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SL 학습자 대상 한국어 교육과정 재구성 방안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2007년도에 0.12%이던 다문화 배경 학생은 2015년도에 1.07%로 증가하였고 이 수치는 전체 학생 100명 중 1명에 해당하는 수치로 더 이상 무시할 수 없는 수치가 되었다. 그리하여 정부는 2012년 국...

2007년도에 0.12%이던 다문화 배경 학생은 2015년도에 1.07%로 증가하였고 이 수치는 전체 학생 100명 중 1명에 해당하는 수치로 더 이상 무시할 수 없는 수치가 되었다. 그리하여 정부는 2012년 국가수준 교육과정으로 한국교육과정(이하 ‘한국어 교육과정(2012)’을 신설하였고 본 연구의 목적은 이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실효성 있는 자료로 재구성하는데 있다.
대상 자료의 분석을 위해 우선 KSL(Korean as a second language)을 KFL이나 KHL과는 명확히 구분하는데서 시작하여, 이들을 세부적으로 국제결혼 가정 자녀, 한국 거주 외국인 가정자녀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교육과정의 전반적인 개념과 언어 교육과정인 국어과, 영어과, 제2외국어과 교육과정과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모형을 살펴보았고, 해외에서는 본국의 언어를 외국인에게 가르치기 위해 어떠한 교육과정을 수립하고 있는지 유럽, 일본, 호주의 SL 교육과정을 살펴보았다.
본격적으로 분석은 앞서 연구한 자료들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2장에서 파악해본 국내ㆍ외의 언어ㆍ외국어 교육과정의 장점을 추리고 한국어 교육과정(2012)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또한 언어자료는 현재 한국어 교육 모형 중 가장 방대하게 자료가 정리되어 있는 국제 통용 한국어교육 표준 모형을 바탕으로 하여 각각의 특성에 맞게 범주화, 등급화를 실시하였다. 4장에서는 이 연구가 한국어 교육과정(2012)을 재구성 하는데 실효성을 갖도록 내용체계와 성취 기준을 3장의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자의 관점에서 재구성하였고, 언어 자료 또한 각각의 특성에 맞게 범주화나 등급화를 시켜 표로 정리하였다.
이 연구가 국가수준 교육과정으로 처음 고시된 한국어 교육과정(2012)이 보다 실효성을 갖고 교과서 및 진단도구와 연계적으로 활용되도록 하는데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자는 이 연구가 궁극적으로 다문화 배경 학생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과 관련 후속연구에 도움이 되리라 기대한다.

Students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 have increased from 0.12% in 2007 to 1.07% in 2015 and now the trend has become noteworthy as foreign students take up about 1 out of 100 students in Korea. Therefore, the Korean government established National ...

Students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 have increased from 0.12% in 2007 to 1.07% in 2015 and now the trend has become noteworthy as foreign students take up about 1 out of 100 students in Korea. Therefore, the Korean government established National Level Korean Education Curriculum (the “Korean Education Curriculum(201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curriculum and reorganize it with effective materials.
To do so, the study first distinguishes KSL, KFL and KHL and classifies students into two groups of students from international marriage families and from foreign families living in Korea. Then, it examines the overall concept of the current curriculum,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including Korean, English and a second foreign language, international standard mode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lastly, cases from foreign countries such as Europe, Japan, Australia of their SL education curriculum to learn how they teach their own language to foreign students.
The analysis was made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In the second chapter, the study examines the advantages of the current language and foreig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home and abroad, and the problems of the Korean Education Curriculum(2012). The language data from international standard mode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at has the vastest data was classified and leveled. In the fourth chapter, in order for the study to be effective for the Korean Education Curriculum(2012), the study has reorganized the curriculum and the achievement standards based on the analysis from chapter three and also classified and leveled the language material based on the features of each material.
This study is expected to play its role as to make the Korean Education Curriculum(2012) more effective and to be interlinked with the current text books and diagnosis tools. Moreover, it is hoped that the study will be helpful for the follow-up studies regarding Korean education for students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

韩语论文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