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학습자들의 글쓰기, 한국어로 의사소통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한국어 문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대학 및 대학원에서 한국어를 연구하는 학문목적 학... 본 연구는 학습자들의 글쓰기, 한국어로 의사소통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한국어 문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대학 및 대학원에서 한국어를 연구하는 학문목적 학습자들의 학술적인 글쓰기, 논문 작성하기 등에 있어서 문형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를 위하여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국어 문형 제시 양상을 검토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학습자들의 한국어 문형 사용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교육 과정의 문제점을 검토하기 위하여 각 기관에서 출판된 교재의 한국어 문형 제시 방법을 분석하였고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서술어 부류를 이용한 서술어 중심의 문형 교육이 효과적임을 보인다. 외국인 학습자들은 한국어 교육 과정을 통하여 학문목적 글쓰기에 있어서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 살펴보고 앞으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한국어 문형에 대한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에 관한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1장에서는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주로 표현문형과 관련된 것에 대한 많은 관심을 갖고 있으며 표현문형이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주를 이룬다. 반면에 본 연구에서 제시한 형식구조 문형 교육이 매우 중요한 문법 내용임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관심을 받지 못한 대상이었으며 문법 교육에 적극적으로 활용되지 못한 점을 들어 문형 교육 연구의 필요성을 논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밝히고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2장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형 제시 양상을 검토하였다. 한국어 문형으로 성분 중심보다 서술어 중심의 문형이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더 적절함을 밝혔으며 한국어 교육 현장에 필요한 문형을 재제시하였다. 또한 한국어 문형이 서술어에 의하여 ‘이다’ 문형, 형용사 문형, 동사 문형으로 나누었고 다시 ‘이다’ 문형 8개, 형용사 문형 11개, 자동사 문형 20개, 타동사 문형 11개로 나누어 모두 50개의 문형을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대학 교육 기관의 한국어 교재 분석을 통하여 한국어 문형 교육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문형 교육이 교재에 적극적으로 제시되지 않고 있으며 기존의 기본문형 중심, 조사 중심의 문형 설정이 한국어 문형을 문법 항목에 구체적으로 제시하기 어렵게 하는 요인임을 보았다. 그리고 서술어 중심 문형도 어떤 교재에서 제시하였지만 거의 개별 서술어 혹은 주제에 맞는 서술어에 의한 문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문제 검토를 통해서 한국어 문형 교육이 서술어 중심의 문형으로 제시되어야 하고 서술어 부류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밝혔다. 부록에서 이러한 서술어들을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외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문형을 사용하는 데 나타나는 문제를 검토하였다. 한국어 학습자들의 글쓰기 자료를 대상으로 2장에서 제시한 한국어 문형을 추출하여 한국어 문형 사용 양상과 한국어 문형 사용에 나타나는 오류를 분석하였다. 학습자들의 한국어 문형과 서술어 사용이 제한적이었고 한국어 문형 사용의 오류가 18%로 높았다. 이러한 오류율이 높다는 점을 통해 한국어 문형 교육이 필요함을 보았다. 논항 수가 많을수록 오류율이 높은 경향은 있었지만 논항 수와 상관없이 특히 이중주어문, ‘N이/V’, ‘N이/A’를 특별하게 높은 오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그것은 서술어에 따라서 발생한 조사 오류와 같은 오류가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격조사 중심의 교육이 한국어 문형을 대신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각 문형별로 어떤 오류 유형이 나타나는지를 살펴 학습자들의 문형 사용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오류율이 가장 높은 ‘N이/N을/V’ 문형을 예로 들어 교육 현장에서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핵심어: 문형 제시, 표현 문형, 서술어 중심, 교재 분석, 외국인 글쓰기, 문형 사용 양상, 오류 분석, 활용방안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Korean sentence structure pattern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to help them overcome the fear of communicating in written and spoken Korean, in particular, students researching Korean at universities and gra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Korean sentence structure pattern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to help them overcome the fear of communicating in written and spoken Korean, in particular, students researching Korean at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which are creating academic writing or thesis, etc., since there is a need and demand for that. Therefore the sentence pattern used in Korean education is reviewed and based on that the learners’ usage of the sentence structures is researched. Then, in order to examine the problems in the education process, the Korean language books made by the Korean language institutions and the sentence structure patterns used in them were examined and through in that process the effectiveness of sentence structures centered on the predicate was discovered. This study researches the difficulties that Korean language learners meet when doing academic writing and offers a plan by using sentence patterns in the education process that would be an advantage to them. The first chapter focuses on the education field and mainly on the pattern expressions in the teaching process. On the other hand, the target of this research is the grammar connected to the structure type of the sentences that despite of being important has received not enough attention and explains the need of a more active approach in the educational process. Apart from that the aim and the method of research is explained and a literature review is offered. In the second chapter the aspect of the sentence structures used in Korean education is reviewed. it revealed that sentence structures focused on the predicate are much more effective than component focused sentence structures and a sentence structure plan needed in Korean education was proposed. In addition in accordance with predicate sentence structures the structures were divided in ‘이다’ structures, adjective structures and verb structures and 50 sample structures – 8 ‘이다’ structures, 11 adjective structures, 20 intransitive verb structures and 11 transitive verb structures were proposed. In the third chapter the problems in the teaching of sentence structured was reviewed through an analysis of the books used in the Korean language institutions. Sentence structure based teaching were not actively used in the educational process and existing defaults based structures, and pre-set structures focused of the postpositional articles were found difficult to be offered properly as a grammar items. Also regarding the predicate based structures were used in some of the books, most each individual predicate was offered according to relation to the structure’s subject. By reviewing these problems it was revealed that a predicate based sentence structure should be used in the field of sentence structure education and that it should be centered around the predicate. In the appendix a list of such predicates is offered. Chapter 4 examined the problems that foreign learners have in using Korean sentence structures. Texts written by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Korean sentence pattern extracts suggested in Chapter 2 were used to analyze the errors that appear in Korean sentence patterns and sentence structure. Learners’ command of the sentence structures and predicate usage was limited and the error rate was as hogh as 18 percent. Through examining this high error rate the need for training Korean sentence structure patterns was shown. Although the error rate tends to be higher if there are more arguments present, the non-related to arguments error rate of sentences with the ‘N이/V’, ‘N이/A’ structures could also be seen. That is because apart from predicate related errors there were also postpositional article and other errors too. That shows that case particle based education cannot be used instead of sentence structure based education. The errors appearing in each sentence structure were examined and patterns of use of the sentence structures was analyzed. In order to deal with these problems the structure with the highest error rate ( ‘N이/N을/V’) and educational plan was offer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