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젝트접근법을 적용한 국악수업이 다문화아동과 비다문화아동의 사회적응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소재 D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
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젝트접근법을 적용한 국악수업이 다문화아동과 비다문화아동의 사회적응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소재 D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프로젝트접근법을 적용한 국악수업 지도안을 6차시로 개발하여 적용함으로서 사회적응력의 변화를 사전·사후 검사와 인터뷰를 통해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젝트접근법에 대한 선행연구와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초등학교 3학년 수준에 적합한 지도안을 개발하여 전문가 3인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다. 수업은 2015년 9월부터 2015년 10월까지 45분씩 6차시에 걸쳐 실시하였다. 수업에 참여한 연구 대상은 D초등학교의 3학년 전체 학생들로 다문화아동은 24명, 비다문화아동은 65명으로 이들은 4개의 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사용한 검사 도구는 정원식과 김호권(1992)의 「성격진단검사」문항 중 사회성을 추출하여 이수자(1994), 윤서영(1998)이 타당화한 사회적응력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가족적응, 대인적응, 자아적응, 정서적응의 하위영역으로 구성된 검사 도구는 각 영역별 10문항씩, 총 4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리커트(Likert) 척도를 이용하여 「전혀 그렇지 않다」(1점), 「그렇지 않다」(2점), 「보통이다」(3점), 「그렇다」(4점), 「매우 그렇다」(5점)로 이루어져 있고, 점수가 높을수록 사회적응력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본 도구의 내적 일치도 Cronbach's α는 .846이고, 하위영역별 신뢰도는 가족적응이 .893, 대인적응이 .872, 자아적응이 .924, 정서적응이 .890으로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19.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X2검정, 독립표본 t-test,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여 양적으로 분석하고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다문화아동 5명과 비다문화아동 5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여 수업에 참여한 아동의 사회적응력의 변화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젝트접근법을 적용한 국악수업에 참여한 전체 학생들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 가족적응, 대인적응, 자아적응, 정서적응 각 영역과 사회적응력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프로젝트접근법을 적용한 국악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을 두 개의 집단으로 나누어 사회적응력을 살펴보면 다문화 집단은 유의미하지 않은 차이를 보이고, 비다문화 집단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두 집단으로 나눈 하위영역별 사전·사후 검사 결과 가족적응은 사전검사보다 사후검사에서 다문화 집단이 .05점, 비다문화 집단이 .07점 향상된 결과를 살펴볼 수 있었다. 하지만 두 집단 모두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인터뷰 결과 프로젝트접근법을 적용한 수업은 참여한 아동들의 가족지지, 긍정적 감정을 통해 가족적응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두 집단으로 나눈 대인적응은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한 결과 사전검사보다 사후검사에서 다문화 집단은 유의미하지 않은 차이를 보였고, 비다문화 집단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인터뷰 결과 프로젝트접근법을 적용한 수업은 참여한 아동들의 친구지지, 타인에 대한 배려를 통해 대인적응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두 집단으로 나눈 자아적응은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한 결과 사전검사보다 사후검사에서 다문화 집단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비다문화 집단은 유의미하지 않은 차이를 보였다. 인터뷰 결과 프로젝트접근법을 적용한 수업은 참여한 아동들의 자아존중감, 친구에 대한 믿음, 가족지지를 통해 자아적응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섯째, 두 집단으로 나눈 정서적응은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한 결과 사전검사보다 사후검사에서 다문화 집단은 유의미하지 않은 차이를 보였고, 비다문화 집단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인터뷰 결과 프로젝트접근법을 활용한 수업은 참여한 아동의 친구지지, 성취감을 통해 정서적응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프로젝트접근법을 적용한 국악수업은 친구와의 협동을 통해 수업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학업성취감을 증대시킴으로서 스스로에 대한 자신감을 가지게 하여 다문화아동은 자아적응, 비다문화아동은 대인적응, 정서적응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입증되었고, 학생의 자발적 참여를 요구하는 프로젝트 수업의 필요성을 확인하였음에 의의를 둔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