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중급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난 어휘 다양성 연구 : -다문화가정 자녀와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to see how lexical diversity in the Writings of Intermediate Level Multi-cultural Learners and Foreign Learners and how they are different from Korean native speakers. This study investigated lexical diversity in the wr...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to see how lexical diversity in the Writings of Intermediate Level Multi-cultural Learners and Foreign Learners and how they are different from Korean native speakers. This study investigated lexical diversity in the writings of intermediate level(TOPIK 4) multi-cultural learners and foreign learners who prepare for the college entrance in Korea. In the study, we carried out three different writing tests and the study employes 20 multi-cultural learners(MCL), 20 foreign learners(FL) and 20 Korean native speakers(NS) at the age from 18 to 24.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write three different types of writings. Then we analyzed participants' writings by type, token, TTR(Type-token Ratio) and D value using CLAN and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After 1990s, the amount of multi-cultural marriage has been increased rapidly, and this gave a result of increasing number of multi-cultural child. Due to this problem, educating multi-cultural child became an issue. Even though the number of multi-cultural child is growing, current studies show that these children's lexical ability is insufficient compare to children who are born and grew up in two korean native parents. In addition, foreign learners are also increasing in numbers. To this present concern, a study analyzing these two different groups who are wishing to learn korean and preparing for the college entrance in Korea are necessary. 20 multi-cultural learners, 20 foreign learners and 20 Korean native learners received equivalent time and writing tasks. They were asked to write out more than 400 words for each writing tasks. In the first test, participants were asked to write their favorite person or favorite place. Second test was asked to summarize given two graphs. Last test was to summarize a silent film and also briefly write down what they thought after watching the film. The finding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ree groups in amount of types and tokens, showing NS group was always the first and MCL group and FL group follwed. The findings also showed D values among three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ut is depended on writing types. This study might be meaningful because we looked at three different groups who will be attending same class after they enter the college. And also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is analyzed by D value which is more accurate compare to other past analyzing methods since there are not enough practical studies of lexical teachings for multi-cultural learners and foreign learners in Korean language.

국문 요약 한국어 중급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난 어휘 다양성 연구 −다문화가자녀외국학습자를 대상으로-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 환경에서 국내 대학교 진학을 목표로 하는 ...

국문 요약 한국어 중급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난 어휘 다양성 연구 −다문화가자녀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 환경에서 국내 대학교 진학을 목표로 하는 다문화가정 자녀 학습자들과 외국인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습자의 어휘 다양성이 어떠한지, 그들 간에 관계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학습자들의 어휘 다양성을 측정하기 위해 설문조사와 쓰기 과제를 실시하였고 모어 화자의 동일한 문어 자료를 토대로 비교 분석하였다. 1990년대 이후 한국에서는 국제결혼의 수가 증가했으며, 이는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증가를 불러왔다.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한국어교육 또한 배제할 수 없는 문제가 되었다. 국내의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한국인 모어 화자들과 같은 교육을 받는 다문화가정 자녀들 또한 급증하고 있으나, 일반가정 자녀들에 비해 어휘력이 상당히 부족하다는 연구 결과들이 나오고 있다. 또한 한국어를 제2 언어로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들의 수 또한 늘어가고 있다. 국내에서 급증하고 있는 두 집단과 한국인 모어 화자 집단 간의 한국어 교육을 비교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느끼는 바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중급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난 어휘의 다양성을 살펴보기 위해 다문화가정 자녀 20명, 외국인 중급 학습자 20명, 한국인 모어 화자 20명을 대상으로 동일한 시간과 동일한 글쓰기 과제를 주고 작문을 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학습자들이 산출한 작문을 종류형(type), 개별형(token), TTR(Type-token Ratio)과 D값(D-value)을 사용하여 집단별, 과제별로 작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질문은 아래와 같다. 본 연구의 첫 번째 연구 질문은 “집단별 어휘 종류형(type)은 어떻게 나타날 것인가? 이는 동일 집단 내 작문 과제별로 다르게 나타나는가?”이다. 분석 결과 세 집단 간 종류형의 양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사후분석에서 외국인 중급 학습자 집단과 다문화가정 자녀 집단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과제별로 나누어 살펴봤을 때, 자신의 의견을 적는 글쓰기 과제와 무성영화를 보고 줄거리를 적는 글쓰기 과제에서는 세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그래프를 보고 적는 글쓰기 과제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세 집단 간 제한된 시간 내에 작성하는 글쓰기 과제 중 자신의 생각을 서술하거나 본 것에 대해 서술하는 과제에서는 외국인 중급 학습자 집단과 다문화가정 자녀 집단이 한국인 모어 화자 집단에 비해 다양한 어휘를 구사하지 못하는 반면, 동일한 그래프를 보고 제한된 글을 쓰는 과제에서는 한국인 모어 화자 집단과 유사한 어휘 구사를 보였다. 두 번째 연구 질문은 “각 집단별 개별형(token)은 어떻게 나타날 것인가? 이는 동일 집단 내 과제별로 다르게 나타나는가?”이다. 분석 결과 세 집단 간에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후분석에서는 다문화가정 자녀 집단은 외국인 중급 학습자 집단과 한국인 모어 화자 집단 모두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문화가정 자녀 집단은 두 집단과 모두 비슷한 결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과제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자신의 의견을 적는 글쓰기 과제를 제외하고는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400자 이상이라는 제한을 두고 작문을 하도록 유도하였기에 집단별 실험자들이 모두 400자를 과도하게 넘기지 않으려고 노력했기 때문이라고 보인다. 본 연구의 세 번째 연구 질문은 “각 집단별로 어휘의 다양성은 어떻게 나타날 것인가? 이는 동일 집단 내 과제별로 다르게 나타나는가?”이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기존의 TTR과 함께 새로운 분석 방식인 D를 사용하였다. D는 기존의 종류형과 개별형에만 의지하여 측정하던 TTR 방식이 가지고 있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나왔다. 본 연구에서는 CLAN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D값을 직접 산출하였다. 그 결과, 세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후분석 결과 다문화가정 자녀 집단과 외국인 중급 학습자 집단은 비슷한 TTR 값과 D값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고 확인되었고, 한국인 모어 화자 집단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과제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무성영화를 보고 줄거리를 서술하는 세 번째 과제를 제외한 나머지 과제들은 집단 간 TTR 값에 유의미한 차이가 났으며 D값은 두 번째 과제를 제외한 나머지 과제들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韩语论文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