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농촌 간 다문화가족지원정책의 효과 및 효율성 분석
-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중심으로 -
단일민족, 단일국가를 표방하던 우리나라도 자본과 노동의 이동, 세계화 추세에 따라 다...
도시·농촌 간 다문화가족지원정책의 효과 및 효율성 분석
-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중심으로 -
단일민족, 단일국가를 표방하던 우리나라도 자본과 노동의 이동, 세계화 추세에 따라 다문화사회로 이행하고 있다. 여성가족부의 다문화가족 관련 연도별 통계를 보면 2007년 14만 명에서 2014년에는 79만 명으로 집계되었다. 오는 2020년에는 다문화가족이 100만 명에 이를 것이라 예상하고 있다.
오늘날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통해 정부의 다문화가족을 위한 지원 정책이 시행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회의의 목소리가 크다. 이는 다문화가족지원정책의 효과 및 효율성 측정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기관 간 알력(軋轢) 문제를 내세워 정책 평가를 애써 외면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생각하였다. 또한, 도시와 농촌이라는 지역의 특수성을 간과한 획일적인 중앙통제식 정책에도 의구심이 들었다. 귤화위지(橘化爲枳)라는 말처럼, 일괄적 정책 하에서 도시와 농촌지역에서 상이한 효과 및 효율성이 나타날 것이라 생각하였다.
본 논문은 도시 54곳, 농촌 70곳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대상으로 자료포락분석(DEA, Data Envelopment Analysis)을 통해 상대적 효율성 순위를 측정하였다. 크게 센터(①종합, ②이용)와 센터 프로그램(③한국어교육, ④가족통합교육, ⑤취업연계 및 교육, ⑥자조모임) 두 수준(two-level)으로 나누어 가설을 세우고 분석하였다. 자료포락분석 결과를 Mann-Whitney U test를 시행하여 도시와 농촌 간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는지 살펴보았다. 또,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종사자와의 인터뷰 내용을 가설 설정 및 분석 결과에 참고하여 보다 적실성있는 연구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첫째, 센터의 효율성을 ①종합효율성, ②이용효율성으로 나누어 자료포락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도시와 농촌의 센터 간 종합효율성, 이용효율성 모두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다만, 도시와 농촌지역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업무 종사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수치 결과에서 나타나지 않은 심층적 지역 특징을 살펴볼 수 있었다.
둘째, 프로그램의 상대적 효율성 측정에 있어서 기본사업을 중심으로 현재 전국 다문화가족지원센터 공통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③한국어교육 ④가족통합교육 ⑤취업연계 및 교육 ⑥자조모임 프로그램으로 각각 가설을 세웠다. 분석 결과, ③한국어교육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도시, ④가족통합교육 프로그램과 ⑥자조모임 프로그램에서는 농촌이 유의미하게 더 높은 프로그램 효율성을 나타냄을 살펴볼 수 있었다. ⑤취업연계 및 교육 프로그램의 경우는 도시와 농촌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조경제, 창조행정이라는 것이 지금까지 아무도 생각하지 못했던 기발한 것, 특별한 무언가를 찾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중앙정부의 통제 아래 획일적으로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①상대적 측정을 통해 기관 스스로 개선의 여지를 제공하고, ②지역 특성을 고려하는 동시에, ③집행을 담당하는 일선관료의 시각 수용을 통해 기존에 간과했던 부분을 보완하는 노력을 통해 조금씩 기존 정책을 개선해나가는 것이 바로 다름 아닌 창조행정이 아닐까.
Th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olicies in Urban and Rural Area
- Focused on the Support Centers for Multicultural Families
South Korea, once claimed to be a homogeneous nation, has been transform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due to globalization and the following movement of capital and labor between countries. According to the annual statistics on multicultural families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there has been a sharp increase in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from 140 thousands in 2007 to 790 thousands in 2014, which is expected to reach 1 million in 2020.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olicies have been carried out by the government mainly through the Support Centers for Multicultural Families, but there has been a huge skepticism. This may result from the difficulty of measuring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olicies, as well as the disregard of policy evaluation caused by friction between the governing bodies. Moreover, doubts grew over the effects of the undifferentiated, centrally controlled policies that do not consider the distinctiveness of urban and rural area. These led to the belief that the undifferentiated policies must demonstrate regional differences in terms of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This measures the relative efficiencies of the 54 Support Centers for Multicultural Families in urban area and 70 in rural area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It formulates a hypothesis and analyzes the results based on the two levels, the one being the center (①Overall ②Utilization) and the other being the center programs (③Korean Language Education ④Family Integration Education ⑤Employment Education ⑥Self-help Groups). Performing a Mann-Whitney U test with the results of DEA, this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differences between the efficiencies of the centers in urban and rural communities. Furthermore, it refers to the interviews with the staff at the centers in framing a hypothesis and analyzing the results in order to pursue relevance in the study.
First of all, this calculates the efficiencies of the centers by perform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for ①Overall Efficiency ②Utilization Efficiency. The results have shown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enters in urban area and the ones in rural area in terms of the overall efficiency and the utilization efficiency. However, the interviews with the staff at the centers in urban and rural area allowed an in-depth understanding of each area, which has not been revealed through the numerical results.
Secondly, in order to measure the relative efficiencies of the center programs, the forms a hypothesis on ③Korean Language Education ④Family Integration Education ⑤Employment Education ⑥Self-help Groups respectively, which are currently under evaluation by the Support Centers for Multicultural Families nationwide. The results are that ③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s show a better efficiency in urban area, while ④Family Integration Education programs and ⑥Self-help Groups are indicated to be more efficient in rural communities. ⑤Employment Education programs do not display such differences between in rural and urban society.
Creative economy and creative public administration are not something unique or special that no one has ever thought of. Instead, creative public administration is, rather than implementing something uniformly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government, ①performing relative evaluation for further improvement, ②taking regional characteristics into consideration, and thereby ③incrementally improving the original policies by attending to the officers working in the front lines.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