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어와 한국어는 같은 아시아권에 속해 있으나 형태상의 차이가 있다. 중국어는 고립어로 단어의 형태적인 변화가 거의 없는 반면 교착어인 한국어는 단어의 변화와 문장 성분의 배열에 ... 중국어와 한국어는 같은 아시아권에 속해 있으나 형태상의 차이가 있다. 중국어는 고립어로 단어의 형태적인 변화가 거의 없는 반면 교착어인 한국어는 단어의 변화와 문장 성분의 배열에 따라 의미가 변화한다. 이러한 차이점으로 인해 중국인 학습자들은 한국어를 습득하는 데 있어 어려움을 겪게 된다. 중국어 피동문은 유표지 피동과 무표지 피동으로 구분된다. 밝혀 주는 표지어가 없다. 이 때문에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피동문을 무표지 피동은 중국어 피동에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피동문으로 문장 내 피동관계를 사용할 때 오류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중국어 무표지 피동문과 한국어 피동문의 대조 연구를 통해 중국인 학습자들의 피동문 오류 양상을 밝히고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제2장에서 한·중 피동문의 문장구성 형태와 피동 사용 제약 등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가장 주요한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중국어 무표지 피동문은 단어의 형식적 차이와 피동 관계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는 의미적 피동인데 반해 한국어의 피동 표현은 단어의 형태가 변화하고 문장 성분의 배열 순서를 통해 피동관계를 나타나는 형식적 피동이라는 점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중국인 학습자들의 피동문 오류의 대부분이 바로 중국어 의미적 피동문의 한국어 형식적 피동문 전환에서 나타날 것임을 예측할 수 있었다. 이 예측을 증명하기 위해 제3장에서는 중국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중 피동문 전환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중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이해 습득 정도는 표현 습득 정도보다 낫고 한국어 피동 표현의 오류들에서 상항 조사오류를 뗄 수 없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제4장에서는 양국의 한국어 교재를 비교분석하여 중국 내 한국어 피동문 교육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어 무표지 피동에 대하여만 진행을 하였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으나 중국어 무표지 피동문과 한국어 피동문의 대조 연구를 통해 중국인 학습자들의 피동문 오류를 예측하고 중국 내 피동문 교육의 개선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주요어: 무표지 피동, 한국어 피동 표현, 중국내 한국어 교과서 ,韩语论文网站,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