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교육에서의 양용 용언의 효율적 교육 방안 연구 : 일본어권 학습자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연구는 한국어 용언 중에서 동사와 형용사로 동시에 활용되는 용언인 양용 용언에 관한 일본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의 인지 양상과 오류 분석 연구이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 용언 중에서...

이 연구는 한국어 용언 중에서 동사와 형용사로 동시에 활용되는 용언인 양용 용언에 관한 일본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의 인지 양상과 오류 분석 연구이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 용언 중에서 동사와 형용사의 활용형을 동시에 가지는 것들 가운데 한국어 교육용 어휘로 선정되어 있는 것들을 ‘(한국어) 양용 용언’ 으로 범주화하여 대상으로 삼았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한국어 통합 교재에서 이 양용 용언이 제시되는 양상을 살펴본 후 문제점을 살피고 설문을 통해 일본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이 양용 용언을 모국어의 어떠한 용언과 연결시키는지, 또한 해당 용언과의 품사 정보는 일치하는지 여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한국어 통합 교재에서는 ‘양용 용언’의 활용 형태 제시에 있어 동사나 형용사 한쪽 방향에 치중해 있는 문제점을 찾았고, 활용 형태가 제시되는 경우에도 해당 활용형이 가능한 이유 및 품사 정보의 노출이 부족하다는 점을 볼 수 있었다. 설문을 통해서는 일본어권 학습자들이 한국어의 용언의 품사 정보를 의미적으로 대응되는 모국어의 용언과 연결시켜 생각하고 있음을 밝혔고 이로 인한 오류도 많이 발생하고 있음을 보았다.
그 다음으로 일본어권 학습자에게 번역 과제를 주고 양용 용언의 활용에 대한 이해와 품사 인식 양상을 알아보았다. ‘한 → 일’ 의 번역 과제에서 일본어권 학습자들이 한국어의 양용 용언의 의미 파악에는 크게 어려움을 겪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던 반면에 ‘일 → 한’ 의 번역 과제에서 양용 용언을 직접 활용하는 과정에서 명확하지 않은 품사 정보에 의해 대부분의 학습자들이 오류를 일으키는 것을 확인했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양용 용언의 다양한 쓰임과 활용 형태의 교육을 위한 교육 모형을 제시하고 그 교육 모형의 효율성을 실험으로 검증하는 과정에서 일본어권 학습자들이 정확한 품사 정보와 활용 형태의 교육만으로도 큰 이해도와 높은 학습 성취도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서 거의 언급되지 않았던 양용 용언이라는 주제에 대해 현 교육 현장과 교재에서의 문제점과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 양용 용언의 언어권별 및 수준별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한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perception and errors of Japanese-speaking Korean language learners as to amphibious verbs, which are utilized as verbs and adjectives among Korean verbs. Specifically, the ones established as 'vocabulary for Korean language ed...

This study examines the perception and errors of Japanese-speaking Korean language learners as to amphibious verbs, which are utilized as verbs and adjectives among Korean verbs. Specifically, the ones established as 'vocabulary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explored. Thus, the target of this study is ‘(Korean) amphibious verbs' among the inflectional forms of verbs and adjectives.
The method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amphibious verbs in integrated Korean textbooks were examined. Second, the problems in introducing the verbs were explored. Third, a survey was conducted to see how Japanese-speaking Korean learners link the amphibious verbs to the verbs in Japanese. Also, whether or not the verbs of two different languages are compatible in terms of word class was examin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integrated Korean textbooks focused on either verbs or adjectives when introducing the inflectional forms of ‘amphibious verbs.' Second, the reason why the inflectional forms are possible and word class information were not given in detail. Third, the survey showed that Japanese-speaking Korean learners linked the word class information to Japanese verbs that match semantically. As a result, it led to many language errors.
A translation task was given to Japanese-speaking Korean learners. The aim was to test their awareness of amphibious verb utilization and word class. In ‘Korean → Japanese’ translation task, Japanese learners understood the meaning of amphibious verbs of Korean well. In ‘Japanese→ Korean’ translation, most learners made mistakes upon utilizing amphibious verbs due to unclear word class information.
Finally, an educational model of diverse usage and inflectional forms of amphibious verbs is introduced. The effectiveness of the model was tested. It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 Accurate information on word class and inflectional forms of verbs can greatly help Japanese learners understand and achieve better.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deals with amphibious verbs, which has rarely been discuss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econd, the problems of current education and textbooks are explained. Also, ideal teaching methods are introduced. Third, the necessity of studies on amphibious verbs by the language and level of learners is emphasized.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