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어와 한국어 전화 대화의 시작부와 종결부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연구전화 대화의 시작부와 종결부를 중심으로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Korean Native Speaker), 중국어 모어 화자 집단(Chinese Native Speaker), 그리고 중국한국어 고급 학습자 집단(Chinese Korean L...

연구전화 대화의 시작부와 종결부를 중심으로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Korean Native Speaker), 중국어 모어 화자 집단(Chinese Native Speaker), 그리고 중국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 집단(Chinese Korean Learner)의 대화 양상을 대조 분석하여 한국어 교육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 세 집단의 전화 대화 시작부와 종결부의 구조와 표현의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실제 전화 대화를 녹음하여 수집된 자료를 통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에 대해 서술하였고 전화 시작부와 종결부에 관한 선행 연구들을 살피고 본 연구의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토대를 이룬 대화분석과 전화 대화의 시작부와 종결부를 검토한 연구에 대해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먼저 연구 절차와 연구참여자를 제시하였고 연구 자료의 수집 방법 및 분류에 대해 기술하였다. 또한 분석 기준 및 연구 방법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서술하였다. Ⅳ장에서는 전화 대화의 시작부와 종결부에 대한 연구 결과와 논의를 기술하였고, 한국어 모어 화자, 중국어 모어 화자, 그리고 중국인 한국어 모어 화자가 전화 대화 시작부와 종결부에서 나타나는 양상에 대해 서술하였다. Ⅴ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요약, 정리하였고 본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전화 대화의 시작부에서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 중국어 모어 화자 집단, 그리고 중국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 집단의 전화 대화의 구조와 사용 표현을 밝혔다. 전화 대화 시작부에서 세 집단이 모두 ‘응답, 확인’, ‘응답, 확인, 인사’, ‘응답, 확인, 인사, 안부’로 구성된 시작부 구조가 나타났다. 시작부에서 사용되는 표현 분석에서 전화 대화 시작부의 경우, 한국어 모어 화자는 ‘응답과 인사’가 다른 발화 차례에서 나타나는 것이 많았다. 중국어 모어 화자는‘응답’과 ‘인사’를 같은 발화 차례에서 나타나는 경우가 많았다. 둘째, 전화 대화의 종결부에서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 중국어 모어 화자 집단, 그리고 중국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 집단이 전화 대화의 구조와 사용 표현을 밝혔다. 전화 대화의 종결부에서 ‘전종결’와‘전종결과 종결’로 된 종결부 구조는 한국어 모어 화자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 반면‘종결’로 구성된 전화 대화 종결부의 구조는 중국어 모어 화자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전화 대화 종결부에서 사용되는 표현 분석에서는 한국어 모어 화자와 중국어 모어 화자, 그리고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사용하는 표현이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세 집단 간의 차이를 발견해 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교육의 실제 교수에 적용된다면 학습자들이 대화 상황에서 보다 자연스러운 발화를 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앞으로도 이와 같은 한국어교육에 도움이 될 만한 연구가 계속 이루어질 것을 기대한다.

This will attempt to contribute to the research of Korean educational linguistics through a contrastive analysis of opening and closing lines used by Korean Native Speakers (KNS), Chinese Native Speakers (CNK), and Chinese Korean Learners (CKL) ...

This will attempt to contribute to the research of Korean educational linguistics through a contrastive analysis of opening and closing lines used by Korean Native Speakers (KNS), Chinese Native Speakers (CNK), and Chinese Korean Learners (CKL) in telephone conversations. This researched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opening and closing lines used by subjects in the KNS, CNK, and CKL groups by using recorded versions of actual telephone conversations. The parts of this are as follows:
Section I of this will explain the necessity and aims of this study. It will offer an appraisal of preceding studies on opening and closing lines in telephone conversations and present research problems related to this study. Section II of this is a review of conversation analysis and research done on opening and closing lines in telephone conversations, both of which forms the theoretical framework for this study. Section III presents the research process and subjects of this study. It will describe how data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and classified and explain specifically the standards of analysis and methodologies. Section IV present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done on opening and closing lines in telephone conversations and a discussion of these results. It describes the aspects that emerge from opening and closing lines used by KNS, CNK, and CKLs in telephone conversations. Section 5 provides a summary of the result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The structure and expressions used by the KNS, CNS, and CKL groups in the openings of telephone conversations were analyzed. All three groups started their conversations with the following structures: (1) Answer, Confirmation (2) Answer, Confirmation, Greeting (3) Answer, Confirmation, Greeting, Inquire. The analysis of expressions used in openings shows that many KNSs often used the “Answer, Greeting” structure at other times.
2. The structure and expressions used by the KNS, CNS, and CKL groups in the closings of telephone conversations were analyzed. It is revealed that KNSs used the “pre-closing”, and “pre-closing and closing” structures the most while CNSs used the “closing” structure the most. The results show a difference between the expressions used by the KNS, CNS, and CKL groups in the closings of telephone conversations.
This presents new classifications of opening and closing lines in telephone conversations and provides an analysis framework tailor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shows a clear distinction between the three different groups, is important for Korean language educators to help Korean language learners carry out conversations naturally. One looks forward to more research that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educational linguistics.

韩语论文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