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판소리계 소설 <심청전>을 활용하여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의 가치문화와 관련된 교육 요소들을 간접적으로 경험하고 한국 문화를 이해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 이 연구는 판소리계 소설 <심청전>을 활용하여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의 가치문화와 관련된 교육 요소들을 간접적으로 경험하고 한국 문화를 이해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외국어 학습자들이 실제 의사소통의 상황에서 상대방의 언어와 행동의 의미를 이해하고 자신의 의사를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목표언어 사회의 문화를 이해하고 이를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 문화 중 가치문화는 지금의 한국 사회와 한국인의 행동과 태도를 보여주는 가장 실제적인 문화이다. 가치문화 교육을 통해 학습자들은 한국인의 말과 행동을 예상하거나 대응할 수 있는 전략적 능력을 높일 수 있으며 학습자의 입장에서 자국의 문화와 비교하고 판단할 기회를 주어 객관적으로 서로의 문화를 이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문학 작품은 인간의 가치 있는 경험을 형상화한 것으로 맥락적으로 가치문화에 접근할 수 있는 바람직한 문화 교육의 매체이며 그 가운데 판소리는 한국의 가치문화를 풍부하게 담고 있는 대표적인 텍스트로 효과적인 문화 교육의 자료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Hofstede의 문화 차원을 바탕으로 공동체문화와 관계문화, 공존·상생 문화, 미래지향 문화로 한국 문화의 범주를 나누어 논의하였다. 이를 위한 실제적 자료로서 판소리계 소설인 <심청전>을 대상으로 한국어 문화 교육의 내용을‘상부상조의 공동체 문화’,‘유교적 가치의 확대’,‘운명 개척 의지’로 선정하였다. 먼저, <심청전>의 장면들에서 보이는 공동체 문화나 정문화는 가족 중시 문화를 기반으로 형성된 문화적 특징으로 이는 공동체 안에서 어울림과 상부상조를 미덕으로 한다. 다음으로 <심청전>은 눈먼 아비에 대한 육친의 정과 인간적 연대에서 이루어진 적극적 의지에 의한 희생의 의미와 자신의 행동에 대한 명분과 이웃 간의 신의를 지키려는 유교의 긍정적 가치를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불확실한 상황의 모호성과 현실의 불안감을 극복하기 위한 모습을 미래지향적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가치문화 교육을 위한 자료로서 <심청전>을 활용한 교수-학습안을 제시하였다. <심청전>의 가치문화 교육을 위해 교육 구조를‘인식-지식과 경험-수행’으로 설정하고 교수-학습의 모형을 설계하였다. 이 단계에 따라 학습자들은 문화갈등의 원인이 서로 다른 가치문화에 있음을‘인식’하고 <심청전>을 감상하는 과정에서 한국의 가치문화에 대한‘경험’과‘지식’을 습득하여 문화적 상황에 맞는 적절한 전략을‘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한 교수-학습안은 언어교육의‘통합성’과‘실제성’있는 자료로서 문학적 접근의 효율성을 강조하는 총체적 언어 접근에 기반을 둔다.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들은 한국의 가치문화를 상황과 맥락 안에서 경험하고 문화에 대한 이해를 통해 적절한 문화적 전략을 세울 수 있다. 또 목표문화를 자국문화와 비교하여 문화갈등을 해소하고 문화 인식의 확장으로 나아가게 될 것이다.
This study suggest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n order to help Korean learners experience and educational elements of Korean culture and language Foreign language learners should understand social culture of target language and learn how to util... This study suggest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n order to help Korean learners experience and educational elements of Korean culture and language Foreign language learners should understand social culture of target language and learn how to utilize it properly in order to grasp meaning of talker’s language and behavior while expressing their opinions accurately. Value culture is one of the most practical cultures that shows behavior and attitude of Korean society and Koreans. Value culture education helps learners to expect and respond to Koreans’ words and behaviors strategically. From the view point of learners, it also gives opportunities to compare with their mother cultures and make judgment understanding both cultures objectively. Meanwhile, literature works is an embodied experience of human values. It is a desirable media of culture education that approaches to value culture in context. And among the various media, the traditional Korean epic chant, “Pansori” is a representative text with Korean value culture fully. It means pansori can be an effective material for culture education. In this study, it suggests Korean culture in categories of community culture, relational culture, coexisting cultures and future-oriented culture on the basis of Hofstede’s culture dimension. As a practical material, it selected a famous pansori chant, <Simcheongjeon> in order to teach community culture of mutual help, expansion of Confucian values, and will to carve out destiny in Korean culture. First, the communal culture and kind-hearted customs in <Simcheongjeon> shows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based on family-centered culture. Coexistence and mutual help in community is essential virtues of it. Next, the epic shows meaning of selfless sacrifice for family love and humane bonds (father of Simcheong) and Confucian values for loyalty between neighbors. Finally, it provides discussion on attitude to overcome anxiety of vague circumstances from the point of future- oriented view. This study offer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o utilize <Simcheongjeon> as value culture education material. Setting the educational structure of “acknowledge- knowledge & experience and practice” for value culture learning, it designed a model for teaching-learning method. This process helps learners to recognize the cause of cultural conflicts is differences and acquire experience and knowledge of Korean value culture in the process of appreciating <Simcheongjeon>. In the end, the students are able to perform proper strategies in accordance with cultural situations. This teaching-learning plan is an integrated and practical material for language learning based on whole language approach which put emphasis on the effectiveness of literature approach. Following the course, learners may experience Korean value culture in situations and contexts, and learn to build appropriate cultural strategies based on cultural understandings. Further, the comparison of subject culture with their own cultures will help not only to solve cultural conflicts but also to extend their cultural cognition.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