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학습자 문어 텍스트에 나타나는 텍스트 응결장치(cohesive devices) 사용 연구 : 중국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eatures and general tendencies of Chinese learning Korean language while utilizing cohesive devices in writing. This is achieved through analyzing the writing habits and style of Korean learners. 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eatures and general tendencies of Chinese learning Korean language while utilizing cohesive devices in writing. This is achieved through analyzing the writing habits and style of Korean learners. Thereafter, the results are compared and verified with previous studies in this field. This study focuses on the following areas: Reference, Conjunction, and Lexical cohesion.
Text is a linguistic unit of one sentence or more. At the same time it also establishes communication. In other words, text is not just a simple list of meaningless linguistic components. It has to be meaningfully bonded. Letting text be like a text is textuality. Beaugrande and Dressler(1981) suggests that there are seven criteria forming textuality. One of the aforementioned criteria standards is cohesion in which this study focuses on. Cohesion is built utilizing cohesive devices. Cohesive devices are explicit marks on text which allows foreign language learners to better communicate. It is significantly more challenging to change content in written text as compared to spoken text. Thus, it is crucial to utilize cohesive devices in order to produce logical written text.
This explores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es to examine the tendencies and features of utilizing cohesive devices by Chinese learning Korean language. The first chapter stresses the purpose as well as importance of this study.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and summarized. Based on previous studies, direction for this research is determined. In chapter 2, in depth study of theories with regards to text, textuality, cohesion and cohesive devices are discussed extensively. Cohesive devices consisting of four subcategories namely Reference, Conjunction, Lexical cohesion, and Ellipsis are further elaborated. Based on the theoretical findings, definitions used for this study are determined. Subsequently, chapter three proposes the methodology for research, introduces the framework and the research subjects. Detailed analysis of the tendencies and features of 84 written texts by Chinese learning Korean at 3 learning levels namely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is carried out. Analysis of the written text is carried out based on utilizing theoretical cohesive devices framework in the following areas: Reference, Conjunction and Lexical cohesion.
In chapter four, results from the analysis are discussed based on pre-determined framework proposed in chapter three. Thereafter, the results from analysis are then compared in detail with prior related studies. Chinese learning Korean is observed to be utilizing cohesion devices frequently in the order ‘Reference < Conjunction < Lexical cohesion’. As the proficiency of the learners increase, there is a correlated increase in the utilization for the meaning · function in various forms. It is observed from the texts that learners use the function of maintaining topics among meaning · function items most frequently. There is also a strong preference for using ‘그’ among the other Reference expressions. In terms of the frequency of utilization for Conjunctions, learners at all proficiency levels displayed similar usage tendencies. Out of the 15 categories, the following meaning · function categories are used most frequently: causality, time · order, hypothesis · condition. In addition, connective endings as well are frequently utilized. As the level of proficiency attained by the Chinese learning Korean increases, there is an increase in variety when utilizing meaning · function and conjunctive forms. Under meaning · function of Lexical cohesion, learners use synonym most often follow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hypernym and hypoym.
The final chapter concludes and stresses 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This study is necessary as firstly it suggests the frameworks and methodology for analysis based on extensive theoretical research. Secondly, it identifies the general tendencies while utilizing the cohesive devices by Chinese learning Korean through validating and comparing the analysis results with that of prior researches. Therefore this study will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tendencies to utilize cohesive devices in Korean written text by Chinese learners.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문어 텍스트에서 나타나는 응결장치(cohesive devices)의 사용 양상 및 특징을 밝히는 데 있다. 이에 따라 학습자들의 작문을 분석한 후, 이를 선행...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문어 텍스트에서 나타나는 응결장치(cohesive devices)의 사용 양상 및 특징을 밝히는 데 있다. 이에 따라 학습자들의 작문을 분석한 후, 이를 선행연구 결과와의 비교 및 검증을 통해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응결장치를 사용함에 있어 나타나는 일반적인 경향을 파악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 다룬 응결장치로는 ‘지시(reference), 접속(conjunction), 어휘적 응결성(lexical cohesion)’이 있으며, 숙달도에 따른 응결장치의 사용 양상을 함께 살펴보았다.
텍스트는 의사소통을 실현하는 문장 이상의 언어 단위이다. 즉, 텍스트는 언어 성분들의 단순한 나열이 아닌 의미적으로 연결된 하나의 짜임 있는 언어 완성체인 것이다. 이때 텍스트를 텍스트답게 해주는 성질을 텍스트성(textuality)이라고 한다. Beaugrande and Dressler(1981)는 텍스트성을 이루는 7가지 기준을 제시하였는데, 본고에서는 그 중의 하나인 응결성(cohesion)에 관심을 갖는다. 응결성은 응결장치(cohesive devices)를 통해 형성된다. 응결장치는 텍스트 표면에서 텍스트의 결속력을 구현하는 일종의 명시적 표지로 미숙한 한국어 학습자들이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장치이다. 무엇보다 구어와 달리 문어 텍스트에서는 내용을 번복하는 데 제약이 있는 관계로 논리성을 갖춘 문어 텍스트를 형성하기 위한 텍스트 응결장치 교육이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
본고는 이에 근거하여 중국인 학습자들의 텍스트에 나타난 응결장치의 사용 양상 및 특징을 양적 접근과 질적 접근을 통해 다각적으로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본고의 개괄적인 구성 및 요약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제1장, 서론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제시하고,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본고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에 해당하는 제2장에서는 텍스트와 텍스트성, 응결성과 지시(reference), 접속(conjunction), 어휘적 응결성(lexical cohesion), 생략(ellipsis)의 응결장치를 다루고 본고에서 따르는 개념이 무엇인지를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제3장에서는 연구의 구체적인 절차 및 방법, 연구 대상, 분석틀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초급, 중급, 고급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작문 84개를 대상으로 ‘지시, 접속, 어휘적 응결성’의 사용 양상 및 특징을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는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제시함과 동시에 선행연구와의 비교, 검증의 단계를 거쳤다. 중국인 학습자들은 ‘지시 < 접속 < 어휘적 응결성’의 순으로 응결장치를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학습자들은 숙달도가 높아질수록 지시의 의미·기능 항목들을 다양하게 사용하였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들을 구사하고 있었다. 학습자들이 가장 많은 사용한 의미·기능 항목은 화제 유지였으며, ‘그’계 지시어를 선호하고 있었다. 접속에서는 모든 숙달도에서 유사한 사용 양상을 보였다. 학습자들은 의미·기능에서는 인과, 시간·순서, 가정·조건, 나열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형태적으로는 연결어미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또한 숙달도가 높아질수록 다양한 의미·기능 항목들과 접속어들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휘적 응결성에 있어서는 동일어 관계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상·하위어 관계 역시 많이 사용된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 제5장,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논의들을 정리하며, 의의를 도출하였다. 본고가 갖는 의의는 크게 두 가지로 정리 가능하다. 첫째, 선행연구의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문어 텍스트에 나타나는 응결장치를 분석하기 위한 분석틀과 분석 방법을 새롭게 구성하였다. 둘째, 분석 결과를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것과의 비교 및 검증의 단계를 거쳐 중국인 학습자들의 일반적인 응결장치 사용 경향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문어 텍스트에서 응결장치를 사용함에 있어 나타나는 경향성을 이해하는 데에 본 연구가 도움이 될 수 있길 기대해 본다.

참고문헌 (Reference)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