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다양한 이유로 한국어를 학습하고자 하는 캄보디아인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학문 목적의 유학생, 결혼으로 다문화 가정을 꾸리려는 여성, 캄보디아의 한국 기업이나 한국에서의 취...
최근 다양한 이유로 한국어를 학습하고자 하는 캄보디아인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학문 목적의 유학생, 결혼으로 다문화 가정을 꾸리려는 여성, 캄보디아의 한국 기업이나 한국에서의 취업을 목적으로 하는 근로자, 아직 꺼지지 않은 한류 열풍에 K-Drama와 K-POP을 생생하게 느끼고 싶어하는 젊은이까지, 캄보디아인 사이에서 한국어 교수-학습의 필요성은 증대되고 있고 그만큼 캄보디아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차별화된 학습 방안이 필요한 상황이다. 학습 방안의 한 방법으로 속담을 활용하는 것은 꽤 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
속담은 한 나라의 문화가 가장 잘 녹아있는 언어의 한 형태이며 그 문화를 들여다보는 거울이 된다. 또한, 언어를 배우는 것은 그 언어권의 문화를 배우는 것이고 문화라는 것은 언어 속에서 창조된다. 즉, 속담과 문화, 속담과 언어, 언어와 문화는 서로 떼어 놓고 생각할 수 없으며 이러한 속담을 통하여 언어를 교수-학습하는 것은 그 문화를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언어를 더 빨리 습득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 속담을 통해 한국어를 학습한다는 것은 더욱 쉽게 한국 문화를 이해하고 더욱 빨리 한국 생활에 적응하며 더욱 효과적으로 한국어를 학습하는 방법이 된다. 이를 위해 캄보디아인 한국어 학습자 수준별 최적의 교육용 한국 속담 목록을 선정하여 제시하는 데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각 장의 논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을 제시하고, 선행 연구를 살펴보며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언어와 문화, 한국어 교육과 속담에 관해 서술하였다. 언어와 문화에서는 제2 언어를 교수-학습하는 데에 있어 문화의 중요성과 제2 언어를 학습하는 학습자가 그 언어권의 문화적 배경지식을 가지고 있는 경우 제2 언어 학습에 미치는 효과를 논의하였다. 한국어 교육과 속담에서는 속담의 정의와 특징을 살펴보고 한국어 교육에서 속담의 교육적 가치와 학습자 수준별 속담 교육의 초점을 짚어봄으로써 본 연구의 목적이 되는 학습자 수준별 교육용 한국 속담 목록 선정의 기본적 이론을 마련하는 장이 되었다.
제3장에서는 양국 속담 현황을 살펴보았는데 먼저 한국 속담의 경우 한국어 교재, 한국어 평가, 한국 속담 전문가와 서적의 한국 속담 전문, 이 세 가지 측면에서 교육용 한국 속담 현황을 살펴보았다. 캄보디아 속담의 경우 캄보디아인 한국어 학습자의 배경 지식으로써 작용할 수 있는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발화되는 속담이 필요하므로 캄보디아인이 자주 사용하는 속담 현황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캄보디아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하여 실생활에서의 사용 빈도수가 높은 속담을 조사한 것이다.
제4장에서는 제3장에서 선정한 양국의 속담을 중심으로 문화적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분석하였다. 속담의 비교·분석은 어휘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을 고려하였는데 어휘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에 포함되지 않는 상태 묘사의 범주까지 포함하여 7개의 범주- (1) 동물, (2) 사람, (3) 말(言), (4) 의식주(衣食住), (5) 자연·날씨, (6) 기타 정신문화, (7) 상태 묘사-로 구분하였다. 각 범주에서는 해당하는 양국의 속담을 나열하고 양국 속담의 문화적 공통점과 차이점을 도출하였다. 본 장에서 분석한 양국 속담의 유사성은 제5장에서 활용하였는데 캄보디아인의 문화적 특성을 반영하여 한국어 학습자 수준별 교육용 한국 속담 목록을 선정하는 요소로 반영하였다.
제5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이 되는 캄보디아인 한국어 학습자 수준별 교육용 한국 속담 목록을 선정하여 제시하였다. 속담의 기본 목록은 제3장 한국 속담 현황에서 제시한 속담으로 한국어 교재, 한국어 평가, 한국 속담 전문에서 거론되었던 속담이다. 여기에 1) 어휘 및 문형의 난이도, 2) 캄보디아 특수성을 반영하였는데 어휘 및 문형의 난이도에서 정한 기본 난이도를 캄보디아 특수성의 각 요소에 의해 조정하였다. 캄보디아 특수성은 세 가지 요소-제4장에서 도출한 양국 속담의 유사성, 캄보디아인 학습자 속담 인식 난이도, 캄보디아 문화를 경험한 한국인의 추천도-를 반영하였다. 속담은 학습자 수준을 고려하여 단계별로 제시하였고 해당 단계에서 교수-학습이 반드시 필요한 교육 ‘필수 속담’과 교육의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이해용’ 속담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이해용 속담은 학습자의 능력이나 상황에 따라 가변적으로 교수-학습할 수 있다.
이렇게 선정한 학습자 수준별 교육용 한국 속담은 제5장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캄보디아인을 위한 특수성을 반영한 것으로 타 언어권 학습자보다는 캄보디아인 학습자에게 더욱 효과적인 속담이라 판단된다. 본 연구 통하여 캄보디아인 한국어 학습자의 교수-학습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어 의사소통에 있어서 자연스럽고 재치있고 세련된 표현을 구사하고 한국과 한국인, 한국 문화를 편견 없이 이해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