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요청 화행(requests) 전략 양상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몽골인 학습자는 학습 환경 요인에 따른 두 집단으로 설정하였다. 다시 말...
본 연구는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요청 화행(requests) 전략 양상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몽골인 학습자는 학습 환경 요인에 따른 두 집단으로 설정하였다. 다시 말하면 몽골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KFL)하고 한국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KSL) 간의 한국어 요청 화행 전략 양상에서 나타나는 유사점과 차이점을 밝혀 그것을 한국인과 몽골인 모국어 화자와 비교함으로써 학습 환경이 학습자의 화행 전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간의 한국어 학습자의 중간언어 화용론(interlanguage pragmatic)에 관한 연구들은 영어권, 중국어권, 일본어권 학습자를 주로 대상으로 한 것에 비하여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는 비교적 많은 관심을 받지 못한 편이다. 또한 몽골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의 한국어 화용 습득과 인식 또는 전략에 관한 연구가 아직 없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인과 몽골인 모국어 화자의 요청 전략을 고찰한 후, 서로 상이한 학습 환경에 노출되어 있는 몽골인 학습자 두 집단의 전략을 분석하면서 몽골인 학습자 두 집단의 전략이 그들과 비교하였을 때 어떤 차이가 있고, 그 차이점이 어떠한 양상으로 실현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 및 요청 상황 적절성 조사를 통하여 설정한 12가지 상황에서 타난 실현된 네 집단의 요청 화행 응답을 본 요청과 보조 요청 전략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SPSS18.0을 활용하여 그 차이점이 통계적으로 유의한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을 제시한 후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요청 화행하고 학습 환경, 한국어 또는 몽골어 요청 화행 전략에 관한 선행연구를 비판하면서 본 연구의 필요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한국어 학습자의 화행 전략 양상을 밝힌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매우 미흡하며, 특히 몽골에서 한국어를 학습하는 학습자의 화용론 능력에 관한 연구는 아직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장의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그에 관한 근거를 밝혔다.
Ⅱ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먼저 화행 이론과 요청 화행 정의 및 특징을 살피면서 본 연구의 요청 화행 정의와 범주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학습 환경 요인에 관하여 한국어가 외국어 또는 제2언어로서의 특징을 밝혔다. 이어서 한국어와 몽골어 요청 화행 전략의 특징을 밝힘으로써 두 언어 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그간의 한국어 학습자의 요청 화행 전략 양상을 살핀 연구들이 학습자에 언어 전략에 나타나는 모국어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모국어 화자의 전략 양상을 많이 다루었다. 그러나 모국어 화자의 전략 양상 분석 유형을 자세히 제시하지 않아 정확한 모국어 영향 고찰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연구 결과에서도 한국인 모국어 화자와의 차이점을 밝혔으나 모국어로서의 영향에 관한 구체적인 분석을 하지 못 한 바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몽골인 모국어 화자의 요청 전략 양상을 자세히 다루고 학습자의 전략 양상에 나타나는 모국어의 구체적인 영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기술하였다. 연구절차 및 자료 수집 도구, 피험자 정보, 본 요청과 보조 요청 전략 분석 유형을 자세히 소개하였다. 예비실험을 앞서 요청 상황의 실제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황 적절성 조사를 실시하여 실제성이 없거나 낮은 상황을 삭제하거나 수정·보완하였다. 이러한 12개의 요청 상황으로 구성된 서면 DCT를 활용하여 예비실험을 실시하였다. 예비실험에서 발생한 집단별 문제점과 그에 관한 해결점을 밝힌 후 그를 토대로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 결과와 요청 전략 양상을 밝힌 그간의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본 연구의 요청 분석 유형을 도출하면서 거기에 해당되는 한국어 또는 몽골어 전략 표현을 구체적으로 정리하였다. 피험자들의 전략 유형을 코딩할 때 연구자 본인뿐 아니라 한국어 교육 전문하가와 몽골어교육 전문가의 논의를 거쳐 그 신뢰성 및 정확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Ⅳ장에서는 본 실험을 통하여 수집한 네 집단의 피험자들의 본 요청과 보조 요청 전략 양상을 한국인과 몽골인 모국어 화자 간의 차이, KFL과 KSL 집단 간의 요청 전략 차이를 고찰하면서 각 분석에서 나타난 피험자들의 특징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를 카이스퀘어 검정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각 변인에 따른 집단 간의 차이를 밝히면서 이러한 사회적 변인이 요청 전략 양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를 각 연구문제에 따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문제1인 한국인과 몽골인 모국어 화자 간의 요청 전략 양상에 나타나는 특징은 한국인 모국어 화자는 본 요청 화행을 비교적 간접적은 전략으로 수행하되 가장 명시적이고 직설적인 명령형 전략을 매우 적극적으로 사용한 것이었다. 그 반면에 몽골인 모국어 화자는 한국어의‘-았/었/였으면 좋겠어요’에 해당되는 희망형 전략을 가장 선호하였다. 또한 명령형과 의무형을 제외한 나머지 직접적인 전략에서 MNS 집단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여 준 것도 몽골어 요청 화행의 직접적인 전략 표현도‘guimaar baina, guij baina, guix gesen yum/yum baina, guix geel, guix l gej, guix sanaatai/bodoltoi' 등의 수행동사와‘guilt, guix ym, guilga, guivar, xüselt, xüsex yum' 등의 수행명사로 다양하게 이루어지는 것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접적인 전략에서 KNS 집단은 화자가 청자의 의지 또는 의도를 묻는 의지형을, MNS 집단은 화자가 청자의 화행 수행 능력을 묻는 능력형을 선호하였고, 화자가 청자 스스로가 요청 화행 수행을 파악하도록 표현하는 추론형 전략을 KNS 집단이 빈번히 사용한 반면에 MNS 집단은 가장 낮은 빈도를 보여주었다.
