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초급 교재의 분석을 통한 시각 자료 제시 방안 연구 :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In this research, the nonverbal communication factors of the visual materials included in elementary Korean textbooks were analyzed and based on this, effective implementation methods of the visual materials were explored. In Chapter 1, pointing out t...

In this research, the nonverbal communication factors of the visual materials included in elementary Korean textbooks were analyzed and based on this, effective implementation methods of the visual materials were explored. In Chapter 1, pointing out that the nonverbal symbols included in Korean textbooks were not visualized as appropriate expressions and meanings, the appropriateness of the analysis of the Korean textbooks that are currently being used was examined, and the necessity of the proper methods of presenting visual materials was stated. In Chapter 2, the theories of nonverbal communication which will becomes the basis of the applicable research and the concept and the types of nonverbal symbols which are basic factors of nonverbal communication were examined. Also, the educational effects and educational value of the visual materials provided in Korean textbooks were dealt with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s that can be applied to the research were confirmed. In Chapter 3, the analysis objects of the analysis of Korean textbooks, the research methods and the criteria of analysis were prepared. As the analysis objects, a total of 4 different elementary Korean textbooks were se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learning goals presented by Huh Ji-ae (1964) and the research method was the encoding in accordance with Harrison’s (1964) ‘picture analysis.’ Also, with regard to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survey participants and the research methods were described. The survey participants were 92 foreigners living in Korea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y 1, 2016 to May 14, 2016 using online questionnaires and questionnaires. In Chapter 4, through the criteria of analysis presented previously, the visual materials included in the elementary Korean textbooks were encoded and analyzed. The analysis objects were the visual materials in which nonverbal communication symbols are included, and focusing on ‘the action of the communicators’ of the nonverbal communication symbols represented in the elementary Korean textbooks, the expressions, sight symbols, gesture and contact symbols, playful symbols, which can be encoded, were analyzed. Also, to investigate the foreigners’ awareness and needs with regard to the nonverbal symbols in Korean textbooks,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visual materials of the elementary Korean textbooks that are currently being used. Through this, the ways to present and utilize the nonverbal symbols effectively were examined and with regard to the nonverbal symbols represented in the elementary Korean textbooks, the ways to present the visual materials that can be visualized efficiently were discussed. In Chapter 5, the contents of this research were summarized and reviewed and the derived conclusion and limitations were presented.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that the visual materials of the elementary Korean textbooks that are the tools to raise the learning effectiveness and the trends of the nonverbal symbols that are currently being used in the elementary Korean textbooks were grasped and built into database and the objective analysis criteria were prepared. The research on the nonverbal symbols in the visual materials will become the indicator that shows the system and the criteria of the nonverbal communication factors. This researcher expects that the analysis and research on the applicable Korean textbooks which are the basic data that can be used for nonverbal communication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ill also become useful data that can be additionally discussed in future analytical researches on Korean textbooks.

연구에서는 한국어 초급 교재에 포함된 시각 자료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요소들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각 자료에 대한 효과적인 구현 방안을 모색하였다. 제1장에서는 한국어 교재...

연구에서는 한국어 초급 교재에 포함된 시각 자료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요소들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각 자료에 대한 효과적인 구현 방안을 모색하였다. 제1장에서는 한국어 교재에 포함된 비언어 기호가 적절한 표현과 의미로 시각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한국어 교재 분석의 적합성을 살피고, 올바른 시각 자료 제시 방안의 필요성에 대해 피력하였다. 제2장에서는 해당 연구의 기초가 될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대한 이론과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기본 요소인 비언어 기호의 개념과 유형을 살펴보았다. 또한 한국어 교재에서 제공되는 시각 자료의 교육 효과 및 교육적 가치를 다루어, 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이론적 배경을 확인하였다. 제3장에서는 한국어 교재 분석에 대한 분석 대상 및 연구 방법, 분석 기준을 마련하였다. 분석 대상은 허지애(2010)에서 제시한 학습 목적에 따라 총 4종의 한국어 초급 교재로 선정하였으며, 해리슨(1964)의 ‘그림 분석(pictic analysis)’ 이론에 따른 코드화를 분석 방법으로 정하였다. 또한 설문 조사에 대하여 조사 대상 및 연구 방법을 기술하였다. 설문 대상자는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 92명으로, 2016년 5월 1일부터 2016년 5월 14일까지 온라인 설문지와 종이 설문지를 혼용하여 진행하였다. 제4장에서는 앞서 제시된 분석 기준을 통하여 한국어 초급 교재에 포함되어 있는 시각 자료를 대상으로 코드화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비언어적 의사소통 기호가 포함된 시각 자료로, 한국어 초급 교재에 나타나 있는 비언어적 의사소통 기호들 중 ‘의사소통자의 행위’에 초점을 두어 코드화가 가능한 표정·시선 기호, 몸짓·접촉 기호, 형유적 기호를 분석하였다. 또한 한국어 교재 내 비언어 기호에 대한 외국인들의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기 위하여, 현재 사용되고 있는 한국어 초급 교재의 시각 자료를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비언어 기호의 효과적 제시 및 활용 방안을 살피고, 현재 한국어 초급 교재에 나타난 비언어 기호에 대해 이를 효율적으로 시각화할 수 있는 시각 자료 제시 방안을 논의하였다. 제5장에서는 본 연구에 대한 내용을 정리 및 검토하고, 그에 따른 결론과 한계점에 대해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 초급 교재의 시각 자료를 학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도구로서, 현재 한국어 초급 교재에서 사용되고 있는 비언어 기호의 경향에 대해서 파악하고 데이터화하여, 객관적인 분석 기준을 마련하였다 점에서 의의가 있다. 시각 자료에 있어서 비언어 기호 연구는 비언어적 의사소통 요소에 대한 체계와 기준을 보여주는 지표가 될 것이다. 해당 한국어 교재 분석 연구가 한국어 교육에서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교육과 시각 자료 연구에 사용될 수 있는 기초 자료로서, 앞으로의 한국어 교재 분석 연구에서도 추가로 논의할 수 있는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길 기대한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