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공손능력 향상을 위한 공손 기반 의사소통 기능 교육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Politeness’ is the core of communication in that if we fail to use it correctly, there would be a breach in our conversation. It is a socioculturally determined norm, and thus in different speech communities there will be different practices of p...

‘Politeness’ is the core of communication in that if we fail to use it correctly, there would be a breach in our conversation. It is a socioculturally determined norm, and thus in different speech communities there will be different practices of performing politeness, even though there are also universal characteristics with it. Korean English learners have difficulty using appropriate polite expressions since the two languages—Korean, their L1, and English, their L2—have different social norms related to politeness.
This study thus sets its purpose on presenting what to teach for Korean students to express politeness in English effectively. Since politeness is well represented on utterances with various communicative functions, and since students should learn expressions for those functions to enhance their communicative proficiency, using communicative functions for teaching politeness can be a good strateg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irst reviews generally accepted concepts of politeness and various theories related to it. This study also explores what kinds of linguistic devices are used in English to achieve politeness, focusing on how those devices are associated with politeness.
The study next investigates what kinds of competences get involved in achieving politeness. Through the examination of various models of communicative competence, this study suggests a model of politeness competence that has never been presented before. The politeness competence involves other competences such as linguistic competence, sociocultural competence, paralinguistic competence, strategic competence, and communicative functional competence, which is similar to, but not exactly the same as, actional competence advocated by other scholars.
The study further classifies previously suggested communicative functions including those that are presented in the current government-given Curriculum, in a different way based on politeness and categorizes them for discussion about what to teach for the practical teaching of politeness. With the new categorization of communicative functions, this study examines the examples of expressions for different communicative functions given in the current Curriculum, discusses politeness-related characteristics of those expressions, and presents the teaching content that should be dealt with when teaching politeness-based communicative functions in general. The teaching of politeness-based communicative functions would naturally help the students to improve at the same time both their communicative functional performance and their ability to express politeness appropriately.

의사소통 상황에서 올바른 공손 표현을 사용하지 못하면 대화의 단절을 초래한다는 점에서 ‘공손’은 의사소통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공손은 사회문화적으로 결정되는 규범이므로 언...

의사소통 상황에서 올바른 공손 표현을 사용하지 못하면 대화의 단절을 초래한다는 점에서 ‘공손’은 의사소통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공손은 사회문화적으로 결정되는 규범이므로 언어권마다 공손 수행 방식이 서로 다르다.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이 영어를 학습할 때 영어와 한국어의 공손과 관련한 사회ㆍ언어적 규범이 서로 다른 데에서 발생하는 차이로 인해 적합한 영어 공손표현을 사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학생들이 영어에서의 공손표현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도록 하기 위하여 무엇을 가르쳐야 할 것인가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선 일반적으로 인정되고 있는 공손의 개념과 그와 관련된 이론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영어에서 공손을 확보하기 위하여 어떠한 언어적 장치가 사용되고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장치가 어떻게 공손과 관련을 맺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어떠한 능력이 공손을 달성하는 데 관여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공손 능력의 구성 요소를 범주화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기존에 논의되어 온 의사소통 능력의 구성 요소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의사소통 능력 향상위한 공손 능력 모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공손 능력은 이전에 논의된 바 없는 새로운 제안으로서 언어적 공손 능력, 사회문화적 공손 능력, 의사소통 기능적 공손 수행 능력, 준언어적 공손 능력, 공손 전략 능력 등이 그 구성 요소이다.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현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영어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의사소통 기능을 포함하여 기존에 제시된 의사소통 기능들을 공손을 기반으로 분석 및 재분류하여 공손 기반의 의사소통 기능을 범주화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공손을 효율적으로 교육하기 위하여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즉, 공손 교육을 위한 교육내용을 공손 기반의 의사소통 기능 범주에 따라 공손 표현을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공손 교육내용을 제시하기 위하여 현 교육과정에 제시된 의사소통 기능별 표현의 예들을 조사하고, 그러한 표현들이 공손의 측면에서 어떠한 특징을 갖는지 논의한 후, 공손 기반 의사소통 기능을 지도할 때 다루어야 할 교육내용들을 각 범주별로 제시하였다.
공손 기반 의사소통 기능 교육은 단순한 의사소통 기능 수행에 목표를 둔 교육에 비해 공손이 병행된 의사소통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공손 표현 능력의 향상과 함께, 궁극적으로는 전반적인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韩语论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