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rpose: In order to asses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Job Embed- dedness (JE) instrument which was developed by Reitz OE (2014), the JE instrument was converted into a Korean version which reflects the different ethinical, cultural, and envi...
Purpose: In order to asses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Job Embed- dedness (JE) instrument which was developed by Reitz OE (2014), the JE instrument was converted into a Korean version which reflects the different ethinical, cultural, and environmental situation from the US.
Method: JE questionnaire items were translated into Korean and reviewed by experts and Content Validity Index(CVI) through a preliminary study by nurses. The questionnaire was then adjusted from 23 to 20 questions. Self- surveys with the Korean version of questionnaire were conducted from October 6, 2015 to October 31, 2015 on 300 nurses working at domestic general hospitals. Survey responses from 258 nurses were used for the investigation. The questionnaire was analyzed by SPSS 21.0 and AMOS 21.0 statistics programs which include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and Cronbach’s α.
Results: The validity of the results was evaluated by 10 experts. Three questions out of 23 were found to be less than 60% appropriate, which were removed from this survey. Consequently, we used 20 questions for this study. In order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As a result, the questionnaire was categorized into 5 factors. The 20 questions were adjusted to 17 questions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ategorized into 4 factors. The Korean version of the questionnaire with 17 questions showed Cornbrash’s α=.874, which indicates a high reliability. This study shows a strong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JE and the intention of changing jobs. This verifies the existence of the validity criteria.
Conclusion: The Korean version of the JE instrument has been confirmed to be reliable and valid.
The Korean version of the JE instrument has a questionnaire with a total of 17 questions: 7 questions regarding Organizational match, 5 questions regarding Employment benefit, 3 questions regarding Community match, and 2 questions regarding Work teams.
Going forward, this instrument can be useful in studying reasons for nurse turnover and in assessing the JE in Korea.
본 연구는 Reitz (2014)가 미국 간호사를 대상으로 개발한 직무착근도 도구를 민족, 문화, 언어, 환경 등의 차이를 반영하여 한국어로 수정ㆍ보완 후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방법론적 연구...
본 연구는 Reitz (2014)가 미국 간호사를 대상으로 개발한 직무착근도 도구를 민족, 문화, 언어, 환경 등의 차이를 반영하여 한국어로 수정ㆍ보완 후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먼저 Reitz (2014)의 23문항을 번역-역번역 과정을 시행 후 2명의 전문가 집단의 내용 분석을 통해 일부 문항을 수정하였다. 각계 전문가에게 번안된 도구의 내용타당도를 시행하여 23문항에서 20문항으로 조정하였다. 예비조사에서 가독성에 관한 평가와 내용의 적절성 및 문항을 수정하여 설문지문항을 확정지었다.
국내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의 간호사 300명을 대상으로, 2015년 10월 6일부터 31일까지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총 258부가 결과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직무착근도 도구는 Reitz (2014)의 23문항을 수정ㆍ보완 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AMO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Pearson 상관분석, Cronbach's α 등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국어로 수정ㆍ보완된 직무착근도 도구에 대한 전문가 10명에게 내용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내용타당도 분석결과로는 총 23문항 중 다섯 개가 내용타당도 지수가 80% 미만으로, 이 중 “내가 살고 있는 이 곳의 날씨는 나에게 적당하다.”, “병원 내에서 당신이 속한 위원회는 몇 개인가?”, “나의 가족은 이 지역 출신이다.”는 내용타당도가 60% 이하로 낮아서 3문항을 삭제하여 총 20문항으로 확정지었다.
2. 구성타당도를 확인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에서 다섯 개의 요인으로 분류가 되었다.
20문항을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17문항으로 수정하였고, 다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조직적합성, 근무혜택, 지역사회적합성, 업무팀의 총 네 개의 요인으로 확정하였다.
3. 구성타당도를 확인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변수 중에서 적합도가 낮은 직무착근도 3문항을 제거하였고, 2차 측정모형의 확인적 요인분석의 M.I 지수 출력물의 공분산에서 측정오차항 e2 와 e3 간의 상관성이 보여 상관으로 연결한 후 (p)=232.42(0.000), Q값=2.07, GFI=.910, AGFI=.877, RMR=.034, CFI=.930, NFI=.875, RMSEA=.065 로 적합도 지수가 전반적으로 개선되었다.
4. 17문항으로 구성된 한국형 직무착근도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874로 높게 나타났다.
5. 직무착근도와 이직의도와의 높은 부(-)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준거타당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조직적합성과 근무혜택이 이직의도와 깊은 연관성이 있었다.
개발된 한국어판 직무착근도 도구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있는 도구 확인되었다. 한국어판 직무착근도는 총 17문항으로, 조직적합성 7문항, 근무혜택 5문항, 지역사회적합성 3문항, 업무팀 2문항으로 재 명명한 5점 척도의 자가 보고식 도구이다. 앞으로 본 도구를 사용하여 간호사의 재직 및 이직관련 요인연구에 활용하거나, 간호사의 직무착근도를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간호관리자는 간호사의 직무착근도를 파악하고, 간호사의 조직적합성 및 근무혜택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을 세우기 위해 본 도구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