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니의 자녀 수반 자기가치감이 부모 자녀 관계와 어머니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가 자녀의 성취에 자신의 가치감을 수반시키는 경향(자녀 수반 자기가치감)과 부정적인 부모 자녀 관계, 그리고 어머니의 우울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가 자녀의 성취에 자신의 가치감을 수반시키는 경향(자녀 수반 자기가치감)과 부정적인 부모 자녀 관계, 그리고 어머니의 우울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전국에 중학생 또는 고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 400명을 대상으로 어머니의 자녀 수반 자기가치감 척도, 부모 자녀 간 역기능적 상호작용 척도, 우울(CES-D) 척도 순으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고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자녀 수반 자기가치감, 부모 자녀 간 역기능적 상호작용, 우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변인들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연구 모형 검증 결과, 어머니의 자녀 수반 자기가치감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부모 자녀 간 역기능적 상호작용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녀 수반 자기가치감 자체가 어머니의 심리적인 적응을 저해하는 직접경로보다 자녀의 성취에 어머니 자신의 가치를 수반하면서 발생하는 역기능적인 부모 자녀 관계가 어머니의 심리적인 적응을 저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교육 경쟁이 과열된 한국 사회에서 자녀의 성취를 중시하고 이로부터 자신의 가치를 확인받는 한국 어머니들의 심리적인 특성이 부모 자녀 관계에 중요한 영향미치고 나아가 어머니의 우울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상담 장면과 부모 교육 장면에서의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 of the mother's tendency to base her self-worth on the child's achievement(child-based self-worth), negative parental relationship, and the mother's depression. For this purpose, 400 Korean mothers with childr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 of the mother's tendency to base her self-worth on the child's achievement(child-based self-worth), negative parental relationship, and the mother's depression. For this purpose, 400 Korean mothers with children in middle and high schools completed the survey including Child-based Self-worth Scale, Adolescent-Parent relationship Scale, and CES-D sca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mother's child-based self-worth, dysfunctional parent-child interaction, and depress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one another. Second, dysfunctional parent-child interaction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child-based self-worth and depression. This implied dysfunctional parent-child interaction occurring due to the mother's seeking her self-worth on her child's achievement hindered the mother's psychological adjustment more than the mother's child-based self-worth itself did. The findings showed the mother's psychological tendency to value the child's academic achievement and to confirm her self-worth in the performance-driven Korean society affected parental relationship and the mother's depression.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for counseling and parent education settings were discussed.

韩语毕业论文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