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배경 초등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재 분석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Korean society is rapidly becoming multicultural, and the number of students with a multicultural background is correspondingly increasing. The growing pool of multicultural students in schools urgently calls for the implementation of Korean langu...

The Korean society is rapidly becoming multicultural, and the number of students with a multicultural background is correspondingly increasing. The growing pool of multicultural students in schools urgently calls for the implement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owever, unlike the vigorous development of Korean education textbooks for adults, efforts to develop textbooks for children and teenagers has been scarce.
Against this backdrop, the present study sought to analyze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children to provide basic data for future development of textbooks that tailor to the need of children as opposed to adults. To this end, this study selected currently available textbooks from those developed by city offices of education, schools, and central multicultural center for elementary students with a multicultural background.
This study examined two factors of students (i.e., elementary students and students with a multicultural background) and reflected the students' demands in developing the standard for analysis.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the facts that children tend to concentrate on specific facts than abstract concepts and learn language in significant contexts instead of learning segmentally. Furthermore, children are attracted to interesting or fun things. This study also considered the facts that students with a multicultural background must improve on their academic Korean in order to adapt to the Korean school environment and that teaching about culture is also important.
The textbooks were analyzed based on three factors: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external analysis, and internal analysis. The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was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institution information, teacher, and student. External analysis was conducted on items such as external design, sales, additional components, and other information. Finally, internal analysis was conducted on items such as the structure of components, textbook material, and tasks. The results indicated a large deviation of each analysis item for each textbook.
This study suggested a few poi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elementary students should maintain its identity as a material for teaching a second language by presenting contents such as target vocabulary, grammar, and functions. The length of textbooks should be decided based on the curricula, font style and sizes should enhance readability, and illustrations should be drawn accurately to assit the understanding of the material. Sub-contents such as teachers' guidelines and workbooks, audiovisual material, and appendices should also be improved. In terms of internal contents, a more diverse text type and tasks should be presented to spark the interests of children to inspire them to engage in learning. Furthermore, more studies on academic Korean are needed to include more effective lessons on academic Korean in textbooks. Finally, different textbooks to meet the specific needs of students from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as well as textbooks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re needed.

우리 사회가 급속도로 다문화 사회로 진입함에 따라 다문화 배경을 가진 학생들의 수가 증가하였고 이들이 학령기가 되어 학교에 입학하고 상급학교로 진학을 해감에 따라 이들을 위한 한...

우리 사회가 급속도로 다문화 사회로 진입함에 따라 다문화 배경을 가진 학생들의 수가 증가하였고 이들이 학령기가 되어 학교에 입학하고 상급학교로 진학을 해감에 따라 이들을 위한 한국어 교육의 필요성이 절실해졌다. 그러나 지금까지 성인을 위한 교재는 개발이 되어 왔으나 아동과 청소년을 위한 교재 개발 현황은 아직 척박한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도교육청이나 학교, 중앙다문화센터 등에서 다문화 배경 초등학생을 위해 개발한 한국어 교재들 중에서 현재 이용 가능한 교재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교재 분석을 통해 성인과 구별되는 아동 학습자의 특성에 맞는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학령기 아동인 초등학생이라는 점과 다문화 배경 학생이라는 점, 학습자의 이 두 가지 특성에 대하여 고찰하고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분석의 기준을 마련하였다. 아동은 추상적인 개념보다 구체적인 사실에 더 집중하며 분절적으로 언어를 습득하기 보다는 유의미한 맥락에서 언어를 습득한다는 점, 흥미를 추구하는 존재라는 점에 주목하였고, 다문화 배경 학생이 학교에 적응하기 위해 학습 한국어 능력의 신장이 필요하다는 점과 문화 항목의 교수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교재를 분석하였다.
교재 분석은 크게 교수·학습 상황, 외적 분석, 내적 분석의 세 가지 기준에서 이루어졌다. 교수·학습 상황은 기관 정보와 교사, 학습자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외적 분석은 외관 및 구입, 관련 구성물, 기타 정보를 분석 항목으로 하여 분석하였고, 내적 분석은 교재의 구성과 학습 내용, 과제·활동을 분석 항목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교재 분석 결과, 각 교재마다 분석 항목에 따라 편차가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교재 분석 결과를 통해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우선 초등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재는 목표 어휘나 문법 및 기능의 제시 등을 통해 의사소통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제2언어 교재로서의 성격을 분명히 가져야 한다. 교재의 분량은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적절한 분량을 결정해야 하며, 글자 모양 및 크기는 가독성을 높이고 삽화는 언어 자료의 이해를 돕도록 정확하게 그려져야 한다. 교사용 지도서 및 워크북, 시청각 자료, 부록 등 교재 관련 구성물이 미비한 것 역시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다. 교재 내적 구성 면에서는 더 다양한 텍스트 유형과 과제·활동을 제시하여 아동 학습자의 흥미를 돋워 학습 동기를 유발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교재에 학습 한국어 기능을 보강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서 학습 한국어에 대한 연구가 더 축적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다문화 배경 학생 유형별 교재의 개발이 필요하며, 아직 개발된 교재의 양이 매우 적은 중·고등학생을 위한 교재 개발 역시 시급하다.

참고문헌 (Reference)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