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태 초점 기법을 통한 한국어 부정 표현 학습 효과에 관한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purpose of using FonF technique on beginning Indonesian students when studying the consciousness raising task is to study the curricular effects shown after Korean negative expressions are learned. There were also studies on whether or not there w...

The purpose of using FonF technique on beginning Indonesian students when studying the consciousness raising task is to study the curricular effects shown after Korean negative expressions are learned. There were also studies on whether or not there were positive effects on 'affective' when students studied the allocated grammar. The research subjects‘ grammar are divided into two expressions of negativity: the ‘안’ refusal and ‘못’ refusal, the short and long fraud;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four Indonesian students studying basic Korean who are part of the national Language Education Program. The class was formulated with the OHE model: observe, hypothesize, and experiment. The professor used inductive reasoning, performing this experiment two times, 40 minutes for each session. The Cross-Language Investigation ran the class during the observation process and while studying the consciousness raising task. The Hypothesis Build-up/Check ran the hypothesis process of OHE. Lastly in the experiment process, the subjects were tested with speaking using personal formats set up for themselves. This was to see the significance of communication within the experiment. After the experiment, data were received after further surveys, interviews, and the Grammar Judgment Test. Research question 1. What impact did the consciousness raising task have on the understanding ability towards negative expressions of the Korean language? Research question 2. What impact did the consciousness raising task have on the affective level of each individual when given negative expressions to learn? Analysis for research question 1 according to the Smith and Ragan(2002) model of proficiency, only subjects who received 70 or higher on their Grammar Judgment Test were effected by the confounding variable. All four participants showed positive outcomes of receiving 70 or higher in Postmortem Evaluation 2. Results for research question 2 were based on the data gained from surveys and interviews, questions focusing on interests, fixed techniques, and the students’ attitude and motivation level. First, when asking two questions regarding interests, the results of these four students showed their interests were not correlated to their consciousness improvements. One student favored the previous professor’s class structure; the student stated if another opportunity were to be given, the student would take part in the experiment once again using this technique. The student intended the experiment would get interesting when continuously using the given techniques. By looking at this, it shows students needed time to adapt to the new techniques given; meaning, unfamiliarity affected the interest level of the students. The next research question consisted a total of four questions regarding the consciousness improvement technique. Students did show difficulty in adapting to the new consciousness technique, but this technique helped students with their long-term memory, partner activities, and understanding the allocated grammar given within the Meta language. Students showed positive answers to the questions asked regarding to attitude and motivation. According to further research on the element of affective, students answered in their interviews that the fixed techniques gave them confidence and motivation when practicing the allocated grammar. While recognizing the allocated grammar when applied during the Conscious Improvement Test and utilizing it with their partners and professor, data shows that students’ self confidence level increases when they see the correspondence with their personalized grammar technique and the professor’s explanation. The current experiment implemented on Indonesians studies the error analysis and aspects of negativity in the Korean language; however, there is difficulty in finding the aspects of negativity when only looking at these students. The experiment does show insufficiency, but the fact of making an effort to apply this primary structural technique on the Indonesian students to teach them Korean grammar is what matters. From this time on, there’s hope in making improvements in experiments to enlarge the varieties of grammar techniques along with professors’ teaching techniques for all Indonesian students willing to learn the Korean language.

연구의 목적은 인도네시아 초급 한국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형태 초점 기법 중 의식 상향 기법을 통해 한국어의 통사적 부정 표현을 교육한 후 그 학습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함에 있...

