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재한외국인의 전자정부서비스 수용성 제고에 기여할 수 있는 영향요인을 찾아 이론적 시사점 및 정책 제언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모형은 새로운 정보 기술의 수용... 본 연구의 목적은 재한외국인의 전자정부서비스 수용성 제고에 기여할 수 있는 영향요인을 찾아 이론적 시사점 및 정책 제언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모형은 새로운 정보 기술의 수용을 예측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사용된 기술수용모형(TAM)에 이론적 근거를 두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독립변수로 자기효능감, 이용 경험, 한국어 능력, 시스템 품질, 정보 품질, 서비스 품질, 사회적 영향, 촉진조건을 선정하여 전자정부서비스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그리고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인 수용 사이에서 매개변수로 채택된 용이성 인지도와 유용성 인지도의 효과도 확인하였다. 서울, 인천, 경기도와 대전·충남에 거주하는 재한외국인에게 설문지를 배포 및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를 근거로 회귀분석과 T 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여 연구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용자 개인 특성 요인에서 자기효능감과 이용 경험이 용이성 인지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한국어 능력은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자기효능감과 한국어 능력이 유용성 인지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반면, 이용 경험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둘째, 품질 특성 요인에서 시스템 품질과 서비스 품질이 용이성 인지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정보 품질은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시스템 품질, 정보 품질, 서비스 품질은 유용성 인지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셋째, 이용 환경 특성 요인에서 사회적 영향과 이용 촉진조건 모두 용이성 인지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사회적 영향은 유용성 인지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나 촉진조건은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넷째, 이용 인지 요인인 용이성 인지도와 유용성 인지도 모두 전자정부서비스 수용에 유의한 영향을 주어 기술수용모형(TAM)과 일치하였다. 다섯째, 이용자 개인 특성 요인과 전자정부서비스 수용 간 용이성 인지도와 유용성 인지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용이성 인지도는 자기효능감, 이용 경험과 전자정부서비스 수용사이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용성 인지도는 자기효능감과 전자정부서비스 수용사이에서 매개효과가 있었고, 한국어 능력과 수용 사이에서의 매개효과는 확인할 수 없었다. 여섯째, 품질 요인과 전자정부서비스 수용 간 용이성 인지도와 유용성 인지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용이성 인지도는 시스템 품질, 서비스 품질과 수용 사이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용성 인지도는 모든 품질 변수와 수용사이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일곱째, 이용 환경 특성 요인과 전자정부서비스 수용 간 용이성 인지도와 유용성 인지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용이성 인지도는 사회적 영향, 이용 촉진조건과 수용 사이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용성 인지도는 사회적 환경과 수용사이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여덟째, 분산분석 결과 집단별로 유용성 인지도, 용이성 인지도, 전자정부서비스 수용에 차이를 보였다. 차이분석을 위해 이용 빈도, 사용 목적, 편리하게 생각하는 민원처리수단, 만족도에 따라 집단을 구분하였는데 특히 민원처리수단과 만족도 집단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가 이론적으로 시사하는 바는 수용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세 가지로 분류하여 실제로 실증 분석을 하였고, 분석 결과 사회적 영향에 민감한 재한외국인의 수용 특성을 발견한 것이다. 또한 한국 사회 적응 및 서비스 이용에 필수적인 한국어 능력을 독립변수로 선정하여 분석, 본 연구의 이론적 차별성을 보여주었고, 전자정부서비스 사용 특성에 따라 집단별 차이 분석을 하여 용이성 인지와 유용성 인지도의 차이점, 만족도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재한 외국인의 전자정부서비스 수용성 제고를 위해서 서비스 품질 개선과 정보화 교육이 필요하다. 그리고 전자정부서비스 이용 촉진을 위해 홍보와 지원 조직 등 사회적 여건 마련도 요구된다. 또한 매년 정부가 실시하는 전자정부서비스 실태 조사에 재한외국인도 조사 대상으로 포함된다면 재한 외국인의 정보화와 전자정부서비스 품질 향상은 물론 관련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로 쓰일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