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미술치료가 경도 신경인지장애 노인의 의사소통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경도 신경인지장애 노인의 의사소통생활 만족도에 미치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D시 D노인종합복지관을 이용하고 있는 노인들 중 경도 신경인...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경도 신경인지장애 노인의 의사소통생활 만족도에 미치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D시 D노인종합복지관을 이용하고 있는 노인들 중 경도 신경인지장애에 해당하며, 다른 신경적·정신적 질환이 없으면서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 동의서를 제출한 자로 총 22명이며, 이들을 실험집단과 대기통제 집단에 각각 11명씩 배정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2016년 8월 16일부터 10월 6일까지 주 2회에 걸쳐 90분 동안 총 15회기의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으며, 대상자 선별을 위한 평가 도구로 치매 선별용 한국어판 간이정신상태검사를, 사전·사후·추수 평가 도구로 의사소통생활 만족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프로그램은 3단계로 구성하여 초기에는 긴장감 해소와 관계형성을, 중기에는 의사소통생활 만족도 증진을, 종결에는 다지기 위주로 진행하였다. 자료 처리로는 실험집단과 대기통제집단의 동질성응검증을 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을 통해 실험집단과 대기통제집단의 의사소통생활 만족도 척도의 점수를 사전·사후·추수로 분석하였고 집단 구분 및 측정시기의 효과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시기별, 집단별 단순 주 효과를 살펴보았다. 언어치료사와 사회복지사의 관찰기록을 토대로 회기별 의사소통생활 만족도의 반응을 의사소통생활 만족도 하위영역별로 나누어 회기진행정도에 따라 비교 기술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가 경도 신경인지장애 노인의 의사소통생활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집단미술치료가 경도 신경인지장애 노인의 회기별 의사소통생활 만족도 반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경도 신경인지장애 노인이 주요 신경인지장애로 전환되기 전에 경각심을 일깨우고 조기 중재를 촉진할 수 있는 선행연구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research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the communication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with mild neurocognitive disorder.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elderly who had mild neurocognitive disorder among those who used ...

This study was intended to research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the communication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with mild neurocognitive disorder.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elderly who had mild neurocognitive disorder among those who used D Senior Welfare Service Center located in D city. The 22 subjects were those without other nerve·mental disorders and those who understood and agreed to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11 persons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and the rest 11 were assigned to control group. Regarding the research procedure, the subjects that would participate in the main experiment were selected total 90 minutes of 15 group art therapy sessions were done twice a week from August 16 to October 6, 2016. For instrument for evaluation to select subjects,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orean version for dementia screening was used, and the communication life satisfaction was used for the instrument of pre·post·follow-up evaluation. The program was done focusing on ease of tension and formation of relationship at the early stage,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life satisfaction at the middle stage, and finishing up at the last stage. To process the data, matching sample t-test was done for homogeneity test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rough Repeated Measure ANOVA, the communication life satisfaction scale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analyzed by pre·post·follow-up, to find out the group division and the effects of measuring period specifically, the simple main effects by period and group were researched. Based on observation records of SLP(speech language pathologist) and social workers, the change of communication life satisfaction per each session was classified into sub-areas of communication life satisfaction, and then they were compared and described according to session processing degre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communication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with mild neurocognitive disorder. Second, the group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each session's change of communication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with mild neurocognitive disorder. Therefore, this study can be a precedent study suggesting that group art therapy can arouse alert and stimulate early intervention before elderly with mild neurocognitive disorder become serious.

韩语论文范文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