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文摘要> 語言的象似性在現今的語言學研究中是一個熱門的研究方向,它從一個全新的角度去審視語言現象,試圖通過找到語言與現實生活的關聯性來解決一些語... <中文摘要> 語言的象似性在現今的語言學研究中是一個熱門的研究方向,它從一個全新的角度去審視語言現象,試圖通過找到語言與現實生活的關聯性來解決一些語言學上的難點。傳統的語言學理論對於我們正確理解語言的結構和特徵起到了很大的促進影响,但是隨著語言學研究的深入語言學家們逐漸發現了傳統語言學的許多不足。近代美國著名哲學家,美國符號學創始人之一 C.S.Peirce 率先表示語言機構具有象似性,他最先選取“Icon”以指稱這一現象,將“iconicity”用於表示語言符號的能指與所指間自然而又客觀的聯繫。人們開始積極主動地研究大量語言現象,努力發現並解釋其中語言形式和所表達意義或概念地象似性關係。 隨著中韓關係地發展,韓國“漢語熱”的升溫,學習漢語研究漢語的人越來越多,傳統的語法研究措施及以此為理論基礎衍生除的教學措施,韩语论文题目,已經顯現出越來越多的問題。因此,本文試圖從一個新的角度,通過引入象似性理論來對漢語和韓語進行對比研究,韩语论文范文,嘗試尋找語言研究的新方向。漢語和韓語由於基本的語言類型不同,在象似性的表現上也必然展現出不同的特性,本文在回顧和整理了象似性的歷史與理論的基礎上,又進一步將漢語和韓語在句法上的象似性理論提出整理。最後以漢語的特殊句型為例,將兩種語言的句法順序象似性進行對照研究。試圖找出漢語和韓語的象似性的關聯性與差異性,並嘗試對漢韓兩種語言的語法研究與教學提供全新視角的理論。
<국문 초록> 언어의 도상성(Iconicity)연구는 현재의 언어학 연구 가운데서도 큰 주목을 받는 연구 방향이다. 언어의 도상성 연구는 언어 현상을 지금까지와는 다른 각도로 파악하여 언어... <국문 초록> 언어의 도상성(Iconicity)연구는 현재의 언어학 연구 가운데서도 큰 주목을 받는 연구 방향이다. 언어의 도상성 연구는 언어 현상을 지금까지와는 다른 각도로 파악하여 언어와 현실 생활의 상관성을 찾아 언어학의 여러 난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둔다. 기존의 전통적 언어학이론이 언어의 구조와 특징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준 것은 사실이지만, 언어학 연구가 발전함에 따라 언어학자들은 전통적 언어학에서 여러 한계점을 발견하게 되었다. 도상성은 근대 미국의 저명한 철학자이자, 기호학 창시자인 찰스 샌더스 퍼스(C.S.Peirce)가 기호를 도상, 지표, 상징의 세 가지로 구별한 데서 출발하였다. 그는 가장 먼저 ‘Icon’을 하나의 현상으로 지칭하고, ‘Iconicity’로써 언어 기호의 기표(Signifier)와 기의(Signified) 간의 자연적이고 객관적인 관계를 표현했다. 이후 언어학자들은 여러 형태의 언어 현상을 적극적으로 연구하였고, 언어의 형식과 의미 혹은 개념 사이의 도상성 관계에 대해 밝혀냈다. 현재 중국은 한국 제1의 수출·수입국으로 한중관계가 중시됨에 따라 한국에서는 ‘중국어 학습 열풍’이 불고 있다. 그러나 전통적인 어법 연구 방법과 여기서 파생된 중국어 교육법은 이미 많은 문제점을 드러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시각으로 도상성의 이론을 도입하여 한국어와 중국어의 대조연구를 통해 한중 언어 연구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고자한다. 주지하다시피 중국어와 한국어는 다른 유형의 언어형태를 갖고 있기 때문에 도상성의 특징 역시 다르게 나타난다. 본고에서는 먼저 도상성에 대한 역사와 이론 등을 살펴본 후, 더욱 상세하게 한국어와 중국어 각각의 통사 층위 순서 도상성 양상을 정리하고, 중국어의 특수문형을 중심으로 한국어와 중국어의 통사 층위 순서적 도상성을 대조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 두 언어 간의 연관성과 차이점을 찾아 한중 언어 연구 및 중국어 교육법을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이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