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differences in idiom comprehension ability between school age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and average-income families. A total of 62 students in second, fourth, and sixth grad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differences in idiom comprehension ability between school age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and average-income families. A total of 62 students in second, fourth, and sixth grade participated in this study: 31 from low-income families and 31 from average-income families. Participants from both groups have been screened for their normal development in vocabulary ability, reading ability, and intellectual ability. Assignments given to students were designed in four types by level of familiarity and transparency idioms used. We presented independent identification and context identification assignments and asked the participants to choose the best answer from three choic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in idiom comprehension ability in response to the presence of context. Students from both groups scored higher in context identification assignment than independent identification assignment in terms of idiom comprehension.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erformance level were greater in independent identification assignments than context identification assignmen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ades. In independent identification assignment, students showed gradual increase in performance as their grades went up. However, in context identification assignments, students in fourth grade performed better than those in second grade. But, performance levels were similar between fourth grade and sixth grade. Second,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showed significantly lower idiom comprehension ability by the level of familiarity. Both groups performed better in familiar assignments than unfamiliar assignments. There were also differences in performance by grades.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erformance score by familiarity level was substantial among students in second and fourth grade. However, difference was not as great between two group students in sixth grade. Difference in performance scores by level of familiarity between the two groups decreased as the grades went up. Third,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showed significantly lower idiom comprehension ability by the level of clearness. Both groups performed better in clear assignments than unclear assignments. There were also differences in performance by grades.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erformance score by clearness level was substantial among students in second and fourth grade. However, difference was not as great between students in sixth grade. Difference in performance scores by level of clearness between the two groups decreased as the grades went up. Fourth, with regards to types of errors made while assessing idiom competency,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independent identification assignments, both group’s literal comprehension error was more frequent than non-context error. In context identification assignments, similar error trend was observed. As a result, students from low-income families showed lower idiom comprehensive ability compared to those from average-income family. Especially at a lower grade, presence of context, level of familiarity, and level of clearness mad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mprehension ability. These results may serve as evidence that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have had less exposure and academic opportunities to learn idioms; it alludes to us that an effective intervention to introduce various figures of speech is necessary for these children at an early age.
본 연구는 학령기 초등학교 2, 4, 6학년 저소득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관용어 이해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2, 4, 6학년에 재학 중인 저소득가정... 본 연구는 학령기 초등학교 2, 4, 6학년 저소득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관용어 이해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2, 4, 6학년에 재학 중인 저소득가정 아동 31명과 일반가정 아동 31명으로 총 62명이었다. 두 집단 모두 수용어휘력이 정상 발달을 보이며, 기초학력검사나 한국어 읽기검사 중 해독 하위검사 결과 읽기 수준이 보통이며, 한국 비언어성 지능검사에서 정상 지능인 아동이었다. 연구의 과제로는 관용어의 친숙도와 투명도에 따라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누었으며, 독립과제와 문맥과제의 형태로 제시해 3개의 보기 가운데 정답을 고르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저소득가정 아동은 일반가정 아동에 비하여 문맥유무에 따른 관용어 이해 능력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 모두 독립과제 보다 문맥과제의 관용어 이해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문맥과제 보다 독립과제에서 저소득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수행력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학년에 따라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립과제에서는 학령기 동안 지속적인 증가추세로 발달하였으나 문맥과제에서는 2학년에서 4학년 간에는 수행력의 차이가 있었으나 4학년과 6학년 간에는 비슷한 수행력을 나타냈다. 둘째, 저소득가정 아동은 일반가정 아동에 비하여 친숙도에 따른 관용어 이해 능력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 모두 비친숙과제 보다 친숙과제의 수행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학년에 따라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집단 간 2, 4학년에서 친숙도에 따른 평균점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나 6학년은 차이의 폭이 크지 않았다. 친숙도에 따른 저소득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학년 간 차이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줄어들었다. 셋째, 저소득가정 아동은 일반가정 아동에 비하여 투명도에 따른 관용어 이해 능력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 모두 불투명과제 보다 투명과제의 수행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학년에 따라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집단 간 2, 4학년에서 투명도에 따른 평균점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나 6학년은 차이의 폭이 크지 않았다. 투명도에 따른 저소득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학년 간 차이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줄어들었다. 넷째, 저소득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은 관용어 이해에서 보이는 오류 유형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두 집단은 독립과제에서 관용적 표현의 문맥무관 오류보다 문자적 오류빈도가 더 높게 나타났고, 문맥과제에도 역시 두 집단 모두 관용적 표현의 문맥무관 오류보다 문자적 오류빈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저소득가정 아동이 일반가정 아동에 비해 관용어 이해에 어려움이 있으며, 특히 저학년 시기에 문맥유무와 친숙도, 투명도에 따라 관용어 이해능력의 차이를 많이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환경적으로 불리한 위치에 있는 저소득가정 아동이 관용어의 노출빈도나 학습 기회가 적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관용어 이해능력이 급격히 발달하는 저학년 시기에 효율적인 비유언어 중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