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인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 오류 분석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논문은 몽골 현지에서 한국어를 전공하고 있는 3, 4학년 학부생 및 졸업생의 작문에 나타나는 오류분석하여 몽골인 한국어 교사들에게 유익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은 몽골 현지에서 한국어를 전공하고 있는 3, 4학년 학부생 및 졸업생의 작문에 나타나는 오류분석하여 몽골인 한국어 교사들에게 유익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 58명의 작문 자료 90편을 분석하였으며 거기에 나타나는 오류를 음운, 문법 오류로 분류하였다.
첫째, 작문에서 나타난 음운 오류를 분석할 때 초성, 중성, 종성으로 나누어서 분석하였으며 여기서는 모국어 간섭으로 인한 오류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음운 오류는 주로 몽골어에는 없는 발음인데 한국어에는 있는 발음으로 인해 생긴 오류였다.
둘째, 문법 오류는 조사, 연결어미, 시제, 사동사와 피동사, 높임법, 문장종결법 오류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조사에서 나타난 오류들로는 주격조사, 목적격조사, 보조사 ‘은/는’, 부사격조사, 관형격조사가 있고 연결어미 오류는 그리 다양하지 않으며 ‘-아서/-어서’, ‘-고’, ‘-기’, ‘-아/-어/-여’ 순으로 빈번하게 나타났다. 시제 오류로는 과거 선어말어미 ‘-았-/-었-/-였-’이 누락되는 오류가 많이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현재 관형사형 어미 ‘-는, -(으)ㄴ’ 오류가 많이 나타났다. 사동사와 피동사 오류는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문법 형식이 아닌 어휘 형식으로 많이 배우기 때문에 혼란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인다. 높임법 오류에서는 상대높임법에 대한 연습 및 활용 부족으로 발생한 오류들이 제일 많았고 높임법을 누락하거나 첨가한 오류들이 나타나고 있었다. 문장종결법 오류는 격식체와 비격식체를 섞어서 사용하는 오류들이 많이 나타나고 있었다.
본 논문은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에서 나타난 오류를 분석한 연구로서 몽골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향후 과제는 구체적인 교육 방안의 제시로 발전이며 효과적인 교수 학습 방안과 실험적 검증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show useful data for Mongolian lecturers teaching the Korean language by analyzing the errors that Mongolian Korean language learners in their junior and senior years and graduates make in composition. I analyzed...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show useful data for Mongolian lecturers teaching the Korean language by analyzing the errors that Mongolian Korean language learners in their junior and senior years and graduates make in composition. I analyzed 90 pieces of compositions written by 58 Mongolian Korean language learners, classifying the errors into phonological and grammatical
errors.
First, on analyzing the phonological errors in composition, I classified them into onset, medial and coda, thus errors made due to interference of the native language were encountered here. Phonological errors are made mainly because of the pronunciation existing in the Mongolian language whereas not in the Korean language.
Second, grammatical errors can be categorized into postpositional particle, connective ending, tense, causative and passive verb, honorific, and sentence concluding. In the case of the postpositional particle, five major errors were found: subjective case, objective case, complementary case ‘eun/neun’, adverbial case and genitive case. Connective ending errors varies not as much and appeared frequently in the ‘-aseo/eoseo’, ‘-go’, ‘-gi’, ‘-a/eo/yeo’ order. In tense errors, the omission of the past prefinal ending ‘-ass/eoss/yeoss’ were the most frequent, and the ones in the present genitive ending ‘-neun, -(eu)n’ followed next. Errors on causative and passive verb occur because
Mongolian Korean language learners are confused due to learning them in lexical form rather than in grammatical form. In honorifics, errors were usually made on account of the lack of practice and usage in Hearer Honorific. Also,
errors occurred by grammatically omitting and adding honorifics incorrectly. In sentence concluding, errors made by mixing the formal and informal style appeared frequently.
This study focuses on the analysis of errors in composition among Mongolian Korean language learners so that it has significance in that it is able to utilize as a basic data for Mongolian learners. Further research on the suggestion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needs to be conducted. Therefore, the discussion for the effective educational methods and experimental verification are required.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