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upposed modality expressions, ‘-겠-’, ‘-(으)ㄹ 것이다’, ‘- (으)ㄴ가/나 보다’ of Chinese Korean learners. Modality exists cross-linguistically, but it is not the same as every languag...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upposed modality expressions, ‘-겠-’, ‘-(으)ㄹ 것이다’, ‘- (으)ㄴ가/나 보다’ of Chinese Korean learners. Modality exists cross-linguistically, but it is not the same as every language. Korean speculative expressions are especially diversified. Those who has similar meaning holds delicate semantic differences, so it is not easy to distinguish them. Such a semantic difference causes varied pragmatic function in the discourse, so it is very important for them to acquire semantic differences of speculative expressions. It is essential to make a contrast analysis about the Korean performance of the modal point system and its corresponding Chinese morphophonemic auxiliary verb in contrast to the grammar, in order to make the Chinese who are learning Korean language to use modal performances appropriately and correctly.
The composition of this study is as the followings below: In Chapter Ⅰ, this study identifies necessity and aim of the study, reviews studies on speculative expressions in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nd presents research topics.
In Chapter Ⅱ, it examined speculative expressions as the sub-category of epistemic modality and selected expressions for discussions. It had also examined the presence of syntactic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and the corresponding of the Chinese supposed modality expression.
In Chapter Ⅲ, it explains participants for research, study procedures, test items for inspecting use of speculative expressions in the study, and the analytic methods of the collected data.
In Chapter Ⅳ, it describes the research results. Firstly, as a results of comparing Korean native speakers to Chinese Korean learners,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use of speculative expression. The average mark of Chinese Korean learners is lower than the native Koreans. This proofed that the acquisition of Chinese Korean learners was not completely full. Secondly, as the result of inspecting use modality by proficiency according to their native languag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ower ranked learners and higher ranked learners in general. It does not have a good acquisition between the lower ranked learners and higher ranked learners due to the effect of native language.
Finally in Chapter Ⅴ, it identifies research results and presents its significance and limitat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the foundation for the future speculative expression instruction in the educational fields in that it examined firstly speculative expressions centered on learners, and secondly their acquisition modality of expressions. However, it depends whether learners acquired difference of pragmatic function according to the meaning of speculative expressions. Therefore, complementary studies are required hereafter.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추측 양태 표현 ‘-겠-’, ‘-(으)ㄹ 것이다’, ‘-(으)ㄴ가/나 보다’의 습득 양상을 고찰하는 것이다.
한국어에서 추측 양태 표현은 다른...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추측 양태 표현 ‘-겠-’, ‘-(으)ㄹ 것이다’, ‘-(으)ㄴ가/나 보다’의 습득 양상을 고찰하는 것이다.
한국어에서 추측 양태 표현은 다른 양태 표현에 비해 다양하게 존재하고 통사적인 제약에 따라 의미 차이가 있으며 상황에 따라 의미 특성이 다르다. 따라서 학습자들은 이 표현들이 혼동될 수밖에 없으며, 정확하게 구별해서 사용하기가 어렵다. 동시에 추측 양태 표현은 중국어에도 있지만 두 언어 간의 차이 때문에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어 추측 양태 표현을 배울 때 많은 어려움을 가진다. 제2언어 교육에서 학습자의 모국어 영향은 꾸준히 강조되어 왔으며 한국어 교육에서 중국인을 대상으로 한 추측 양태 표현의 습득 연구가 있지만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을 같이 살펴보는 연구는 없었다. 또한 본고의 조사 대상인 중국인 학습자는 현재 한국 내 한국어 학습자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어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습득 연구는 실제 한국어 교수 현장에 상당한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어에서 사용 빈도가 높고,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도 비중 있게 제시되고 있는 추측 양태 표현 ‘-겠-’, ‘-(으)ㄹ 것이다’, ‘-(으)ㄴ가/나 보다’를 논의의 대상으로 선정하여 각 추측 양태 표현이 사용되는 통사적, 의미적 특성을 바탕으로 추측 양태 표현 평가지를 제작하여 실험조사를 실시하였다. 각각의 결과는 중국인과 한국어 모어 화자, 또는 숙달도에 따라 분류한 중국인 상집단과 하집단의 비교를 통해 집단 간의 습득 양상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을 밝히고 선행연구에 대해 검토하여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Ⅱ장에서는 논의의 대상이 되는 추측 양태 표현을 선정하고 그 통사적, 의미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통사적 특성은 주어 인칭과 용언 제약, 문장 종결법 제약, 과거 시제 형태소의 결합 제약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고 의미적 특성은 판단의 근거와 확실성의 정도로 구분해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선정된 추측 양태 표현에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을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연구 대상인 실험 참여자와 실험 도구를 밝히고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는 방법과 연구 절차를 설명하였다.
Ⅳ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기술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첫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추측 양태 표현 사용 양상은 통사적, 의미적 특성에 관련하여 모두 한국어 모어 화자와 차이가 있었다.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어 모어 화자보다 전체적으로 낮은 평균 점수를 나타내며 학습자가 추측 양태 표현을 완전히 습득하지 못하였음을 보여주었다. 둘째, 숙달도에 따른 중국인 상집단과 하집단 추측 양태 표현 사용 양상에 차이가 있었다. 통사적, 의미적 특성과 관련한 중국인 학습자 상, 하집단의 유의미적인 차이는 논리적 추론에서만 확인되었다. 의문문 제약과 관련하여 숙달도에 상관없이 잘 습득하지 못하였음을 확인하였는데 그 이유는 모국어의 영향으로 설명할 수 있다. 나머지 제약에서는 숙달도 변인이 작용하여 숙달도가 높아질수록 더 잘 습득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밝히면 다음과 같다.
그간의 추측 양태 표현에 대한 연구는 주로 교수자 입장에서 이루어졌으나,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으로 추측 양태 표현에 대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학습자의 추측 양태 표현 습득 양상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학습자에게 어떤 추측 양태 표현이 어려운지 알 수 있었는데, 이는 향후 교육 현장에서 추측 양태 표현 교수를 위한 밑거름이 될 것이라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또한 본고는 중국어의 추측 양태 표현을 같이 살펴보고 학습자 추측 양태 표현의 사용 양상을 설명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본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추측 양태 표현 습득 양상을 통사적, 의미적 특성에 한정하여 살펴본 것으로, 담화상의 화용적 기능에 대해서는 살펴보지 않은 것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앞으로 추측 양태 표현의 화용적 기능에 대한 학습자의 습득 연구도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