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의 변천 과정 분석 및 향후 과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논문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한국발음 교육과 관련된 연구 내용을 수집하고 정리하여 연구 내용이 어떻게 다양화되고 발전되었는지 면밀히 분석함으로써 앞으로 한국발음 교육 ...

본 논문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한국어 발음 교육과 관련된 연구 내용을 수집하고 정리하여 연구 내용이 어떻게 다양화되고 발전되었는지 면밀히 분석함으로써 앞으로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 내용이 나아가야 할 연구 과제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Ⅱ장에서는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의 변천 과정 분석의 대상이 된 자료를 학위 논문, 단행본 및 학술지 논문으로 나누어 발행처와 저자, 논문 편수를 상세히 제시하였고, 메타분석을 활용하여 어떻게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했는지 연구절차 및 분류 기준을 기술하였다.
Ⅲ장에서는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의 내용을 연도별(주제별), 연구 유형별, 언어권별로 분류하여 면밀히 분석하였다. 먼저 연도별 동향은 발음 교육 연구 방법 및 영역의 개척기(1986∼2001)과 언어권 및 연구 주제의 다양화기(2002∼2011), 교육 방법 및 자료의 연구 확대기(2012년 이후)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연구 유형별로는 석·박사 학위 논문, 학술지 논문, 단행본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학위 논문이 329편으로 양적으로 가장 많았고, 학술지 논문 173편, 단행본 9편으로 나타났다. 언어권별로는 중국어권을 대상으로 한 논문 연구가 213편으로 가장 많았고, 범언어권 139편, 기타언어권 77편, 일본어권 56편, 영어권 24편의 순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Ⅳ장에서는 한국어 발음 교육의 목표와 지금까지 분석한 발음 교육 연구의 범위를 제시하고, 향후 발음 교육 연구가 나아가야 할 연구 과제를 제안하였다. 개별 음소 및 초분절음에 대한 연구, 현실발음에 대한 연구, 한국어 학문 목적 고급 단계의 학습자에 대한 연구, 다양한 언어권 및 학습 목적에 따른 연구, 발음 교재 및 자료 개발 연구, 발음 평가에 대한 학습자 및 교사에 대한 연구 등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가 더욱 발전할 것이다.
본 논문은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의 변천 과정을 연도별(주제별), 연구 유형별, 언어권별로 분류하여 상세히 분석하고, 이를 통해 발음 교육 연구가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앞으로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 내용이 같은 언어권을 대상으로 한 주제가 반복적으로 나오는 일이 없고, 다음 연구에서는 좀 더 양질의 발음 교육 연구가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이러한 노력은 발음 교육뿐만 아니라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이 학문적으로 더욱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opose a study assignment with the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studies. This will deal with how Korean Education can move forward into the future by thoroughly analyzing the diversified and developed content ...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opose a study assignment with the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studies. This will deal with how Korean Education can move forward into the future by thoroughly analyzing the diversified and developed content from which students can study from.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collecting and arranging of the study material related to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which is increasing all the time.
In chapter two of this I will focus on the 511 research results that are related to "teaching the pronunciation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These research pieces were all published between 1986 to Sept. 2014. The range and methods of the published material of Korean pronunci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implementing a meta-analysis.
In chapter three the will be analyzed by dividing the trends of Korean pronunciation into years(topics), study types and language areas. The trends will be divided by classifying material by time period. First the study methods of pronunciation education during the period of 1986∼2001. Second, the diversification period of study topics from 2002∼2011. Finally, the expansion period of the study on education data and methods from 2012 to the current date were examined.
In each study there were 329 graduation dissertations and theses examined. There were 173 scholarly journal s and 9 books that were issued. Although doctoral dissertations and master`s theses come later than journals and books they increased sharply in number in the 2000s. Presently, scholarly journal articles number almost two times that of dissertations and theses. In the journal articles discussions have been displayed on Korean pronunciation with the noted Roh Dae-gyu (1986) at the foremost. Journal articles come earlier than dissertations and theses originally and also tend to cover diverse and segmented themes. Books published in a single book form are less than theses in number. However, because the study results are on basic content, principles and methods of Korean pronunciation, journals will provide the stepping stones for Korean pronunciation teaching.
In each linguistic area for the study of Korean pronunciation the studies target Chinese-speaking subjects the most with 213 articles. The second largest is pan-language studies with 139. This is followed in decreasing number with 77 in various language areas, 56 in Japanese-speaking areas and finally 24 in English-speaking areas. Before 2000 the studies were aimed primarily at Japanese or English speaking areas but presently the largest volume journals is aimed at Chinese speaking areas. Recently, there has been a shift in language areas as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Arabic speaking areas which could not be seen in earlier periods.
In chapter 4 the goals and ranges of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materials that had been analyzed will be presented. The study will focus on how the future of pronunciation education studies should proceed. The study will focus on the phoneme and suprasegmental phoneme. With suprasegmental and phoneme special details can be seen pertaining to the studies of pronunciation text books, data development and how learners and teachers can evaluate their Korean pronunciation. It is with this that the study of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can be developed further.
Through this study it can be expected that the subjects of the language areas of Korea pronunciation will not come again afterwards and that the subjects will enlarge the good quality of Korean pronunciation. The effort of this thesis will create opportunities that Korean educational linguistics as a foreign language can be developed further and continue to develop into the future.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