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조선족학교의 조선어 교육 실태 연구: 조선족 신흥집거지 청도시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Reorganization of Korean ethnic enclaves in China is an unstoppable trend. New Korean ethnic enclaves have been created in east coast area and many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have settled there. Among them, Qingdao became the most popular place am...

Reorganization of Korean ethnic enclaves in China is an unstoppable trend. New Korean ethnic enclaves have been created in east coast area and many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have settled there. Among them, Qingdao became the most popular place among ethnic Koreans because of its geographical location or economic reasons. Many ethnic Korean schools in Beijing and Shanghai are destined to be closed but here two ethnic Korean schools are being operated very well. They succeed to language education of our peopl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dentify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Korean language use of students and teachers of ethnic Korean schools in Qingdao (Jeongyang School and Seowonjang School) and ethnic Korean adults living in the area, to find problem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o prepare measures to resolve such problems. In Chapter 1, purpose and necessity of study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new ethnic enclaves, subjects and methods of the study are mentioned. When reviewing previous studies, they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such as studie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overseas Koreans and that to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In Chapter 2, migration history of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is described. Their movements from the Korean Peninsula to China and from Chinese traditional ethnic enclaves to new ethnic enclaves are shown. Next, studies on concept, development process and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of ethnic Koreans are summarized. Finally, status of the two ethnic Korean schools in new ethnic enclaves are presented through field study. In Chapter 3, study methods are described. Theories to perform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are reviewed and an experimental study is prepared through survey composition. Survey results a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for the final analysis. In Chapter 4, difference in the results between students, teachers and other adults in new ethnic Korean enclaves and those in traditional ethnic Korean enclaves. It is tried to identify problem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new ethnic enclaves. In Chapter 5, proposals to resolve problems found in the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as the result of the study. As the result of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through field experience and survey, problem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ethnic Korean Schools in Qingdao are presented as educational environments, educational curriculum and artificial factors. Qingdao is located outside of self-governing zone by ethnic Koreans so it does not receive supports from government. But schools are well operating with efforts of schools and society. In educational curriculum, it is verified that the curriculum optimized for new environments through textbook, teachers and class units should be designed, and it is confirmed that ethnic identity should be highlighted to ethnic Korean adul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focuse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new ethnic enclaves, which has not been much studied. In new ethnic enclaves, there are environmental problems and artificial problem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Meaning of this study may lie in that it tries to identify alternative resolutions of these problems.

중국에서 조선족 신흥집거지의 재편은 막을 수 없는 추세이며 이미 동부 연해 지역에 형성되어 많은 조선족들이 정착하고 있다. 그중 청도시는 지리적인 위치나 경제적인 원인으로 인하여 ...

중국에서 조선족 신흥집거지의 재편은 막을 수 없는 추세이며 이미 동부 연해 지역에 형성되어 많은 조선족들이 정착하고 있다. 그중 청도시는 지리적인 위치나 경제적인 원인으로 인하여 현재 중국에서 조선족이 가장 많이 살고 있는 지역이 되었다. 또한 중국에서 북경, 상해 등 집거지의 조선족학교들이 폐교의 운명에 처해 있지만 이곳에는 두 조선족학교가 지금도 잘 운영되고 있어 한국어 교육을 이어가고 있다. 본 연구는 청도시 조선족학교(정양학교, 서원장학교)의 학생과 교사, 현지에 거주하는 조선족 성인들의 조선어 사용 실태와 조선어 교육에 대한 태도에 기초하여 조선어 교육 현황을 짚어보고, 조선어 교육에서 나타나는 문제점과 그에 대한 대안을 세우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장에서는 중국 조선족 신흥집거지 조선족학교의 조선어 교육을 연구하는 목적과 필요성, 연구 대상과 방법을 언급했다. 선행 연구 검토에 있어서 크게 두 부분으로 국외 재외동포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한국어 교육에 대한 연구와 중국의 조선어 교육에 대한 연구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2장은 중국 조선족의 이주 역사를 서술하여 한반도에서 중국으로 이주, 중국 전통집거지에서 신흥집거지로 이주하는 역사를 보여 주었다. 다음, 조선족의 민족 교육과 조선어 교육에 대하여 개념, 발전 과정 및 현황에 대해 그간 이루어진 연구를 통해 정리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현장 조사에 의한 신흥집거지 두 조선족학교의 현황을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연구 방법으로 실태 조사를 진행하기 위한 이론을 바탕으로 한 설문지의 구성을 내용과 설문 조사의 절차를 기술하였고, 설문 결과를 세 집단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4장은 조선족 신흥집거지의 학생, 교사 및 성인을 대상으로 한 실태 조사 결과와 전통집거지의 차이를 알아보고, 신흥집거지의 조선어 교육 문제점을 찾아보았다. 5장은 연구 결과로 실태 조사를 통한 현황의 문제점에 대하여 제안을 했다. 현장 체험과 설문을 통한 실태 조사 결과 신흥집거지 청도시 조선족학교의 조선어 교육의 문제점으로 교육 환경과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청도시는 조선족 자치 구역을 벗어난 지역으로 정부의 지원을 받지 못한다는 환경적 어려움이 있었으나 학교와 사회의 노력으로 학교가 잘 운영되고 있었다. 그 외 교육 과정에서는 교재, 교사와 수업 시수를 통해 새로운 환경에서 그 환경에 맞는 교육과정을 설계해야 한다는 것을 검증했다. 또한 조선족 성인들의 인식에서도 민족 정체성이 약해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신흥집거지의 조선어 교육에 초점을 맞추었는데 이것은 그간 연구에서 관심의 대상이 되지 못했던 지역에 대한 연구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경제적 문제로 인해 전통집거지의 인구는 계속 줄어들고 이들은 신흥집거지로 이동이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신흥집거지는 조선어 교육을 받는 데에 전통집거지와는 다른 양상을 보이므로 이런 문제에 대한 대안을 찾아보고자 한 점에 있어 본 연구의 의의가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