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교육용 조사 목록 선정 및 지도 방향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연구는 한국교육에서 다뤄지는 조사의 충분성 여부를 확인하고, 현재 교육되는 문법항목 목록을 보완하여 명확한 기준에 근거한 교육용 조사 목록선정하고 선정한 조사의 지도 방...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에서 다뤄지는 조사의 충분성 여부를 확인하고, 현재 교육되는 문법항목 목록을 보완하여 명확한 기준에 근거한 교육용 조사 목록을 선정하고 선정한 조사의 지도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대상은 표현과 복합조사를 제외하고 단일조사에 한하였다.
연구 방법은 한국어교육에 공시된 교육과정 2종과 교재 7종의 분석을 통해 교육내용으로서 조사가 부족함을 확인하고, 이에 실용성, 교육적 가치, 난이도를 항목 선정 및 등급화 기준으로 활용하여 교육용 조사를 선정해 등급별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등급화 기준에 따른 각 교재별 지도 방향을 제안하며 논의를 마무리하였다. 등급화 기준으로 실용성은 한국어 모어 화자의 조사 사용 빈도를, 교육적 가치는 교육과정 및 교재 중복도를, 난이도는 학습자의 오류율을 활용하여 객관적인 값으로 변환하였다. 결과적으로 총 51개의 교육용 조사를 선정하여 초급에 26개, 중급에 16개, 고급에 9개의 조사를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도출한 51개의 조사에 대한 지도 방향은 우선 부족한 교육내용을 보완하고, 보다 엄밀한 연구를 통해 조사의 의미와 기능, 사용양상을 학습자에게 제시하여 학습자가 적확하게 조사를 사용할 수 있게 해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교육내용의 보완과 더불어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지도가 이루어져야 하며, 구어와 문어의 특성이 짙게 나타나는 조사들은 각각을 구분하여 학습자에게 노출시켜야 한다. 또 유의어에 해당하는 조사는 같이, 하나의 조사의 여러 의미는 각각 나누어 제시함으로써 학습 효과를 높여야 한다.
한국어교육에서 사용할 표준문법의 제정을 위한 다양한 후속 연구들이 필요하며, 본 연구가 이에 조금이나마 이바지할 수 있길 바란다.

This research confirms sufficiency of postpositional particles which are dealt in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selects the list of postpositional particle for teaching. This list is based on accurate standards with supplementing the list of grammatica...

This research confirms sufficiency of postpositional particles which are dealt in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selects the list of postpositional particle for teaching. This list is based on accurate standards with supplementing the list of grammatical features which are using at school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suggesting instructional directions of selected postpositional particles. This research covers single postpositional particles except expressive and complex postpositional particles.
This research analyzes 7 curricula and 2 textbooks for teaching Korean language. With this analysis it is confirmed that postpositional particles are not sufficient for teaching. Using such standards of selecting items and grading as practicability, educational value and difficulty level, postpositional particles for teaching are suggested according to grading. Finally, instructional directions of each textbook according to standards of grading are suggested in this research. As grading standards practicability uses frequency of using postpositional particles by Korean native speakers, educational values use duplication rate of curricula and textbooks and difficulty level uses error rate of learners and converts it as objective value. As a result this research selects 50 postpositional particles for teaching and suggests 26 postpositional particles for beginning level, 16 postpositional particles for intermediate level and 9 postpositional particles for advanced level. The instructional directions for selected 51 postpositional particles are supplementing insufficient educational contents and providing definition, function and usage of postpositional particles to learners with more comprehensive studies. With these directions learners can use postpositional particles correctly. Along with supplementing educational contents instruction should be conducted with considering nature of learners. The postpositional particles which have distinctive features of colloquial and written language should be separated and exposed to learners. The learning effect should be enhanced by suggesting synonymic postpositional particles together and by suggesting various meanings of single postpositional particle separately.
It is necessary to conduct follow-up studies for establishing a standard grammar of teaching Korean language. This research, I hope, will show the guideline for them.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