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일 양국의 요청화행과 응답화행을 비교하고자, 한일 리메이크 드라마 및 영화에 나타난 언어행동들을 ‘직접전략’과 ‘간접전략’, ‘비언어행동 전략’으로 분류하여 한국... 본 연구는 한일 양국의 요청화행과 응답화행을 비교하고자, 한일 리메이크 드라마 및 영화에 나타난 언어행동들을 ‘직접전략’과 ‘간접전략’, ‘비언어행동 전략’으로 분류하여 한국어 모어 화자와 일본어 모어 화자가 사용하는 화행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일본어 모어 화자가 한국어를 학습할 때나 한국어 모어 화자가 일본어를 학습할 때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하며, 특히 해당 학습자의 화용적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제1장의 서론에 이어 제2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과 연구방법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요청화행과 응답화행에 대한 비교 분석이므로, 화행에 대한 이론들과 대화분석에 대한 개념 및 분석방법에 대해 살펴보았고 요청화행과 응답화행에 대한 전략 및 공손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한일 화행의 비교분석을 위해 본 연구는 한일 리메이크 드라마 및 영화 중, 드라마 3편(하얀거탑/白い巨塔, 공부의 신/ドラゴン桜, 직장의 신/ハケンの品格), 영화 1편(말아톤/マラソン)을 자료로 선택하였다. 분석 방법에 있어서는 먼저 한일 리메이크 드라마 및 영화에서 나타나는 화행 가운데 1:1의 대화 또는 1:2 및 그 이상의 담화를 사용하는 발화의 화행을 대상으로 삼았다. 그 중에서 요청화행을 ‘명령’, ‘지시’, ‘제안’ ‘부탁’ 등으로 분류하고, 응답화행을 ‘수락’, ‘거절’ 등으로 분류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요청 응답 화행은 다시 직접전략, 간접전략, 비언어행동 전략으로 하위분류하고 사회적 지위, 친밀도와 요청·응답 상황의 성격을 변인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제3장에서는 한일 요청화행 전략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한국이 일본에 비해 직접전략 빈도가 조금 더 높고 일본은 한국에 비해 간접전략 빈도가 조금 더 높게 나타났다. 특히, 간접 요청화행의 ‘청자의 의사확인’ 전략에서는 사회적으로 상위의 힘을 가진 쪽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요청을 수행하는 쪽이 청자보다 더 많은 힘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상대방의 의사를 확인하면서 자신의 의도를 나타내는 청자를 향한 화자의 공손성을 볼 수 있었다. 제4장에서는 한일 응답화행 전략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한국과 일본의 응답화행 전략의 분포에는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인 한일 리메이크 영상물의 자료를 비슷한 내용과 같은 분량으로 한정시켰기 때문에 한국이 일본에 비해 직접전략 빈도가 조금 더 높고 일본은 한국에 비해 간접전략 빈도가 조금 더 높다고 볼 수 있었다. 제5장에서는 한일 요청화행과 응답화행 전략을 카이제곱 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직접 전략 빈도는 한국이 더 높고, 간접 전략 빈도는 일본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공손도는 일본이 한국보다 조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언어행동 전략에서는 리메이크라는 제한된 자료와 언어행동 중 ‘명령’, ‘지시’, ‘부탁’, ‘제안’ ‘수락’ ‘거절’ 등의 카테고리에만 한정시켰기에 양국에서 빈도수가 그리 높지 않았고 일본보다 한국에서 다소 높은 빈도수가 나타났다 하더라도 그 데이터의 결과가 정확하다고 말할 수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6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본 연구의 의의 및 한계점 등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일 간의 언어행동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연구에서 얻어지는 결과를 토대로 제2 언어 학습자의 화용적 능력향상에 도움을 주는 데에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