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공명영상(MRI)실 내원 환자들의 불안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anxiety factors that outpatientsfeel while visiting a hospital, and based on it, to seek measures to reduce the degree of anxiety felt by outpatients. Through previous studies reviewed were se...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anxiety factors that outpatientsfeel while visiting a hospital, and based on it, to seek measures to reduce the degree of anxiety felt by outpatients. Through previous studies reviewed were separated independent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anxiety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hospital use characteristics, environmental factors, professional factors, Kim and Yook your anxiety by Beck developed to measure anxiety levels complement the Korean BAI translated into Korean modified and used as a measure of the dependent variable. This study magnetic resonance imaging room surveyed visited patients and a final analysis utilizing 144 Base frequency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using SPSS WIN 21.0 program, technical analysis, t- test,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analysis and a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howed a very low anxiety level of those surveyed have an average of 1.71 points, cognitive. Emotion region anxiety is 1.89 points, physical region anxiety is a 1.55 point, cognitive. Emotion region anxiety is somewhat higher than physical region anxiety. Second, as fo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s age (β=.558, P<.001) was low and as academic background (β=-.317, P<.05) was high, anxiety of hospital use was high. In addition, married singles (β=-.330, P<.05) had loweranxiety than singles, and those engaged in the primary industry or manufacturing industry (β=.248, P<.05) had higher anxiety than professionals or top officials. Third, as for hospital use characteristics, the case of friends’ hospital selection (β=.233, P<.05) showed higher anxiety than that of self-selection, and it had higher examination results than other factors (β=.240, P<.05). Fourth, whether more psychological health status commitment is higher when the environmental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experts in the regression analysis betwee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emotional anxiety (β=-.571, P<.000). Values and interpersonal the lower the relationship (β=-.275, P<.01) were higher anxiety. If you put together a professional factor, the higher the psychological health status (β=-.420, P<.000), lower the value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β=-.239, P<.001), various procedures the higher the anxiety about the (β=-.443, P<.000), higher anxiety. Fifth, environmental factors are higher when the input and psychological health status (β=.-412, P<.000) in the regression analysis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physical anxiety and professional factors, value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lower (β=-.219, P<.01) showed higher anxiety. If you put together a professional factor, the higher the psychological health status (β=-.312, P<.000), lower the value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β=-.186, P<.001), various procedures the higher the anxiety about the (β=-.300, P<.000), higher anxiety. Based on the study results, institutional and practical measures to reduce outpatients’ anxiety were suggested as below. First, in order to reduce elderly patients’ anxiety, it is necessary for hospitals to develop and operateemotional support services. It is needed to have counselors and administrators for elderly patients’ psychological stability, to provide easy and repeated explanations about