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2010년 이후 중국에서 출판된 한국 언어 문화 통합 교재 8권을 일정한 기준에 맞추어 분석하여 각 교재들의 특징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중국에서의 한국 문화 교육의 전반적인 경향...
본 논문은 2010년 이후 중국에서 출판된 한국 언어 문화 통합 교재 8권을 일정한 기준에 맞추어 분석하여 각 교재들의 특징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중국에서의 한국 문화 교육의 전반적인 경향을 살펴보며 최종적으로 교재들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한·중 수교 이후 중국 내 한국어 교육은 점차 활발해지고 있으나 언어의 네 가지 기능 방면을 중심으로 한 의사소통 위주로 집중되어 있어 문화 방면은 아직까지 비중 있게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 중국 내 한국어 학습자의 경우 교재를 통해서 한국어와 한국 문화에 대해 학습하게 된다. 이런 환경일수록 학습자와 학습 내용을 이어주는 교재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중국에서 출판된 한국 언어 문화 통합 교재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교재 분석 기준을 크게 ‘내용 구성’, ‘학습 내용’, ‘부록’으로 나누었다. 분석을 통해 발견한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내용 구성’의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교재가 학습 대상 및 숙달도를 명시하지 않고, 전체 구성 및 단원 구성은 단순한 학습 단계만으로 그치는 교재가 많았다. 학습 목표와 학습 전 활동 역시 거의 모든 교재에서 이를 다루지 않고 있다. 문화 내용 이해 확인 학습 활동도 대부분의 교재에서는 문화 내용 학습 후 이를 명확히 이해했는지 확인할 방법이 없다. 자가 점검 항목은 모든 교재에서 제시하지 않았다. 시각자료의 경우 흔들린 초점, 저화질의 시각자료를 사용하거나 필요 이상으로 과잉 사용한 경우가 빈번했다. 마지막으로 매개 언어는 대부분의 교재가 한국어나 중국어를 같이 제시하는데 일부 본문이나 질문에 대한 중국어 번역이 없는 교재는 독학용 교재로 활용하기 어려울 것으로 사료되었다.
다음으로 ‘학습 내용’은 문화와 어휘를 중심으로 하였는데 먼저 문화 제시 방식에 있어서는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교재들은 대부분이 설명 방식이며 일부는 대화·설명 방식으로, 문화 제시 방식이 한정적임을 확인하였다. 문화 내용은 ‘한국인의 생활’, ‘한국사회’의 범주가 가장 많았고 ‘한국의 역사’, ‘외국인의 한국생활’은 거의 없어 다양한 문화 내용이 고르게 분포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교재 내 문화 내용 분석을 통해 발견한 문제점은 교재가 오래전에 출판되어 발생하는 통계, 수치, 내용상의 오류들, 한국에 대한 지나치게 부정적인 내용, 교재 내용의 전문성 결여, 문화 내용 선정의 타당성 부재, 일방적인 한국 문화 전달, 비표준어 사용과 띄어쓰기 오류 등 이상의 6가지로 종합해 볼 수 있다.
이어서 어휘 제시 방식의 경우, 본고 대상이 되는 교재 중 어휘를 제시하고 있는 소수의 교재들 대부분이 한국어 어휘에 대한 중국어 대역어를 제시하는 방식을 채택하여 문화 제시 방식과 더불어 한정적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부록’에서는 소수의 교재만 CD를 제공하여 중국 내 언어 문화 교재에서 듣기가 차지하는 중요성이 얼마나 적은지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모범 답안의 유무를 살펴본 결과로는 단 한 권만이 이를 제시하여 다른 교재들은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 활동에 대한 답이 맞는지 확인할 방법이 없어 불편을 초래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논문은 중국에서 출판된 한국 언어 문화 통합 교재 개발에 관한 연구들의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으며, 기존의 연구들처럼 중국 대학의 교재만이 아닌 일반 목적의 교재까지 포함하여 분석하였고, 기존 교재들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여 향후 교재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eight Korean language-culture textbooks published after 2010 following the certain standards, apprehend features and problems of each textbook, and ultimately propose improvement on those problems found on the book, consider...
This study aims to analyze eight Korean language-culture textbooks published after 2010 following the certain standards, apprehend features and problems of each textbook, and ultimately propose improvement on those problems found on the book, considering current general trend of Korean culture education in China.
After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although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been gradually active in China, education of Korean culture has not been given major coverage since the education emphasizes only linguistic communication, mainly concentrating on four language skills. In case of Korean language learners in China, they learn about Korean and its culture through their textbook, and therefore, the role of the textbook, which links between the learner and the learning material, becomes significantly important. The study, thus, presents problems of Korean language-culture integrated textbooks published in China by analyzing carefully, and suggests solutions on those problems.
The study divides standard of textbook analysis into three: the composition of the contents, the learning material, and the addendum. The problems discovered while analyzing are as follows: When analyzing ‘the composition of the contents’, most textbooks did not clearly state their learning targets and proficiency, and composition of overall books and chapters ended up only on simple levels. Learning objective and pre-learning activity were also not covered in most textbooks. Learning activities for comprehension of Korean culture are hard to assure if the learner clearly understood the material after learning. Self-check part was missing in all the textbooks. In case of visual aid, unfocused, low-definition materials were used, and they were often overused. Finally, considering intermediary language, most textbooks presented Korean and Chinese at the same time. However, some passages and questions did not have Chinese interpretations, which determines the book as improper for self-studying learners.
Next, when analyzing ‘the learning material’, we concentrated on Korean culture and vocabulary. In terms of presentation of Korean culture, the targeted textbooks mostly explained Korean culture, some of which took the method of conversation and explanation, and this assured that the methods of presenting Korean culture on the books are too limitative. ‘Living of Korean’ and ‘Korean society’ accounted for the major parts of the contents of Korean culture presented in the books. On the other hand, ‘Korean history’ and ‘Foreigner’s life in Korea' took little part of the contents, which shows that themes of Korean culture were not evenly suggested.
The problems discovered through analyzing the contents of Korean culture in the targeted books can be defined as following six: errors on contents and statistics because the books were published long ago, way too much negative contents against Korea, specialty deficiency of the books, absence of validity in determining the contents of Korean culture, unilateral delivery of Korean culture, using nonstandard language and mistakes in word spacing.
In case of vocabulary, some textbooks which presented vocabulary among targeted books adopted the method of presenting Chines equivalent to Korean words, showing limit along with the method of presenting Korean culture.
Finally, when we checked up addendum on each book, few books offered audio CDs, which shows how little importance listening part takes in Korean language-culture textbooks in China. Among the targeted Korean language-culture textbooks, only one book offered answer sheet, indicating difficulty for learners in checking their answers.
This study can be a reference material on developing Korean language-culture textbooks in China. This study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not just analyzed only textbooks of Chinese colleges as former study did, but also it included textbooks with general purpose, and in that it can aid later textbook development as it suggested improvement plan on problems of existing textbooks.
,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