本文以语料库的语料略论为依据,主要对比略论韩语和汉语的人称用语的具体使用上的数据和特点和形态句法上的特点,突出强调... 本文以语料库的语料略论为依据,主要对比略论韩语和汉语的人称用语的具体使用上的数据和特点和形态句法上的特点,突出强调韩语的人称用语除了人称代词之外,还有其它名词形式组成的替代用语。全文内容共分为6个部分。 第一章绪论部分简要地介绍本文研究的目的、必要性和对象,并整理略论了有关韩语和汉语人称代词的论文及观点。然后在此基础上探讨了韩语和汉语人称用语的概念、分类以及不同学者的观点。第二章详细整理了和本文相关的先行研究。先从人称和指示性的角度介绍判定人称用语的理论依据,再具体介绍如何用此理论略论韩语、汉语的人称用语。 第三章采用语料库语言学的研究措施,以语料为依据调查韩语和汉语人称用语的具体使用情况,韩语论文,再对比略论各自语言中的例句。语料库的例句略论结果显示,韩语人称用语不仅有人称代词,还有很大一部分比重是由名词组成的替代用语,即指示冠形词/人物名词、专有名词和普通名词。语料库研究证明了韩语替代用语在实际使用中相当活跃。 第四章探索韩语和汉语人称用语形态和句法上的使用特点。用例句略论的措施,对韩语汉语人称用语在不同功能中的使用情况进行了略论和整理,并从复数形式和尊敬用语的角度考察人称用语的特点和使用上的制约因素,在此过程中进一步揭示韩语和汉语人称用语的共性和不同点。 本文通过具体的例句略论表明,韩语替代用语和人称代词一样可指示三个人称,也可在句子中担任重要的句法功能,也可通过词尾、副词格助词和终结语尾的帮助来表达尊敬。 第五章总结了韩语和汉语人称用语数据统计上的特点和实际使用时形态句法上的特点,并强调了二者的共性和个性,突显了韩语人称替代用语在语法功能上和人称代词相近,在句子意义和指示意义上有差别的特性. 第六章是本文的结论,免费韩语论文,总结了本文的主要略论过程和略论结果。
이 연구는 말뭉치를 이용하여 한국어 인칭 표현과 이에 대응되는 중국어 인칭 표현을 계량적, 형태·통사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인칭 표현의 지시성(deixis)과 인칭(person)의 범주에서 ... 이 연구는 말뭉치를 이용하여 한국어 인칭 표현과 이에 대응되는 중국어 인칭 표현을 계량적, 형태·통사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인칭 표현의 지시성(deixis)과 인칭(person)의 범주에서 입각하여 한국어와 중국어 인칭 표현의 특성을 밝혀내고 이 둘을 대조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일정 규모의 말뭉치에서 용례를 추출하는 계량적인 연구 방법을 택하였으며 두 언어에서 사용되는 인칭 표현의 대조 결과를 효과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대조 결과를 통하여 한국어 인칭 표현의 고유한 특성이 더욱 선명하게 드러날 수 있고, 그와 동시에 중국어에 비하여 가지는 독특한 속성을 지니는 것임을 증명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한국어 인칭 표현의 특성은 국어학적으로는 물론, 대조언어학적으로, 그리고 응용언어학적으로 특히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 인칭 표현을 학습할 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지시성은 구체적 표현으로 지시물을 가리키며 표현과 지시물 간의 관계에 관여하여 사용한다. 인칭의 개념은 인간으로서 세상을 보는 대상이며 인간들이 서로 다른 것을 공유하면서 언어체계 안에서 언어행위를 통하여 자신이 본 내용에 관해 주고받는다. 지시물이 인칭으로서의 대상일 경우에 인칭을 지시하는 표현으로 보며 인칭 표현으로 볼 수 있다. 대표적인 인칭 표현은 인칭대명사라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한국어 인칭 표현 연구에서는 인칭대명사를 인칭에 의한 단순한 분류로 보는 관점, 주어진 상황에서 인칭대명사를 의미, 화용에 의한 사용으로 보는 관점 등이 일반적이었다. 이들 연구는 대다수 대명사 및 대명사의 하위부류인 인칭대명사의 개념, 범주, 구분, 지시성, 대용성 등과 관련된다. 그리고 중국어 인칭대명사와 대조하는 연구에서는 두 언어에서 사용하는 인칭대명사를 각 인칭별로 대조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정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한국어와 중국어 인칭대명사는 그 범주부터 상이하므로 인칭별로 모든 인칭대명사가 일대일로 대응되는 것이 아니다. 