다. 3) 대상자의 건강상태 중 주관적 건강상태는 5점 만점에 4.08±0.86점, 우울감 경험은 4점 만점에 평균 1.44±0.65점이었다. 대상자의 생활 만족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96±0.92점이었다. 4) 대상자 특성에 따른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일반적 특성(출신국적, 연령, 한국거주기간, 거주지역, 가구월소득, 최종학력, 자녀유무), 결혼 및 사회생활 특성(부부관계만족도, 배우자지원 중 외국인지원센터 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격려, 가족원의 모국어사용지지, 한국어말하기능력, 지역주민모임참여, 각종 지원서비스 이용 경험, 사회적 차별 경험), 건강상태(주관적 건강상태, 우울감 경험)이었으며, 총 설명력은 41.8%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이주 초기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전반적인 건강상태와 함께 정신적 건강상태를 높이기 위한 중재가 필요하다. 특히 출신국, 거주지 및 자녀유무에 따라 우울 정도가 다르므로 대상자 특성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져야 한다. 국가 차원에서 저소득, 저학력의 취약계층에 속하는 대상자들이 위기상황을 이해하여 집중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하며, 부부의 지지를 높이기 위해 여성이민자 대상의 프로그램에 부부가 함께 참여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국가 및 지역사회, 가정의 각 차원에서 여성결혼이주자들과 다문화가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인식을 개선하여 개인이 경험하는 차별이 줄어드는 한편 사회적 관계를 통한 지지가 강화될 수 있도록 다문화 수용적 분위기 마련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influence married female immigrantsʼ life satisfaction. Methods: This study is a retrospective review of the dataset from the 2015 National Multicultural Family Survey in Ko...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influence married female immigrantsʼ life satisfaction. Methods: This study is a retrospective review of the dataset from the 2015 National Multicultural Family Survey in Korea.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 analysis of variance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data of 2,132 married female immigrants. Resul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demographic factors (nationality, age, period of residency in Korea, residential location, monthly family income, education level, and having children), marital and social factors (satisfaction with marital relationship, spousal support: engagement for immigrant women program, family support: allowing women to use their native languag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participation in community meeting, use of social services, and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nd health status factor (perceived health status, experience of depression) were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The regression model was significant and accounted for 41.8% of the variation in life satisfaction.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s that a multitude of aspects must be taken into account when assessing life satisfaction of immigrant women. It is important to pay more attention to immigrant women at greater risk for poor health and with a lower level of life satisfaction.

韩语论文范文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