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인과관계의 연결어미 ‘-(으)니까’와 ‘-아서/어서’의 통사적, 의미·화용적 특징을 분석하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으)니까’와 ‘-아서/어서’의 단계별 교육 ... 본고는 인과관계의 연결어미 ‘-(으)니까’와 ‘-아서/어서’의 통사적, 의미·화용적 특징을 분석하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으)니까’와 ‘-아서/어서’의 단계별 교육 방안을 제시하 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통사적 특징에서는 첫째, 선어말어 ‘-었-’은 ‘-(으)니까’와의 결합에서는 제약이 없지만 ‘-아서/어서’와의 결합에 제약이 있다. 선어말어미 ‘-겠-’은 ‘-(으)니까’와의 결합에서는 제약이 없지만 그 의미가 미래를 나타내는지 추측을 나타내는지 모호한 경우가 많고, ‘-아서/어서’와의 결합에서는 ‘-겠-’이 미래의 의미를 가질 때에는 제약이 있지만, 추측의 의미를 가질 때에는 부분적으로 결합이 가능하다. 둘째, ‘-(으)니까’로 이루어진 구성보다 ‘-아서/어서’로 이루어진 구성의 선행절이 이동이 더 자연스럽다. 셋째, 분열문 형성은 비교적 독립성이 낮은 ‘-아서/어서’가 가능하다. 넷째, ‘-아서/어서’는 후행절에 명령문, 청유문이 오는 것에 제약이 있다. 의미·화용적 특징에서는 첫째, 일반적으로 ‘-(으)니까’의 선행절은 화자의 주관적인 판단이, ‘-아서/어서’의 선행절은 누구나 다 인정하는 객관적인 내용이 오는 것이 자연스럽다. 둘째, 이유를 묻고 답하는 대화 상황에서는 ‘-(으)니까’를 사용하여 대답하는 것보다 ‘-아서/어서’를 사용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셋째, ‘-(으)니까’로 이루어진 구성은 후행절에, ‘-아서/어서’로 이루어진 구성은 선행절에 정보의 초점이 있다.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목표 문형으로서의 ‘-(으)니까’와 ‘-아서/어서’는 통사적 특징 중에 선어 말어미와의 결합 가능성, 후행절의 문장의 종류에 대한 부분은 공통적으로 제시하고 있었지만 정도의 차이는 있었다. 오류 분석에서는 초급 수준의 어휘를 사용한 두 문장을 ‘-(으)니까’와 ‘-아서/어서’로 연결하는 문장에서 오류율은 초급 학습자의 오류율이 가장 높았으나 그 중 통사적인 원인인 선어말어미와 후행절과 관련한 오류는 중·고급 학습자가 더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의미·화용적 원인에 의한 오류율은 초급이 가장 높게 나왔으며 중·고급 학습자의 오류율은 36% 정도로 비슷하게 나왔다. 오류의 원인은 객관성과 주관성, 정보의 초점과 관련된 오류와 공손성과 관련한 오류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으)니까’와 ‘-아서/어서’의 단계별 교육 방안 제시의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초급 단계에서는 목표문형으로서의 교재 분석에서 살펴보았듯이 뚜렷한 기준이 정해져 있지 않고 교재 마다 차이를 보였는데, 표준이 될 수 있는 문법 교육의 교사용 지침서와 과제로 이용 할 수 있는 활동지를 제시하였다. 선어말어미 제약에 관해서는 ‘-아서/어서’와 ‘-었-’의 결합의 제약만을 제시하였다. 둘째, ‘-아서/어서’가 사용된 문장의 후행절에는 명령문, 청유문, 약속문과 함께 화자의 의도가 들어간 문장까지 제약이 있다고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만나서 반갑습니다’와 같은 인사말을 초급 교재에서 따로 분리시키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 또한 인과관계 연결어미 ‘-아서/어서’ 관련하여 학습을 시킨다면 ‘-아서/어서’가 가지는 공손성에 대하여 자연스럽게 연결시켜 교육할 수 있을 것이다. 중·고급 단계에서는 중·고급 학습자에게 초급 단계에서 학습한 내용의 오류율이 더 높은 결과를 나온 것을 원인으로 하여 나선형 교육 방식을 선택하여 교사용 지침서에 제시하였다. 먼저 ‘-아서/어서’의 후행절에 명령, 권유, 허락, 약속의 의미가 온다면 제약이 있다는 것에 대하여 학습자 스스로 규칙을 찾게 한 다음에 ‘-(으)니까’가 사용된 문장에서는 후행절에 정보의 초점이 있다는 것을 설명할 것을 제시하였다. 설명이 충분히 진행된 후에는 ‘-(으)니까’의 선행절은 화자의 주관적인 판단인 이유가, ‘-아서/어서’의 선행절은 일반적이고 객관적인 원인이 주로 온다는 것을 설명할 것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만나서 반갑습니다’와 같은 인사 표현에서는 주로 ‘-아서/어서’가 사용된다는 것을 바탕으로 ‘-아서/어서’는 공손성을 드러낸다는 것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