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는 최근 20년간 급격한 이민자의 수적인 증대로 2014년에는 총 거주 외국인 수가 160만명을 넘어서며 실질적인 다문화사회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하지만 다문화사회를 살고 있는 ...
한국사회는 최근 20년간 급격한 이민자의 수적인 증대로 2014년에는 총 거주 외국인 수가 160만명을 넘어서며 실질적인 다문화사회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하지만 다문화사회를 살고 있는 대부분 우리들은 아직까지 단일민족, 단일문화, 단일언어 국가라는 오랜 전통적 믿음으로 우리의 인식과 삶의 변화를 추구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우리 일상의 삶은 이민자들과 함께하면서 새로운 문제와 모순들로 인해 갈등을 겪고 있음이 발견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근거하여, 결혼이주여성으로 구성된 다문화가정에서 결혼이주여성들이 자녀의 한국어교육 지원과 관련하여 경험하는 삶의 모습과 실상을 담아내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이들을 위한 지원방안을 제언하고자 함에 목적을 둔다. 이에 대한 주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필리핀 어머니의 자녀 한국어교육 지원 경험은 어떠하였나?
둘째, 필리핀 어머니의 자녀 한국어교육과 관련하여 주변 가족의 지원은
무엇이며 어떠한가?
셋째, 필리핀 어머니의 자녀 한국어교육 지원 서비스는 무엇이며 그 활용
경험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참여 대상자들은 초등입학 전·후 자녀를 둔 농어촌거주 6명의 필리핀 여성들이다. 이들을 대상으로 위 연구문제에 대한 답을 찾고자 2시간 정도의 심층면접을 수행하고 현상학적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그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밝혀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첫째, 참여자들은 외국인 어머니로서 자신이 한국어 능력이 부족하여 자녀를 한국어교육에 문제가 있음을 염려하였다. 이에 자신들 스스로의 노력하는 모습으로 한국어로 된 DVD 보여주기, 동요 들려주기, 그리고 그림책을 활용하였다.
둘째, 참여자들의 자녀 한국어 교육지원에 대한 가족 내 경험은 시부모와 남편의 지원으로 요약된다. 특히 가족 내 젊은 층인 시누이의 도움이 중요한 것으로 보이며 시부모의 적극적인 관심과 도움도 발견되었다. 하지만 남편의 소극적인 지원과 타언어사용에 대한 부정적이며 가부장적인 태도가 참여자들에게 자신의 언어를 소외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셋째, 참여자들에게는 자녀를 위한 한국어 방문지도교사 지원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치원 단계에 자녀의 언어습득이 어머니에게 전달되어 자녀와 의사소통이 점차 원활해지는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참여자들은 자신의 언어를 자녀에게 가르치고 소통하고자 싶은 욕구도 나타냈다.
넷째, 특히 농어촌지역 학교에서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위한 한국어교육과 학습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었다. 그리고 외국인 어머니를 위한 한국어교실이 개설되기도 희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결혼이주여성들의 자녀 한국어교육 관련하여 다음의 사항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지역사회 내 타문화를 배려하고 인정하는 문화와 결혼이주여성의 주변가족들이 자녀와 여성들을 위한 한국어교육 지원을 위한 다각적인 서비스가 구축되어 활용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정부부처는 상호연계를 통해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한국어 교육정책을 마련하고 자녀와 결혼이주여성들이 더욱 더 한국어능력을 함양할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셋째, 결혼이주여성이 자녀에게 모어를 적극적으로 교육할 수 있도록 다양한 외국어교육 교재나 프로그램을 지역사회 내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체계가 필요하다.
넷째,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결혼이주여성의 자녀 한국어교육을 위해 가족과 외부의 지원이 필수적임이 밝혀졌다. 따라서 후속 연구는 여성결혼이주자들의 요구도 조사, 국가별 자녀 한국어 교육에 대하여 폭넓은 연구, 그리고 한국어 교육정책에 대한 연구 등을 통해 이들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맞춤형 교육 서비스와 프로그램 등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