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학 초급 한국어 교재 Integrated Korean Beginning 1, 2 분석 : 어휘, 문법, 문화 영역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dequacy, practicability and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Integrated Korean Beginning 1 and 2 (Hereafter ‘IK textbook’), used in American universities. For this purpose, the list of the IK textboo...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dequacy, practicability and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Integrated Korean Beginning 1 and 2 (Hereafter ‘IK textbook’), used in American universities. For this purpose, the list of the IK textbook in vocabulary, grammar and culture is compared with two other Korean standard lists, ‘Internationally Accepted Standard Korean Language Education Model’(IASKLEM) and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est’(TOPIK) in a statistical manner. Chapter 1 justifies the necessity and states the goals of this study. By reviewing existing literature on Korean language textbooks, basic vocabulary, grammar and culture contents, it provides the foundations for analyzing IK textbooks. Chapter 2 investigates both the foreign language standard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Korean language standard in Korea. In the U.S., Korean education is considered a foreign language education; thus, the IK textbook must be in accordance with U.S.’ ‘National Standards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Likewise, ‘Standard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for International Use’ developed by Korean Governmental Research Institute is applicable as the objectives of the IK textbook is to eventually enhance communication through Korean language. Chapter 3 presents the detailed research procedures and methods of this study in three areas. First, 1,413 words are extracted from the IK textbook through corpus-based statistic process. Second, three grammatical categories such as particles, endings, and chunk expressions, are chosen and the grammatical lists of each category are prepared by quantitative process. Third, the culture list is selected in two ways, one from independent cultural content, and the other one from dialogues and narrations in the IK textbook. Chapter 4 compares the list of the selected basic vocabulary, grammar and cultural contents with two Korean standard lists, to analyze the features appearing in the quantitative results. First, in vocabulary section, the number of vocabulary in the other two standard lists is much larger than that of IK textbook'. In addition, IK textbook and other two lists have a low percentage of overlapping vocabulary. Therefore, the basic words suggested by the Korean standard, are not sufficiently included in the IK textbook. On the other hand, grammar has a relatively high overlapping percentage of IK grammar contents compared to the other two lists. Although there are numerous particles and endings in the IK textbook, almost half of them appear in the sentences without proper explanations of grammar usage. In cultural contents, IK textbook includes more everyday life topics than specific student-related topics. Also, ‘informational culture’ is introduced 2.5 times more than ‘achievement culture’. Some cultural contents are not incorporated into the main text of lessons and have irrelevant topics to the lesson plan. Chapter 5 summarizes the result, significance and benefits of the study. It also presents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This study analyzes three important areas of the IK textbook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enhance underdeveloped aspects of the IK textbook. It aspires to benefit the foreign students who plan to pursue further studies in Korea, or to take standardized tests such as TOPIK in the future. It also hopes to become a reference for Korean language educators in both Korea and the US, to illustrat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IK textbook and the Korean language standards. Furthermore, it will serve as a tool in developing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study material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미주 대학 초급 교재인 Integrated Korean Beginning 1, 2권(이하 ‘IK 초급 교재’)의 어휘문법문화 영역분석하여 각 영역의 타당성과 실용성을 검증하고 교재의 특성을 파...