둘째, 연구문제2인 KFL과 KSL 집단의 요청 전략에 나타나는 특징은 KFL과 KSL 집단은 본 요청 전략을 전체적으로 간접적인 표현보다 직접적인 표현을 조금 더 선호하였으나 그 수치가 높지 않았다. 그러나 KFL 집단은 직접적인 표현인 명령형과 의무형 전략을 나머지 세 집단 집단보다 훨씬 더 많이 사용하였으며, 특히 명령형 빈도는 MNS 집단의 빈도보다 2.3배가 높은 수치를 보였다. 따라서 KFL 집단은 KSL과 KNS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요청 화행 사용에서 직접적인 전략을 보다 선호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반면에, KSL 집단은 직접적과 간접적 전략을 서로 비슷하게 사용하고 있으며, 직접적인 전략 중 명령형을 가장 선호하였다. 또한 KSL 집단은 KNS 집단과 마찬가지로 본 요청 화행의 간접적인 전략 중‘-아/어 줄래?/주시겠어요?’와 같은 의지형을, KFL 집단은‘-아/어도 돼요?, -(으)면 안 될까요?’와 같은 허락형을 가장 선호하였다. 그러나 몽골인 학습자 두 집단 중 특히 KFL 집단이 허락형 전략을 KNS 집단이 주로 사용한‘-아/어도 돼요/될까요?’와 같은 양보 의미가 강한 문형보다‘-(으)면 돼요/될까요?’와 같은 조건 의미가 강한 문형을 보다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몽골어의 요청 화행 전략의 대표적인 특징인‘-bal/val⁴zereg nöxcölt bütectei(-(으)면 와 같은 조건형으로 구성됨)’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본다. 따라서 한국에 체류하는 몽골인 학습자의 요청 전략 양상은 한국인 모국어 화자와 비슷한 반면, 몽골에 체류하는 몽골인 학습자는 보다 직설적이며 명시적인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몽골인 학습자 집단 모두가 한국어 요청 화행을 실현하는 전략 표현에 있어서는 모국어인 몽골어의 영향을 적지 않게 받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요청의 보조 전략에 있어서는 두 집단 간의 차이는 그다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몽골인 학습자는 요청 화행을 실현할 때 익숙한 하나의 보조 전략을 사용하거나 아니면 잘 사용하지 않는 결과로 보인다.
마지막 Ⅴ장에서는 Ⅳ장에서 제시한 요청 전략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서 정리하였다. 또한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지금까지 한국어 학습자의 요청 화행 전략 양상을 살핀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으나 몽골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매우 미흡하다. 또한 몽골에서 한국어 학습하는 학습자의 화용론적 능력을 분석한 논의가 아직 없는 것으로 확인되어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의 화용론 연구가 절실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서로 상이한 학습 환경에 노출되어 있는 몽골인 학습자의 요청 화행 전략을 살핌으로써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뿐만 아니라 몽골어 또는 몽골어를 학습하는 외국인 학습자의 화행 연구의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를 시작으로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의 화행뿐만 아니라 몽골에서의 외국어 화용론 연구 더 나아가 몽골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 현장에 교육 자료가 될 수 있다는 면에서 그 의의가 클 것이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