연구의 목적은 인도네시아 초급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형태 초점 기법 중 의식 상향 기법을 통해 한국어의 통사적 부정 표현을 교육한 후 그 학습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함에 있다. 또한 학습자들이 그 기법을 통해 목표 문법을 학습할 때 정의적인 측면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나는지도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의 문법은 ‘안’부정과 ‘못’부정의 긴 부정과 짧은 부정이고, 연구 참여자는 국내 언어교육원을 다니는 인도네시아인 초급 한국어 학습자 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업은 OHE 모형으로, 관찰(Observe) 단계, 가설(Hypothesize) 단계, 실험(Experiment)단계로 설계하였고 교수 방법은 귀납적인 방법으로 총 2차시(각 40분 수업)로 진행하였다. 관찰 단계에서는 의식 상향 과제 활동 중‘교차 언어 탐구’를 통해 수업이 이루어졌고, 가설 단계에서는‘가설 설계 및 확인’의 의식 상향 활동을 하였다. 마지막 실험 단계에서는 학습자가 전 단계에서 형성한 가설을 통해 유의미한 맥락 속에서 실제적인 의사소통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말하기 활동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수업을 한 후 문법성 판단 과제와 설문 조사 및 면담을 통해 본 연구 문제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연구 문제 1. 의식 상향 과제 기법이 한국어 부정 표현 이해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 문제 2. 의식 상향 과제 기법이 한국어 부정 표현을 학습하는 데 정의적인 측면에 어떠한 영향을 끼칠 것인가? 연구 문제 1은 Smith와 Ragan(2002)에서 제시한 숙달도 수준 70% 이상의 기준에 따라 학습자들이 문법성 판단 과제 점수를 70점 이상 획득하였을 때 학습의 효과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 네 명 모두 지연 사후 평가 2에서 70점 이상의 점수를 받았음으로 긍정적인 결과를 얻었다고 볼 수 있다. 연구 문제 2에 대한 결과는 설문 조사와 면담을 통해 확인하였는데 설문 조사에서는 크게 흥미도, 형태 초점 기법의 수업, 학습자 태도와 동기에 대한 질문을 하였다. 먼저 흥미도와 관련하여 두 가지 질문을 하였는데 네 명의 모든 학습자들이 의식 상향 기법에 대해 흥미를 느낀 것은 아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한 학습자는 기존의 교사 중심의 수업 방식을 선호하였는데, 이 학습자는 교사 중심의 수업을 선호한다고 답하는 동시에 다음 기회에 이와 같은 방법으로 학습할 기회가 있다면 다시 시도해보겠다고 하였다. 더하여 이 기법을 계속해서 사용한다면 재미있을 것 같다고 답한 것으로 보아 이 학습자는 새로운 기법을 사용할 때에는 적응 시간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즉, 이 학습자는 본인에게 익숙한 학습 방식이 학습 흥미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 조사 문항으로는 형태 초점 기법의 의식 상향 기법 자체에 대한 것으로 4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처음 접하는 의식 상향 기법에 대해 대부분의 학습자가 어렵다고 느꼈지만 이 기법이 장기 기억에 도움이 되었고 짝활동과 메타언어적 용어들이 목표 문법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그 다음으로 학습자 태도, 동기와 관련하여 본 수업에서 진행한 문법 규칙 찾기 활동과 짝활동을 적극적으로 참여했는지에 질문에 대부분의 학습자들이 긍정적으로 답하였다. 면담에서는 정의적인 요소의 질문을 하였는데 대부분의 학습자가 본 형태 초점 기법이 목표 문법을 학습하는 데에 자신감과 동기를 갖는 것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고 답하였다. 의식 상향 과제 활동을 하면서 스스로 문법 규칙을 찾은 후 짝이나 교사와 규칙에 대해 확인을 하는 과정에서 자신이 찾은 문법 규칙과 교사의 설명이 일치할 때 자신감이 상승하였다고 답하였다. 그리고 자신감이 상승하니 계속해서 문법 규칙을 찾아내려는 동기가 생겼다고 답하였다. 현재 인도네시아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한국어 오류 분석과 한국어 부정 표현 사용 양상 연구는 이뤄지고 있지만 인도네시아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부정 표현 교육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본 연구는 미흡한 부분이 적잖게 있지만 인도네시아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형태 초점 기법을 통해 한국어 문법 교육을 시도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차후에는 인도네시아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다양한 문법을 대상으로 효과적인 교수 방안을 실험적으로 검증하는 연구가 이뤄지길 기대해 본다.

韩语论文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