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주제어의 동시출현단어 연결망 분석: 국어국문학, 국어교육학, 한국어교육학 분야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학과 내용학적, 교육학적 기반을 공유하는 국어국문학, 국어교육학 분야에서 간행된 학위논문의 주제어를 중심으로 연결망 분석 접근을 통해 연구동향을 비교·분석함...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학과 내용학적, 교육학적 기반을 공유하는 국어국문학, 국어교육학 분야에서 간행된 학위논문의 주제어를 중심으로 연결망 분석 접근을 통해 연구동향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세 학문 분야 간의 관계를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한국어교육학의 동향 분석 연구는 다양한 기준으로 연구되어 왔으나 대부분 한국어교육학 분야에서 이루어진 연구만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어국문학, 국어교육학 분야까지 연구 범위를 확대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절차와 방법으로 결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첫째, 2000년부터 2015년까지 국어국문학, 국어교육학, 한국어교육학 분야 학위논문의 제목에서 주제어를 추출하고 KrKwic의 krkwic(박한우, 2004)을 사용하여 추출한 주제어의 빈도를 산출하였다. 둘째, 각 학문 분야별 최고빈도 주제어 5개를 ‘분석 주제어’로 설정한 후 Krkwic의 krtitle(박한우, 2004)을 사용하여 각 분석 주제어의 코사인 유사도 행렬을 산출하고 연결망의 밀도 값을 계산하여 학문 분야별 연계도를 수치화하였다. 국어국문학 분야의 분석 주제어는 ‘소설’, ‘시’, ‘비교’, ‘중국어’, ‘문학’, 국어교육학 분야의 분석 주제어는 ‘소설’, ‘시’, ‘지도’, ‘활용’, ‘교과서’, 한국어교육학 분야의 분석 주제어는 ‘학습자’, ‘중국어권’, ‘활용’, ‘교재’, ‘문화’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UCIT 6과 netdraw를 활용하여 동시출현단어 연결망을 시각화하고 각 학문 분야의 연구동향을 비교·분석함으로써 학문 분야별 주요 연구 주제들을 파악하였다. 국어국문학, 국어교육학, 한국어교육학은 상호보완적인 관계로 세 학문 분야에서 공유하는 공통 주제가 있지만 연구 대상, 연구 목적 등 학문 분야별 특수성에 의한 독립적이고 고유한 연구 영역도 있다. 연구 영역 간의 차이를 통해서 학문 분야별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발견하였다. 우선, 국어국문학 분야 연구동향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학 관련 연구와 작가 및 시인 관련 연구가 다수 이루어졌다. 둘째, 국어학적 연구가 다른 학문 분야에 비해 많았다. 셋째, 국어국문학 분야에서 외국인 유학생에 의해 이루어진 연구는 대부분 한국어교육학 분야와 관련된 연구로 나타났다. 넷째, 특정 시기의 문학 작품 연구가 고유한 연구 주제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국어교육학 분야의 분석 주제어는 국어국문학 분야의 분석 주제어에 비해 넓은 범위로 나타났으며 연구동향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 현장을 기반으로 하는 연구가 많았으며 특히 교과서 관련 연구가 다각적인 관점에서 이루어졌다. 둘째, 학습자의 학령 요인을 중심으로 하는 연구가 많았다. 셋째, 중국, 중국어, 중국어권 학습자 등 다른 두 학문 분야에서 고빈도로 나타난 중국 관련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넷째, 문학 작품 창작 연구가 고유한 연구 주제라고 할 수 있다. 끝으로 한국어교육학 분야 연구동향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언어권 및 학습 단계를 중심으로 하는 연구가 많았다. 둘째, 교재의 개발 및 선정 연구가 다수 이루어졌다. 셋째, 다른 학문 분야에 비해 문화 관련 연구가 많았다. 넷째, 결혼이주여성, 다문화, 오류 관련 연구가 한국어교육학 분야의 고유한 연구 주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학과 한국어교육학의 인접 학문 분야인 국어국문학, 국어교육학의 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학문 분야 연구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한국학 등 다른 인접 학문 분야와의 관련성을 논의하지 못한 데에 한계가 있다. 향후 연구 대상 범위를 확대하고 다양한 분석 기준을 활용할 뿐 아니라 동시출현단어 연결망 분석을 포함한 계량분석학적 접근 방법 등을 적극 활용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elations in the fields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Korean Language Educa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trends of relationship in thesis keyword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elations in the fields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Korean Language Educa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trends of relationship in thesis keywords, using co-word analysis. Analysis of trend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research has been done according to various standards, but most of this research was concentrated o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As such, this study attempts to extend the scope to include the fields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clusions were drawn using the following process and methods. First, thesis keywords in the fields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Korean Language Educa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from 2000 to 2015 were extracted and their frequency was calculated. Second, each academic field's 5 highest frequency keywords were designated as 'analysis keywords'. Then each academic field's connectivity was digitized by calculating the cosine affinite matrix of each analysis keyword and the density value of the network. Analysis Keywords in the fields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re 'novel', 'poem', 'comparison', 'Chinese', 'literature', in the field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y are 'novel', 'poem', 'instruction', 'utilization', 'textbook'.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they are 'learner', 'Chinese language sphere', 'utilization', 'teaching material', 'culture'. Lastly, a co-word network was visualized using UNICET 6 and netdraw, and each academic field's main subject of research was revealed through an analysis of trends in each field. The relationship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Korean Language Educa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is co-operative relative, so although they share the same main subject there are also independent and inherent subjects, due to the subject of study and aim of study, etc. Through the differences between research areas, the following features were discovered. First,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has the following trends. There are a lot of studies about literature, writers, and poetry. Also there are more studies about Korean language compared to other academic fields. Furthermore, studies by international students are mostly focused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Last, it can be said that studies about period literature are inherent. Next, trends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as follows. There are many studies about the field of education, especially studies about textbook-studied multilateral view. Also there are a lot of studies focused on school age. On the other hand, studies about ‘China’, ‘Chinese’, or ‘Chinese Learner’ are rarely studied. Lastly, studies about creative writing are inherent. Finally,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the following trends. There are many studies focused on language group of learners and stages of studying. Also there are a lot of studies about the development and selection of teaching material. Furthermore, there are more studies about culture compared to the other academic fields. Lastly, studies about international marriage women immigrants, multiple cultures, and language learners’ errors are inherent. This study analyzes relations in the fields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Korean Language Educa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but could not analyze other related fields like Korean Studies. It will need a follow-up study not only to extend the scope of the study, but also to use various standards of analysis. There is also a need for research using more measurement analysis methods outside of co-word network analysis, or using co-word network analysis in different ways.

참고문헌 (Reference)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