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의사소통 능력의 강조되면서 한국어 말하기 교육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어, 일반 목적 중국인 학습자들을 위한 말하기 교재들이 개발되고 있다. 중국에서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의사소통 능력의 강조되면서 한국어 말하기 교육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어, 일반 목적 중국인 학습자들을 위한 말하기 교재들이 개발되고 있다. 중국에서는 상당수의 한국어 말하기 교재들이 편찬되어 왔지만,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 교재의 개발은 미흡한 실정이다. 때문에 현재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 교재의 요구가 증가되고 있으며 이러한 교재의 개발과 연구의 필요성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 말하기 기능에 초점을 두고 , 초 · 중급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말하기 교재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Ⅰ장에서는 연구 목적과 내용 및 방법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와 관련된 이론적 배경을 정리하였다. 또한 말하기와 교수법의 관계를 언급한 뒤, 최근 중국에서 출발된 말하기 교재를 제시하였다. 특히 각 교재들의 특징 및 단점 위주로 정리하였다. 이와 더불어 중국에서 출판된 한국의 한국어 말하기 교재를 살펴본 뒤, 중국의 한국어 교육기관이 왜 중국에서 출판된 말하기 교재를 사용하지 않고 중국에서 출판된 한국의 한국어 말하기 교재를 사용하고 있는지, 그 이유도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말하기 교재 비교 · 분석을 위한 이론적 배경을 언급하였다. 우선, 과업중심접근법의 다양한 정의로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과업의 구성요소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지 이론적 배경을 정리한 뒤, 더 나아가 이 과업의 구성요소들은 한국어 말하기 교재에서 어떻게 구성되어 있으며, 또 어떠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정리하였다.
Ⅲ장에서는 본격적으로 중국에서 출판된 말하기 교재와 한국에서 출판된 말하기 교재의 비교 · 분석을 위한 분석 대상과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비교 · 분석 항목 및 보완해야 할 점도 제시하였다.
Ⅳ장에서는 지금까지 중국에서 만든 한국어 초급, 중급 교재와 한국에서 만든 한국어 초급, 중급 교재의 분석 · 비교 결과를 바탕으로 말하기 교재 개발 설문 및 요구 조사를 제시하였다. 첫 번째 설문 조사는 이민선(2004)에서 제시한 기능 분류에 의거해 중국인에게 한국어로는 자연스러운 다양한 담화 상황들을 중국어로 제시한 후, 제시한 상황이 본인의 상황이라고 생각하였을 때 그 상황이 평소에 중국어로 생각하는 것처럼 자연스러운지를 판단하도록 하였다. 이 설문조사의 결과에 따르면 사과하기, 제안하기, 지시하기, 약속하기, 의견 말하기, 걱정하기, 아쉬움을 표현하기, 희망하기 상황에서중국인들의 발화 상 습관과 한국인들의 발화 상 습관의 차이가 가장 크다. 그는 이러한 차이를 교재를 편찬할 때 자세히 설명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두 번째 설문 조사에서는 교재 분석의 결과 및 차준우(2014)와 김진희(2011)의 연구를 바탕으로 중국인 학습자가 선호하는 주제, 활동, 학습양식을 조사하였다.
Ⅴ장에서는 Ⅲ장에서 교재를 분석 · 비교한 결과와 Ⅳ장에서 설문 조사를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초급과 중급 말하기 교재 개발 방안을 자세히 제시하였다. 먼저 교수요목 유형과 단원 구성의 모형을 마련하고 이를 토대로 말하기 교재의 실제 단원 모형을 제시하였다. 더하여 수업에서 교사가 교재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교사 지침서를 함께 제시하였다.
이렇게 제시한 모형들은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배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장 수업에서도 쓸 수 있는 모형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는 한계점과 보완해야할 점도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말하기 기능에 대한 설문 조사를 할 때, 초급 기능에 대해서만 조사하였다. 앞으로 중급과 관련된 기능도 함께 조사되어야 할 것이다.
,韩语论文题目,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