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근로자의 직무만족도 및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한국 내 베트남 근로자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Previous studies have proved that workers‘s job satisfaction affects their job performance. Their results showed that higher job and life satisfaction improves their work performance. The main goal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investigate factors...

Previous studies have proved that workers‘s job satisfaction affects their job performance. Their results showed that higher job and life satisfaction improves their work performance. The main goal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job and life satisfaction of foreign workers residing in Korea.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s on living conditions of unspecialized and low-skilled workers from Vietnam.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from the 26th of July to the 20th of August 2015. A total 200 questionnaires were delivered for survey and 188 were collected. Among them 20 were excluded from the analysis as incomplete. Hence, empirical analysis is based on these 168 completed questionnaires.
Based on literature survey, this study adopted the following four independent variables affecting job satisfaction: job importance, job identification, future job prospects, and job autonomy. However, first two factors were grouped into one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Therefore, three main factors were finally analysed throughout empirical study as independent variables for job satisfaction. In case of life satisfaction, the following four factors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level of income, leisure activities, language barrier, and personal relations with peers.
After conduct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concluded that future job prospects and job autonomy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For life satisfaction, leisure activities, language barrier, and relations with peers were found out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the following three practical suggestions are proposed. Firstly, in order to improve their job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dispatch workers into positions that give them good prospects for the future and help to maintain a strong sense of collective identity. On the other hand, results of the research showed that job importance itself is not playing a crucial role in enhancing job satisfaction. As a result, it is important to employ them in work which helps them feel successful upon their return to their home country.
Secondly, it was a somewhat surprising founding that income level itself is not influencing workers' life satisfaction. The main reason might be the fact that income considered as low in Korea is still relatively high in comparison with average income in Vietnam.
Thirdly, it was found that important factors enhancing life satisfaction are leisure activities, language barrier, and relations with peers. Therefore, it remains crucial and advantageous for employers and policymakers to create an environment which helps to establish and maintain amicable relations among Koreans and foreign workers. This will lead foreign workers to adapt themselves to life in Korea as legitimate members of its society.

그 동안 근로자들의 직장에서의 직무만족도가 높을수록 업무성과가 높아질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학계에서 많이 제시되어 왔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 근로자들의 직무...

그 동안 근로자들의 직장에서의 직무만족도가 높을수록 업무성과가 높아질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학계에서 많이 제시되어 왔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 근로자들의 직무만족도와 생활만족도에 영향미치요인들을 실증적으로 조사함으로써 직무성과를 높임과 동시에 그들의 인간적인 삶을 영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 내에 직장을 가지고 있는 비전문취업 베트남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실증적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자료수집 방법은 설문조사로서 총 200부의 설문지를 2015년 7월 26일부터 8월 20일까지 전국에 직접 배포하였고, 이 가운데 총 188부가 회수되었다.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응답이 불성실한 20부는 실증분석에서 제외함으로써 실제 연구분석에 사용된 설문지는 168부이다.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직무만족도에 영향미치는 4개의 독립변수(직무중요성, 직무정체성, 직무장래성, 직무자율성)들을 도출하였으나, 요인분석 결과 직무중요성과 직무정체성이 하나의 요인으로 묶임에 따라 최종적으로 회귀분석에 사용된 독립변수는 3개이었다. 그리고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로서 소득수준, 여가활동, 언어소통, 동료관계와 같은 4개의 요인들이 도출되었으며, 이들은 요인분석을 통해 각각 다른 요인으로 묶였다.
직무만족도와 생활만족도를 각각 종속변수로 사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서 직무장래성과 직무자율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서는 여가활동, 언어소통, 동료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제시된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베트남 근로자들은 장래성과 자율성이 높은 직무를 수행할 경우에 직무만족도가 높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장래성과 자율성이 높은 업무에 이들을 배치시킬 필요가 있다. 반면에 직무자체의 중요성은 그들을 동기부여시키는데 그게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즉 다시 말하면 베트남 근로자들은 앞으로 귀국하더라도 성공하거나 크게 잘될 수 있는 일, 그리고 자율성이 부여된 일을 할 때 직무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해석된다.
둘째, 본 연구에서 소득수준은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다소 의외의 결과이다. 이에 대한 해석으로서 한국에서의 전반적인 소득이 베트남에서의 소득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수준이기 때문에 한국에서 받는 임금의 상대적인 수준 차이는 그들의 생활만족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여진다.
셋째, 베트남 근로자들이 한국에서의 생활에 있어서 만족감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요인들이 직장 근무시간 외에 영위하는 여가활동과 한국에서 다른 사람들과의 적절한 의사소통, 그리고 직장 내 동료들과의 원만한 관계형성 등으로 밝혀짐으로써 정책 당국자와 기업의 고용주들은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베트남 근로자들의 한국 내 생활의 올바른 정착을 돕고, 이들이 합법적인 체류자로서 지속적인 근로활동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할 것이다.

韩语论文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