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어 조사 교육에서 조사 연속 구성에 관한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고 기본적인 체계를 마련하고자 교육용 조사 연속 구성의 목록을 구축하고 학습자들이 실... 본 연구는 한국어 조사 교육에서 조사 연속 구성에 관한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고 기본적인 체계를 마련하고자 교육용 조사 연속 구성의 목록을 구축하고 학습자들이 실제 사용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등급별 교육 내용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조사 연속 구성은 한국어 모어 화자의 말뭉치와 한국어 교재 및 한국어능력시험에서 다양한 항목들이 나타나고 있지만 실제 교수 항목으로는 각 자료별로 두세 개에 불과하여 학습자들이 조사 연속 구성을 단계적이고 체계적으로 습득할 기회가 거의 없었다. 또한 제시되는 교육 항목마저도 각각의 자료에서 항목과 등급이 모두 다르게 설정되어 기본적인 교육용 목록 구축이 필요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조사 연속 구성에 대한 교육이 단일 조사에 대한 인식 재점검에서 출발하여 궁극적으로는 한국어 조사 습득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기에 조사 교육의 범주에 조사 연속 구성까지 체계적으로 포함시켜야 한다고 보고, 이를 위해 구체적인 등급별 한국어 교육용 조사 연속 구성의 목록과 실제 교육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단계별 교육 항목을 선별하여 제안하였다.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제시하고 연구 대상 및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선행 연구도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인 조사 연속 구성의 개념과 범위, 유형의 경우 기존 논의에서 다양한 용어가 혼재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범위에 있어서도 학자마다 달랐다. 본고에서는 복합 조사 또한 하나의 단일 조사로 인정하고, ‘체언 뒤에 연속되는 두 개 이상의 조사 간의 결합체’를 ‘조사 연속 구성’이라고 정의하였다. 또한 조사 연속 구성의 유형은 임동훈(2004)의 분류 체계를 기본으로 하였다. 다음으로 조사 연속 구성에 관한 연구는 크게 습득 양상에 관한 연구와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최근 개정된 교재 및 한국어능력시험에 대한 분석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구체적이고 객관적인 등급별 한국어 교육용 조사 연속 구성의 목록을 제시한 연구도 없었다. 또한 학습자 오류를 반영한 실질적인 교육 내용에 대한 논의 역시 부족하였다. 2장과 3장에서는 조사 연속 구성의 노출 양상을 살피고 교육용 목록을 구축하기 위해 한국어 모어 화자 자료, 한국어 교육 자료를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2장에서는 한국어 모어 화자 자료로 21세기 세종 계획 문어 말뭉치와 구어 말뭉치를 살펴보았으며 총 98항목이 나타났다. 공통 항목은 30%이고 50%에 이르는 항목이 구어 말뭉치에서만 나타났으며, 특히 축약형과 구어형이 발견되었다. 3장에서는 한국어 교육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모형과 한국어 교재, 한국어능력시험에서의 노출 양상을 살펴보았다.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모형에서는 3항목이, 교재 4종에서는 5항목이 교육 항목으로 설정되어 있었으나 교재의 경우는 각 교재가 제각각 다른 한두 항목으로 제시되었고,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모형에서 권장되고 있는 항목이 제시된 경우는 없었다. 또한 교육 항목으로 제시되는 수에 비해 전 교재에서 노출되는 항목은 총 113개에 달했다. 마지막으로 한국어능력시험에서는 초·중·고급 모든 등급에서 66항목이 나타났다. 4장에서는 앞서 살펴본 자료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발견된 문제점을 보완한 한국어 교육용 조사 연속 구성의 목록을 구축하였다. 또한 5장에서는 조사 연속 구성의 교육을 위해 구축된 목록을 대상으로 등급을 설정하고, 학습자 조사를 통해 나타난 습득 및 오류 양상과 함께 조사 연속 구성의 교육 내용을 살펴 단계별 교육적 의의가 있는 항목을 선별하여 교육 내용과 함께 제시하였다. 6장에서는 본 연구를 정리하며 의의와 한계점을 밝혔다. 앞으로 조사 교육의 일환으로 조사 연속 구성에 대한 교육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후속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