hospital use procedur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nd to enhance the kindness of hospital administration services. Second, it is needed to comprehensibly consider patients’ families in that they are also hospital use customers. Through provision of precise information, it is necessary to also reduce patients’ families’ anxiety. Third, considering that the demand of hospital use services is increasing, it is needed to provide service provision measures at the hospital level to improve patients’ values and human relations. Among environmental factors, values and human relations turned out to largely influence anxiety, and considering the aging society and increase of chronically ill patients, services to reduce anxiety and improve values and human relations should be complemented. Lastly, in order to reduce outpatients’ anxiety, efforts to sufficiently explain procedures and examination processes and to provide safe environments should be made.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을 이용하는 환자들이 병원 이용 과정에서 느끼는 불안요인을 파악, 이를 바탕으로 내원 환자들이 느끼는 불안의 정도를 줄일 수 있는 방향과 과제를...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을 이용하는 환자들이 병원 이용 과정에서 느끼는 불안요인을 파악, 이를 바탕으로 내원 환자들이 느끼는 불안의 정도를 줄일 수 있는 방향과 과제를 모색하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선행연구검토를 통해 불안에 영향미치는 독립변수를 인구사회학적 특성, 병원 이용 특성, 환경적 요인, 전문가적 요인으로 구분하였으며, 불안수준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Beck이 개발한 불안척도를 Kim과 Yook이 한국어로 번역한 한국판 BAI를 수정 보완하여 종속변수의 척도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자기공명영상실 내원 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최종분석자료 144부를 활용하여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요인분석과 빈도분석, 기술분석, t-검정,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대상자의 불안수준은 평균 1.71점으로 매우 낮은 불안감을 나타냈으며, 인지․정서 영역 불안감은 1.89점, 신체 영역 불안감은 1.55점으로, 인지․정서 영역 불안감이 신체 영역 불안감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는 연령(β=.558, P<.001)이 낮을수록, 학력(β=-.317, P<.05)이 높을수록 병원 이용 불안감이 높으며, 기혼무배유자(β=-.330, P<.05)가 미혼에 비해 불안감이 낮으며, 1차 및 생산, 제조업(β=.248, P<.05) 직업군이 전문가 및 고위관료 직업군에 비해 불안감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병원 이용 특성에서는 병원 선택을 친구(β=.233, P<.05)가 하는 경우가 본인이 선택하는 경우에 비해 불안감이 높으며, 불안요인으로 검사결과(β=.240, P<.05)가 기타 요인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인지․정서적 불안감에 영향미치는 환경적 요인과 전문가적 요인 간의 회귀분석에서 환경적 요인을 투입했을 때, 정신적 건강상태가 높을수록(β=-.571, P<.000), 가치관 및 대인관계가 낮을수록(β=-.275, P<.01) 불안감이 높게 나타났다. 전문가적 요인을 함께 투입했을 경우, 정신적 건강상태가 높을수록(β=-.420, P<.000), 가치관 및 대인관계가 낮을수록(β=-.239, P<.001), 각종 절차에 대한 불안감이 높을수록(β=-.443, P<.000), 불안감이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신체적 불안감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과 전문가적 요인 간의 회귀분석에서 환경적 요인은 투입했을 때, 정신적 건강상태가 높을수록(β=-.412, P<.000), 가치관 및 대인관계가 낮을수록(β=-.219, P<.01) 불안감이 높게 나타났다. 전문가적 요인을 함께 투입했을 경우, 정신적 건강상태가 높을수록(β=-.312, P<.000), 가치관 및 대인관계가 낮을수록(β=-.186, P<.001), 각종 절차에 대한 불안감이 높을수록(β=-.300, P<.000), 불안감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병원 이용 환자들의 불안감을 줄일 수 있는 제도적, 실천적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병원마다 노인 환자의 불안감을 줄일 수 있도록 심리정서지원서비스의 개발과 운영이 필요하다. 노인의 심리적 안정을 위한 상담가, 노인 환자를 전담하는 행정가 등의 배치가 필요하며, 노인 특성을 고려하여 병원 이용 절차와 방법에 대한 알기 쉬운 설명과 반복적 설명이 제공되어야 하며 병원 행정서비스의 친절도 등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병원 이용 시 동반하는 가족들도 병원 이용 고객이라는 관점에서 통합적으로 접근할 필요성이 있다. 정확한 정보의 제공을 통해 이용환자는 물론이고 동반 가족들의 불안감을 줄일 필요가 있다. 셋째, 병원 이용 서비스 요구도가 증가할 것을 고려해 볼 때 환자의 가치관 및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안을 병원 차원에서 모색해야할 것이다. 이는 환경적 요인에서 환자의 가치관 및 대인관계 정도가 불안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요인으로 나타났는데, 노령화 사회 및 만성질환자의 증가추세를 고려할 때 불안감을 줄이기 위한 가치관 및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서비스 제공은 반드시 보완되어야 할 부분이다. 마지막으로, 병원 이용 환자의 불안감을 줄이기 위해 절차 및 검사 과정에 대한 충분한 설명과 안전한 환경 제공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