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心)’의 의미 구조에 관한 한ㆍ중 대조 연구 -개념적 은유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연구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마음(心)’ 표현들을 살펴보고, 인지언어학의 개념은유 이론을 통해 마음의 의미 구조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져 있...

이 연구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마음(心)’ 표현들을 살펴보고, 인지언어학의 개념은유 이론을 통해 마음의 의미 구조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져 있다. 첫째, 고대 중국 철학 자료와 기존 현대 사전에서 ‘마음(心)’에 대한 해석과 예문을 통해, 한국어와 중국어 ‘마음(心)’의 의미 구성이 어떻게 정의되는지를 살펴보았다.
둘째, 한ㆍ중 ‘마음(心)’의 자료들을 정리하고 ‘마음(心)’의 표현들을 ‘개념적 은유 이론’으로 살펴보았다. 이 글에서는 ‘공간’, ‘시간’, ‘감각’, ‘색채’, ‘감정’의 5가지 영역에서 개념적 은유를 통해 한국어와 중국어 ‘마음(心)’의 개념과 관련된 표현들을 살펴보았다. ‘공간’ 영역은 ‘3차원’, ‘2차원’, ‘1차원’으로 나누어 논의하였고, ‘시간’ 영역은 ‘일시적이다’, ‘영원하다’, ‘청춘이다/젊다’, ‘늙다’, ‘과거’, ‘현재’, ‘미래’의 7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감각’ 영역은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으로 나누어서 논의하였고, ‘색채’ 영역은 ‘검은색(黑色)’, ‘흰색(白色)’, ‘빨간색(红色)’, ‘노란색(黄色)’, ‘푸른색/파란색(绿色)’, ‘회색(灰色)’으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감정’ 영역은 ‘화’, ‘걱정’, ‘미움’, ‘두려움’, ‘슬픔’, ‘긴장’, ‘기쁨’, ‘사랑’의 8가지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셋째, 각 영역에서 한ㆍ중 ‘마음(心)’의 의미 구조를 논의하고 두 언어 간의 비슷한 점과 차이점을 밝히고 그 경향이나 원인을 찾아보았다.
이 연구의 결과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 은유에서 형식적으로 한국어는 조사 ‘에’, ‘에서’ 등의 쓰임과 서술어와의 관계를 통해, 중국어는 ‘心/A’의 단순한 형식으로 ‘마음’을 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心宽(마음이 넓다)’의 경우, 한국어에서는 이것을 ‘2차원’ 혹은 ‘3차원’으로 인식하지만, 중국어에서는 ‘넓다(宽)’를 2차원인 ‘면’으로 인식함을 살펴보았다.
둘째, ‘시간’ 은유에서 한국어는 ‘흘러가다’를 통해서 ‘시간’과 ‘마음’을 ‘물’로 개념화하지만, 중국어에서 ‘流逝(흘러가다)’는 주로 ‘시간의 흐름’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사용되므로, 중국어에서는 ‘마음’을 ‘시간’으로 개념화할 수 있다.
셋째, ‘감각’ 은유에서 한국어는 ‘쓰다’로 마음속에서 나타난 ‘미움’이나 ‘슬픔’을 표현하지만, 중국어에서는 ‘苦(쓰다)’나 ‘涩(떯다)’의 두 가지로 표현한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중국어의 경우, 여러 가지 맛을 함께 섞은 맛으로도 구현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넷째, ‘색채’ 은유에서 한국어는 <마음씨가 좋음은 흰색>인데, 중국어는 <마음씨가 좋음은 빨간색>으로 개념화된다. 그리고 한국어는 중국어와 달리 ‘흰색’이 ‘상서로움’, ‘결백, 깨끗함’의 상징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다섯째, ‘감정’ 은유에서 ‘걱정’과 관련하여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모두 다 ‘액체’로 파악되는 데 중국어에서만 ‘마음’은 ‘상-하’로 이동하는 실체로 파악된다. 그리고 중국어는 ‘如’과 ‘若’의 쓰임을 통해 ‘마음은 물이다’, ‘마음은 얼음이다’, ‘마음은 활시위이다’를 더 직접적으로 나타내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를 통해 ‘마음(心)’은 일반적으로 공간으로 개념화하여 표현되고, 서로 다른 문화 방식과 생활 경험은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마음’ 개념의 은유적 표현에 있어 서로 비슷하면서도, 각 언어의 고유한 특징을 가졌음을 살펴보았다. 한국어와 중국어의 더 구체적인 인지모형을 세우는 것이 이 연구의 과제이다.

The purpose of this is to examine semantic structures of in Korean and Chinese based on Conceptual Metaphor Theory by investigating the expressions of both languages. This may be classified into three main groups. First, the ancient philo...

The purpose of this is to examine semantic structures of in Korean and Chinese based on Conceptual Metaphor Theory by investigating the expressions of both languages.
This may be classified into three main groups. First, the ancient philosophy of China had an effect on both languages, and both dictionaries contemporary reflect this kind of people’s thinking. So this inspects mind's definition to ancient philosophy of China and modern Korean and Chinese dictionaries.
Secondly, this organizes mind's expressions in the two languages and construed by Conceptual Metaphor Theory. This is classified 5 domains. That is, space, time, sensation, color, emotion. The domain of space is classified three-dimensions, two-dimensions, and one-dimension. The domain of time is classified temporary, permanent, young, old, past, present, and future. The domain of sensation is classified seeing, hearing, smell, taste, and touch. The domain of color is classified black, white, red, yellow, blue, and grey. Finally, The domain of emotion is classified anger, anxiety, hate, fear, sorrow, tension, joy, and love.
Thirdly, this discusses mind's semantic structures of each domain and searche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Korean and Chinese.
The results are illustrated as follows. First, mind is expressed the relation of postposition ‘에’, ‘에서’ and predicate in Korean, while Chinese expresses ‘心/A’ formally in the way to express the space. For example, ‘心宽(mind is broad)’ perceives three-dimensions or two-dimensions in Korean but two-dimensions in Chinese.
Second, in the case of time, Korean is conceptualized ‘흘러가다(flow)’, while Chinese is conceptualized ‘流逝(elapse)’. In other words, ‘흘러가다(flow)’ is conceptualized time and mind, but ‘流逝(elapse)’ is conceptualized time usually.
Third, in the case of sensation, Korean is conceptualized ‘쓰다(bitter)’ to hate or sorrow, but Chinese ‘苦(bitter)’ or ‘涩(bitter)’ to hate or sorrow. In addition, Chinese is conceptualized mixed taste to mind.
Fourth, in the case of color, Korean is conceptualized BEING TENDER-HEARTED IS WHITE while Chinese is conceptualized BEING TENDER-HEARTED IS RED. In addition, Korean is conceptualized the white to auspiciousness, innocence, and purity.
Fifth, in the case of emotion, Korean and Chinese are conceptualized anxiety to liquid. Exceptionally Chinese is conceptualized mind to an entity which moves up and down. In addition, Chinese is conceptualized MIND IS WATER, MIND IS ICE, and MIND IS BOWSTRING expressed by ‘如(like)’, ‘若(like)’.
As a result, mind is generally conceptualized space both in Korean and Chinese. I examined different expressions in each cultures and lives in the two languages. I will study more to make specific cognitive models both of them.

韩语论文网站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