이러한 의미에서 인칭대명사를 대조하기 전에, 두 언어의 인칭 범주는 물론 구체적 인칭대명사부터 살펴보아야 한다. 1장에서는 연구 목적, 연구 필요성 및 연구 대상을 명백히 제시하고 선행연구에서 한국어와 중국어 인칭대명사에 대한 논의를 검토해 보았다. 그리고 한·중 인칭 표현에 대해서도 개념, 분류와 학자의 입장까지 고찰하도록 하였다. 2장에서는 본 연구가 진행되는 이론적 배경을 기술한다. 또한 이론적 전제로 하고 있는 지시성, 인칭에 대한 개념적 정의와 함께 다른 학자의 이론도 아울러 살펴보았다. 그리고 지시성과 인칭의 개념을 정리한 뒤 이 두 가지 이론에 입각하여 한국어, 중국어 인칭 표현을 어떻게 살펴보고 있는지에 대해 정리하였다. 즉 지시성을 중심으로 본 한국어와 중국어의 구체적 인칭 표현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이를 토대로 한국어와 중국어 인칭 표현의 구체적인 체계와 양상을 밝혔다. 3장에서는 말뭉치 언어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한국어와 중국어 인칭 표현에 대한 양적인 분포 조사 및 대조에 대해 계량적으로 기술하였다. 인칭 표현을 인칭대명사, 지시관형사(대사) / 사람 명사, 사람 보통명사, 사람 고유명사를 네 가지로 나누어서 각 부류의 구체적 사용 빈도와 비율, 분포를 살펴보고 말뭉치 용례의 양상을 정리해서 얻은 실제적 결과를 대조하였다. 위의 형식들은 인칭대명사의 자리에 나타나 인칭대명사의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에 인칭대명사의 대체 표현으로 보았다. 이를 토대로 한국어와 중국어 인칭 표현 각 부류 간의 계량적 공통점과 차이를 파악하였고 이러한 차이가 한국어 인칭 표현에 어떠한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 인칭 표현을 형태·통사적으로 자세히 살펴보았고 이에 대해 어떠한 구체적인 형태·통사적 특성을 가지는지를 기술하였다. 인칭대명사를 1인칭, 2인칭으로 나누어 각 인칭대명사와 각 인칭의 대체 표현의 수의 표현, 공손 표현에 대해 어떠한 양상을 지니는지, 각 양상의 구체적 특징은 무엇인지, 이러한 특징에 영향을 미치는 형태·통사적 요소로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두 언어 인칭 표현의 형태·통사적 특성을 대조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정리하고 이 대조 결과로 한국어 인칭 표현에만 나타나는 어떠한 구체적 형태·통사적 특성에 대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5장에서는 3장에서 살펴본 한국어와 중국어 인칭 표현의 계량적인 특징과 4장에서 살펴본 형태·통사적 특징을 분석하고 정리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가 한국어 인칭 표현에 어떠한 의의가 있는지 실증적 문법 기술 관점에서 기술하였다. 한·중 인칭 표현을 계량적으로 살펴본 결과, 한국어 인칭 표현이 중국어 인칭 표현보다 사용 빈도가 높고 사용 방식에 있어서도 다양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한국어 대체 표현들이 중국어 대체 표현보다 더욱 빈번하게 사용되면서 문법상 여러 가지 제한을 받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대체 표현들이 텍스트에서 훨씬 다양하게 나타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뿐만 아니라 형태·통사적으로 볼 때 한·중 인칭대명사는 문장에서 여러 가지 문장 기능을 실현할 수 있고 수의 표현, 공손성 표현에서 각각 다른 특징을 가진다. 이에 따라 한·중 대체 표현도 각 언어의 인칭대명사처럼 형태·통사적 특징을 가지게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존 연구에서 주목하지 않았던 한국어 대체 표현이 한국어 인칭대명사와 더불어 중요한 인칭 지시의 표현임을 밝힌 점이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라 하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