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학 목적 KSL 학습자의 디지털 정보 리터러시 교육 모형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study aims to design the learning-instruction model and education contents of digital information literacy for foreign learners who are learning Korean language for academic purposes in Korea. Digital information literacy is an important skill...

This study aims to design the learning-instruction model and education contents of digital information literacy for foreign learners who are learning Korean language for academic purposes in Korea.
Digital information literacy is an important skill for all students in the 21st century. However, in Korea, foreigners studying Korean for academic purpose have been excluded from digital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For international students who work closely with digital information, the lack of digital information education has a negative effect on both their quality of daily life and their essential studies like digital reading or digital writing.
Therefore, in the field of educational linguistics in Korean, a more extensive discussion regarding the education of digital information literacy for foreign students is needed. This issue has been raised since 2010, but no specific
educational method has been studied so far.
This considers that constructivism theory is the best theoretical basis for the education of digital information literacy among foreign students. As a result, resource-based learning, self-directed learning, cognitive apprenticeship and connectivism are combined and altered to the basis theories of designing the instruction model for digital information literacy in this .
The instruction model in the institution is based on the theory of cognitive apprenticeship. It divided into 3 stages: rehearsal stage of modeling; instructor’s support stage of observation, coaching, and scaffolding; evaluation stage of
articulation and reflection.
In the modeling step, instructors directly demonstrate the process of searching digital information in order to equip learners to do so by themselves outside of the institution.
The learning model ouside of the institution is based on the theory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connectivism.
Based on the theory of resource-based learning, the digital information searching process is divided into 3 stages: recognizing, exploring, and assessing.
Recognizing is further divided into recognizing demand and considering sources; exploring is divided into searching, accessing, understanding, selecting, and
organizing.
Each stage of the searching process has the education contents. This selected the education contents and explained details of the strategies for digital information literacy.

연구는 한국의 유학 목적 KSL 학습자를 대상으로 국내에서 최근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이들의 디지털 정보 활용 문제를 해결하고자 디지털 정보 활용 교육 모형을 설계하고 교육 내용...

연구는 한국의 유학 목적 KSL 학습자를 대상으로 국내에서 최근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이들의 디지털 정보 활용 문제를 해결하고자 디지털 정보 활용 교육 모형을 설계하고 교육 내용을 선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디지털 정보 활용 능력은 21세기 정보화 사회의 필수 역량으로, 내외국인을 막론하고 현대인이라면 누구나 갖추어야 할 능력이다. 하지만 그동안 외국인들은 디지털 정보 교육에서 소외되어 왔다. 학업과 생활에서 디지털 정보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유학생들의 경우 디지털 정보 관련 교육의 부재는 그들의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것은 물론 디지털 텍스트 읽기나 디지털 쓰기와 같은 필수적인 학업에도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따라서 한국어학계 내에서 외국인을 위한 디지털 정보 활용 교육에 대해 보다 광범위한 논의가 필요한 실정이고, 2010년 이후 이 문제에 대해 지속적으로 논의가 제기되고 있지만 현재까지 구체적인 교육 방안이 연구된 바는 없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에서 학업과 생활을 병행하고 있는 유학생들을 유학 목적 KSL 학습자로 정의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활용 교육의 근거 이론을 구성주의 교수ㆍ학습 이론에서 찾고자 하였다.
그 결과 자원기반학습과 인지적 도제이론, 자기주도학습이라는 구성주의의 이론을 통합ㆍ변형하여 유학생들에게 적합한 디지털 정보 교육 모형을 설계할 수 있었다.
교육의 전체 과정은 인지적 도제 이론을 바탕으로 모델링(modeling)으로 대표되는 시연 단계(rehearsal step), 관찰(observation)과 코칭(coaching), 스캐폴딩(scaffolding)으로 대표되는 교수자의 도움 단계(support step), 정교화(articulation)와 반추(reflection)로 대표되는 평가 단계(evaluation step)로 나누었다.
그리고 모델링 단계에서는 학습자가 교육 기관 외부에서 디지털 정보 탐색을 주도적으로 할 수 있게끔 실제 디지털 정보 탐색 과정을 교수자가 직접 시연할 수 있게 하였다.
이 디지털 정보 탐색 과정은 자원기반학습의 이론을 응용하여 크게는 인식(recognizing)과 탐색(exploring), 평가(assessing)의 세 단계로 구분하였고, 인식(recognizing)은 요구 인식(recognizing demand)과 도구 자원 파악(considering sources)의 두 단계, 탐색은 검색(searching), 접근/이해(accessing and understanding), 선별(selecting), 정리(organizing)의 네 단계, 그리고 평가 단계(assessing)를 합쳐 총 7단계로 세분하였다.
그리고 모형의 각 단계에서 필요한 교육 내용을 선정하고 각 내용별로 필요한 디지털 정보 활용 전략에 대해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학계에서 디지털 정보 리터러시에 관해 최초로 구체적인 교육 모형을 제시하고 교육 내용을 선정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실제 교육 현장에서 실행하기 위해서는 어려움이 있으리라 예상되지만, 디지털 정보리터러시의 교육 문제는 한국어교육학계에서 더 이상 피할 수 없는 문제라는 점을 교수자들이 인식하고 디지털 정보 리터러시의 교육을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새로운 도구와 매체가 끊임없이 등장하는 21세기의 현 상황에서, 학습자들이 얼마나 능동적으로 디지털 정보를 파악하고 효과적으로 선별하여 자기화 할 수 있는가의 문제가 한국어 읽기 쓰기의 문제와 직결되기 때문이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