본 연구는 미주 대학 초급 교재인 Integrated Korean Beginning 1, 2권(이하 ‘IK 초급 교재’)의 어휘문법문화 영역을 분석하여 각 영역의 타당성과 실용성을 검증하고 교재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으로 IK 초급 교재의 영역별 목록을 추출한 뒤, 한국 공인기관에서 제시하는 표준 목록과의 객관적이고 계량적인 비교를 시도하였다. 1장에서는 IK 교재 분석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히고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선행연구는 교재분석과 어휘, 문법, 문화 영역, 총 네 분야로 나누어 그 동안의 연구 성과와 영역별 선정 방법, 분류 기준 등을 검토하여 향후 교재 분석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2장 이론적 배경에서는 크게 미국과 한국의 언어교육 표준에 관해 다루었다. IK 교재는 미국 현지에서 사용하는 KFL 교재의 특성상 현지 외국어교육의 표준을 준수해야 하므로 교재 분석에 앞서 ‘외국어교육 국가 표준’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IK 교재의 궁극적인 교육 목표가 한국어를 통한 원활한 의사소통임을 감안하여 한국에서 수립된 한국어교육 표준의 구체적인 내용을 점검하여 향후 교재 분석에서 중점적으로 다루어야 할 사항을 확인하였다. 3장에서는 IK 교재 분석의 세부적인 연구 대상과 절차, 분석 방법을 기술하였다. 연구 대상을 어휘, 문법, 문화로 나누고, 어휘는 IK 초급의 주교재 1, 2권과 워크북 1, 2권 전체를 말뭉치로 구축한 후 1•2차의 형태소 분석을 거쳐 토큰(전체 어휘량)과 타입(개별 어휘수)을 추출하였다. 문법 영역은 분석 항목을 단일 어휘인 조사•어미와 복합 어휘인 표현문형으로 구분하여, 조사와 어미는 TOPIK의 문법 범주를 기초로 세부 문법 항목을 정하였으며 표현문형은 IK 교재의 Grammar section에 소개된 항목을 중심으로 비교 목록을 마련하였다. 문화 영역은 독립적으로 설정된 문화 항목과 단원별 주제로 나누어 분석 대상 목록 및 범주를 설정하였다. 4장에서는 3장에서 추출한 세 개의 영역별 목록을 ‘국제 통용 한국어교육 표준’과 TOPIK의 초급 목록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어휘 부분에서는 IK 교재의 타입 수가 1,413개로 국제 통용의 1,683개와 TOPIK의 1,847개에 250-400개가량 못 미쳤다. 미국 대학 수업의 시수를 고려할 때 전체 타입 수의 차이는 이해 가능하지만 목록별 품사 비교를 통해 주요 품사가 전체 어휘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살펴보니 수업 시수와는 상관 없는 차이점이 드러났다. IK 교재의 경우, 자체 어휘량이 적은데 주요 품사의 비율까지 낮아 결과적으로 주요 품사의 ‘기본 어휘’ 수가 부족함을 알 수 있었고, 두 비교 목록과의 중복도도 낮아 ‘한국어 표준’ 공통 어휘량도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휘 영역의 결과와 달리 문법 영역에서는 IK 교재와 다른 두 비교 목록 간의 중복도가 높게 나타났고, 조사•어미의 경우는 전체 문법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TOPIK과 비교해 큰 차이가 없음이 드러났다. 구체적으로, 조사는 TOPIK의 32개 조사 항목과의 일치율이 90%에 달했으나 높은 중복 비율과 달리 실제 학습량에서는, IK 교재의 Grammar section에서 설명과 함께 정식으로 소개되는 조사가 14개이고 다른 15개 조사는 문법 설명 없이 그냥 문장 중에 출현하여 학습의 효과가 의문시 되었다. IK 교재의 어미 역시 조사와 마찬가지로 문법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았고 중복도에 있어서도 다른 두 비교 목록과 높은 일치율을 보였다. 셋째, 문화 영역은 세 단계로 나누어 분석이 이루어졌는데, 먼저 IK 교재와 미국 ‘외국어교육 국가 표준’ 문화 영역의 목표를 비교한 결과, 다섯 개의 외국어 표준 가운데 첫 번째 목표인 ‘의사소통’을 제외하고는 IK 교재의 문화 내용이 미국 외국어교육 국가 표준에 못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문화 항목을 주제별, 유형별, 시대별로 고찰하였는데, 주제별 분석에서는 ‘일상생활’ 관련 주제가 압도적으로 많았고, 유형별 분류에서는 ‘정보 문화’가, 시대별 구분에서는 ‘현대문화’가 높은 수치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국제 통용’ 문화 항목과의 비교에서는 두 목록 간의 일치율이 74%로 드러났다. 5장에서는 앞선 연구를 전체적으로 요약하고 연구 결과를 주요 쟁점별로 나누어 논의하였으며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덧붙였다. 이상의 연구는 향후 한국에 방문하여 한국어 수업을 듣고자 하는 외국인 IK 교재 학습자들에게 통계에 근거하여 이전 학습 내용과 보충할 학습 내용의 비교를 가능하게 하고, TOPIK과 같은 평가를 위해 준비해야 하는 어휘와 문법량을 예측 가능하도록 도울 것이다. 또한, 미주 지역으로 진출하는 한국어 교사들에게 미국 대학 한국어 교재의 특징을 이해하고 언어 수준을 가늠할 수 있게 하며 나아가 한국에서의 미주지역 대학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