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내 이민자의 사회통합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study aims to develop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the social integration of the immigrants in Korea. In chapter 1, the migration process to Korea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social integration are reviewed. This study suggests five subcat...

This study aims to develop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the social integration of the immigrants in Korea. In chapter 1, the migration process to Korea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social integration are reviewed. This study suggests five subcategories of social integration: linguistic integration, systematic integration, cultural integration, economic integration, and political integration. It emphasizes that the social integration should become the integration of identity which means the integration of the values and the thoughts of migrant society. It compares the social integration policy of European countries and that of Korea, and reviews some language textbooks for immigrants of foreign countries and those of Korean. In this study,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social integration of immigrants are analyzed. The criteria for analyzing the above textbooks were characteristics of the demand group, the contents of social integration, and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Korean along with demand analysis. The study brings out some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social integration of immigrants in Korea as follows; First, the modulized textbooks should be developed to minimize the economic loss of the ministries of Korean government. It pointed out that the redundant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immigrants by several government organizations is a problem. Secondly, it suggests the categories and subcategories for social integration to apply to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immigrants. The categories for social integration are language, system, politics, culture and economy. And, the subcategories are Korean grammar and vocabulary, social system, law, policies, society, history, geography, and economy of Korea.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e rearrangement of learning levels for the efficient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proposes to consider the grading of themes when each syllabus is designed. Also, it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learner’s workbook and teacher’s manual and to reset education hours according to the language proficiency.

연구한국이민자의 사회통합위한 한국교재 개발과 관련한 이론적 논의를 전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이민자의 사회통합위한 한국어 교재개발 원리와 방향을 제시함...

연구는 한국 내 이민자의 사회통합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과 관련한 이론적 논의를 전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이민자의 사회통합을 위한 한국어 교재의 개발 원리와 방향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우선 한국 내 이민자의 유입 과정을 살펴보고 사회통합의 이론적 근거를 살펴보았다. 사회통합을 이루기 위한 사회통합 영역으로 언어적 통합, 제도적 통합, 문화적 통합, 경제적 통합, 정치적 통합을 제시하였다. 사회통합은 이민 사회의 가치관과 사고방식을 통합하는 정체성 통합으로 이어져야 할 것임을 강조하였으며 유럽의 여러 나라들의 사회통합정책과 한국의 사회통합정책을 살펴보았다. 또한 사회통합정책과 함께 다른 나라의 이민자 언어 교재와 한국 내 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재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국 내 이민자의 사회통합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연구를 위해 『이민자를 위한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1,2』,『이민자를 위한 한국어와 한국문화 중급 1,2』,『결혼이민자와 함께하는 한국어 1,2,3,4』,『고용허가제 한국어능력시험을 위한 한국어 표준교재 1,2』교재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기준으로 수요자 집단의 특성적 측면, 사회통합 영역의 내용적 측면, 한국어교육 효율화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현행 교재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교재 분석을 통해 한국 내 이민자의 사회통합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의 원리와 방향을 제시하였다. 우선 교육 수요자 집단의 특성을 반영한 교재 개발에 있어 모듈화에 따른 이민자 통합 교재 개발을 제안하였다. 즉 한국어 기초 학습을 위한 통합 교재를 개발하고 이후 모듈화 수업으로 한국어 심화교재, 결혼이민자 교재, 외국인 노동자를 대상으로 한 교재로 분리하여 개발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표준화 된 매체의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함께 교재 개발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을 언급하였다. 다음으로 사회통합 기능으로서의 한국어 교재 개발에 있어 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재에 제시되어야 할 사회통합 영역의 범주를 제시하였다. 사회통합 영역 제시는 언어, 제도, 정치, 문화, 경제 영역으로 나누고 하위 영역의 중분류로 한국어 어휘․문법, 제도, 법, 정치, 사회, 역사, 지리, 경제로 나누었다. 제시된 영역은 일상적 수준에서 알아야 할 초급 수준의 내용과 심화된 내용을 대상으로 하는 중급 수준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어교육 효율화를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해서는 학습 단계 재설정을 제안하였으며 교수요목을 개발할 때 주제의 위계화를 고려해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 학습자 워크북과 교사용 지도서 등이 함께 개발 되어야 함과 학습자의 언어 숙달도를 고려한 학습 시간 재설정에 대해서 제안하였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