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가정 중도입국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재 실태 연구 : 경기도 다문화가정 중도입국학생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ttempt to find out appropriate methods for modifying the education and textbooks of Korean language through the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Korean textbooks for immigrated stud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Th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ttempt to find out appropriate methods for modifying the education and textbooks of Korean language through the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Korean textbooks for immigrated stud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Though studies on Korean education for them has been conducted in various ways so far, there has been few studies on the actual conditions of Korean textbooks for immigrated stud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who have distinct circumstances. This study contains what the Korean textbooks consist of and what direction should be taken for its improvement through the studies on the actual conditions of Korean textbooks for stud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focused on immigrated one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For qualitative research, the questionnaire was designed by intensive interviews with 12 multicultural elementary, secondary school language instructors, special class teachers, and education experts. For quantitative research, the questionnaire was verified with the aid of 212 teachers and Korean instructors who teach immigrated stud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multiculture-centered school, multicultural special classes in Gyeonggi-do Province. In order to find structures of Korean textbooks for immigrated stud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questionnaire was prepared containing 32 questions out of 6 sets, which consist of differentiated classes, practical application, interest, connectivity, evaluation, textbook sources. For the analysis, most widely used Korean textbooks were used such as 『Standard Korean for Elementary Students』(27.8%),『The Guide to Korean Language for Immigrated Students』(10.8%),『The Customized Korean Language』(21.7%), 『The Beautiful First Step to Korean Language』(5.7%),『Hangul School Korean Language』(15.1%). And to find the immigrated students’ conception about Korean textbooks, intensiv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2 multicutural education experts, elementary and secondary principals, and parents and stud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questionnaires were responded to by 280 principals, teachers, Korean language instructors, parents, students in multiculture-centered schools. And to find out ways to improve Korean textbooks for immigrated students, intensive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with the ones concerned were conducted, and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ly, for beginners to Korean language, instead of focusing on the grammar, or pronunciation, which is very difficult to learn, the textbooks should be designed to cover four language skills, spea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which are not so hard to learn. Secondly, information about Korean textbooks should be shared and e-book should be available to anyone who wants to learn. Thirdly, to develop excellent Korean textbooks, not only Korean linguists but various education experts should be involved, so that the materials may get diverse and well-balanced. Lastly, guidebooks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who teach immigrated students should be developed, and the reasonable opportunities should be offered for teacher training on personalized, learner-centered Korean language teaching.

국문 요약 다문화가중도입국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재 실태 연구 - 경기도 다문화가중도입국학생중심으로 - 본 논문은 다문화가정 중도입국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재 실태에 대...

국문 요약 다문화가정 중도입국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재 실태 연구 - 경기도 다문화가정 중도입국학생을 중심으로 - 본 논문은 다문화가정 중도입국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재 실태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한국어 교육과 한국어 교재를 학교 현실에 맞게 개선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지금까지 다문화가정 학생들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관련 연구는 다양하게 시도되었으나 다문화가정 학생 중에서도 그 형편이 특수한 중도입국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재 실태에 대한 연구가 빈약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경기도 내 다문화가정 중도입국 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어교재 실태 연구를 통해 한국어교재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으며, 어떤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할지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질적연구와 양적연구를 병행하였다. 질적연구는 경기도 내 초·중등학교 다문화언어강사, 다문화특별학급 교사, 다문화교육 전문가 및 관계자 12명을 심층면접한 자료를 기초로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양적연구는 경기도 내 다문화교육 중점학교, 다문화특별학급에서 중도입국학생들의 한국어 교육을 하고 있는 교사와 한국어 강사 21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먼저, 중도입국학생 한국어 교재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설문지는 수준별 지도, 일상생활 활용, 흥미도, 연계성, 평가, 교재출처 등 6개 항목 총 32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한국어 교재 분석은 초등학교에서 한국어 교재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나타난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27.8%),『중도입국학생학습길라잡이 한국어』(10.8%),『맞춤 한국어』(21.7%), 『아름다운 한국어 첫걸음』(5.7%),『한글학교 한국어』(15.1%)를 선택하여 실시하였다. 그 결과 현재 사용하고 있는 한국어 교재에 대해서도 수준별 지도(4.16), 일상생활 활용(3.98), 흥미도(4.02), 연계성(4.07), 평가 문항(3.98), 공인교재 여부(4.73) 등에 높은 신뢰도를 보이고 있으며 보통이상으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중도입국학생 한국어 교재에 대해서 관계자들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심층면접을 한 대상자는 다문화교육전문가, 초·중등학교 교장, 다문화가정 학부모, 다문화가정 학생 등 12명이다. 이들은 한국어교재에 대해서 일상생활의 사례를 더 많이 넣어 생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한국어 교재를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한국어강사에 대한 연수 기회를 강화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융합적인 사고를 할 수 있도록 타 과목 전공자들도 참여시키고, 학습자 특성에 맞는 교재 개발과 한국어 교재개발에 대한 요구분석’이 우선되기를 요구한다. 마지막으로, 중도입국학생 한국어 교재의 개선점은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관계자를 대상으로 심층면접과 설문으로 조사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를 처음 접하는 학생들에게 처음부터 문법이나 어려운 발음교육을 강조하지 말고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의 난이도를 학습자의 수준에 맞게 제작해야 하겠다. 둘째, 한국어 교재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책 뿐 아니라 e-book 형태로 된 교재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하겠다. 셋째, 좋은 한국어 교재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집필진에 국어학자 뿐만 아니라 다양한 교육 전문가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문호를 개방하여 교재 내용을 다양하고 균형감 있게 구성하여야 하겠다. 넷째, 중도입국학생을 지도하는 한국어강사가 한국어 지도에 사용할 교사용 지침서를 만들고, 학습자의 수준에 맞추어 지도할 수 있는 한국어 능력을 기르는 다양한 교육 기회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핵심어 : 다문화가정학생, 중도입국학생, 한국어 교재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