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교육을 위한 양보 표현 연구 : 복합형 표현 항목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연구는 양보 관계를 나타내는 양보 표현 ‘-(으)ㄹ 바에는, -기에 망정이지, -(으)ㄴ/는 셈 치고, -(으)ㄴ/는데도 불구하고, -다손 치더라도’를 통사적·의미적 특성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

연구는 양보 관계를 나타내는 양보 표현 ‘-(으)ㄹ 바에는, -기에 망정이지, -(으)ㄴ/는 셈 치고, -(으)ㄴ/는데도 불구하고, -다손 치더라도’를 통사적·의미적 특성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으로 선정된 양보 표현들은 높은 사용 빈도수를 보이고 있는 표현이자, 현재 외국인을 위한 한국교육 교재에서 높은 교육적 가치를 인정받아 학습 표제어 및 목표 문법으로 제시되어 있는 항목이다. 그동안 한국어 교육적 측면에서의 양보 표현에 관한 연구는 연결어미를 중심으로 학습자의 모국어와의 대조연구가 이루어진 바 있으며, 연결어미와 양보 표현 항목을 함께 선정하여 국어학적으로 비교 분석한 연구는 이루어진 바 있다. 그러나 연결어미가 아닌 문법적 의미 기능을 실현하는 단위인 양보 표현 항목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구 대상을 양보 표현 항목으로 한정하였다, 학습자들은 양보 표현을 사용하여 선행절과 후행절을 연결하므로, 절과 절 사이의 관계 및 제약의 여부를 고려하여 ‘주어 일치 제약, 시제 일치 제약, 선행 용언 제약, 문장 종결 제약’을 통사적 분석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의미에 따른 분석에서는 기대를 하는 대상에 따라 양보 표현을 분류할 수 있다는 정의를 수용하여 양보 표현이 가지는 의미 기능을 ‘기대 부정(denial of expectation)’과 가정, 강조의 의미 기능으로 분석하고 이에 대한 한국어 모어 화자와 한국어 학습자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양보 표현을 기준으로 선행절과 후행절을 나누어 선행절에서 나타나는 명제의 조건에 따라 양보 표현을 변별하고, 후행절에서는 양보 표현과 함께 나타나는 부사, 선어말어미, 용언의 특징 등을 정리하여 후행절에서 실현되는 양태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설문의 대상을 한국어 모어 화자와 한국어 학습자로 나누어 각각의 응답자들이 동일한 예문과 양보 표현에 대해 어떠한 사용 양상을 보이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같은 양보 표현을 구어적 상황과 문어적 상황으로 각각 나누어 어떠한 상황에서 특정 표현을 더 많이 사용하거나, 더 적게 사용하는지 분석하였다. 위의 결과로 얻은 통사적·의미적 분석 내용과 양보 표현의 사용 양상에 대한 조사 내용을 기반으로 하고,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 사용 빈도에 따라 양보 표현이 가지는 실용성과 활용성’을 기준으로 ‘중심적 양보 표현’, ‘주변적 양보 표현’을 나누었다. 이 분류는 양보 표현들이 현재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사용되는 교재 및 한국어 문법서에서 학습 목표로 얼마나 많이 나타나고 있는지를 바탕으로 하여, 한국어 모어 화자와 학습자들이 제시한 양보 표현의 사용 빈도 순위를 고려해서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중심적 양보 표현으로는 ‘-(으)ㄹ 바에는, -(으)ㄴ/는 셈 치고, -(으)ㄴ/는데도 불구하고’를 선정하였으며, 주변적 양보 표현으로는 ‘-기에 망정이지, -다손 치더라도’가 선정되었다. 1장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의 이루어지고 있는 양보 연결어미를 비롯한 양보 표현의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2장에서는 양보 표현에 관한 이론적인 배경을 살펴보며 양보 표현의 통사적 분석과 의미적 분석을 각각의 기준에 따라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3장에서는 양보 표현에 따른 한국어 모어 화자와 학습자의 양보 표현 선택 양상 및 인식을 조사, 분석하였고, 이를 토대로 중심적 의미를 가진 양보 표현과 주변적 양보 표현을 분류하였다. 이를 토대로 4장에서 이제까지의 자료를 종합하여 우선적으로 교육되어야 하는 필요성을 가졌다고 선정한 중심적 양보 표현 중 ‘-(으)ㄴ/는데도 불구하고’와 ‘-(으)ㄹ 바에는’을 대상으로 본고에서 논의한 양보 표현의 통사적·의미적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교수-학습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 결론을 내리고 본 연구의 논의를 정리하며 마무리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concessive expressions representing concessive relations such as “eun (eul) ba-e-neun”, “gi-e mang-jeong-i-ji”, “eu (eun, neun) sem chi-go”, “eu (eun, neundedo) bul-gu-ha-go” and “da-son chi-deo-ra-do” accor...

This study analyzed the concessive expressions representing concessive relations such as “eun (eul) ba-e-neun”, “gi-e mang-jeong-i-ji”, “eu (eun, neun) sem chi-go”, “eu (eun, neundedo) bul-gu-ha-go” and “da-son chi-deo-ra-do” according to the syntactic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Currently, the concessive expressions chosen as the subject of analysis for this study are not only the expressions frequently used but also suggested as a learning headword and target grammar in the teaching materials of the Korean language designed for foreigners, by the acknowledged educational value. Until now, some studies related to the concessive expressions viewed from the educational perspective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have been carried out, mainly focused on the connective endings while comparing with the native language of each learner. Also, there have been some comparative studies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Korean linguistics by choosing the items of concessive expressions along with the connective endings. However, there have been very few studies regarding only the items of the concessive expressions realizing the function of grammatical meaning and not as connective endings. Therefore, this study set limits to the items of concessive expressions as a subject of study. The learners connect the antecedent clause with the following clause when using the concessive expression, therefore, with consideration for the inter-clause relations and the possibility of restriction, as for the syntactic analysis standard, “restriction of subject concord”, “restriction of sequence of tenses”, “restriction of preceding predicate” and “restriction of sentence form” were established. Regarding the analysis based on the concessive meaning, this study accepted the definition of which the concessive expressions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expected object. The semantic meaning represented by these were analyzed by the functions of “denial of expectation”, assumption and emphasis, and this study inquired into the recognition of the Korean native speakers and the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regarding this feature. Moreover, by dividing the antecedent clause from the following clause based on the concessive expressions, the concessive expressions will be differentiated by the condition of proposition shown in the antecedent clause. In the following clause, it will deal with the morphological meaning realized in the following clause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adverb, prefinal ending and predicate which appear accompanied by the concessive expressions. The Chapter I reviewed the concessive connecting endings along with the preceding studies regarding the concessive expressions which are performed in the current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Chapter II deals with the theoretical background regarding the concessive expressions, the syntactic analysis and semantic analysis of the concessive expressions were concretely made according to its respective criteria. In the Chapter III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aspects of selecting the concessive expressions made by Korean native speakers and learners as well as their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concessive expressions. Based on this, in the Chapter IV, the concessive expressions of centric meaning were differentiated from the peripheral concessive expressions, and an educational method of concessive expressions about using Korean concessive expressions is afforded. Based on the synthesis of the Chapters, in the Chapter V, the conclusion was arranged and the discussion of the present study was completed.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