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구분석을 통한 필리핀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연구 : 필리핀 대학교, 아테네오 대학교, 필리핀 국제대학교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연구는 필리핀 내 대학의 한국어 교육 현황과 교육과정을 파악하고 필리핀 학습자들에게 유용한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에 필리핀 학습자에게 유용한 한국어 교육과정을...

본 연구는 필리핀 내 대학의 한국어 교육 현황과 교육과정을 파악하고 필리핀 학습자들에게 유용한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에 필리핀 학습자에게 유용한 한국어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해 학습자의 요구조사와 한국어교사, 각 기관의 학부 운영자의 의견을 수렴하여 분석한다. 요구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목적과 목표를 수립하고 교육과정을 모색하여 필리핀 학습자에게 적합한 한국어 교육과정을 개발하고자 한다.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 및 선행연구와 연구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선행연구를 통해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들과 그에 따른 필리핀 학습자에 대한 한국어 교육 관련 연구 경향과 내용을 살펴본다.
2장에서는 본 연구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개념-기능 교수요목과 국제 통용 한국어교육 표준 모형의 세부 내용에 대해 논한다.
3장에서는 필리핀의 한국어 교육현황과 한국어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필리핀 대학교, 아테네오 대학교, 필리핀 국제대학교의 한국어 교육과정 및 세부 내용을 살펴본다.
4장에서는 필리핀 대학교, 아테네오 대학교, 필리핀 국제대학교의 학습자의 요구조사 결과를 분석한다. 요구조사는 설문지로 실시되며 설문지 전반부 항목은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학습자들의 학습동기 파악과 현 한국어 교육과정에 대한 학습자의 주관적 평가로 이루어져 있으며, 후반부는‘한국어로 무엇을 하고 싶은지’에 대한 국제통용 한국어교육 표준 모형의‘기능/등급화’의 90개의 항목을 유사 기능관계, 상위-하위 기능관계로 정리한 58개의 기능항목과 10개의 한국문화 항목에 대한 학습 선호도를 조사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한국어 교사 및 학부 운영자를 통해 필리핀 학습자들의 학습 전반에 대한 반응과 앞으로의 한국어 교육 방향에 대한 질문지와 인터뷰를 통해 의견을 수렴한다.
5장에서는 4장의 요구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단계별 목적과 목표를 설정 하고 교육내용을 선정하여 필리핀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을 제시한다.
6장에서는 요구분석을 통한 필리핀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연구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연구의 의의를 밝히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마무리한다.

This study is about Korean curriculum development for Filipino learners through needs analysis. It is important to analyze the opinions of the faculty at each institution regarding Korean courses available to Filipino learners, the needs of the learne...

This study is about Korean curriculum development for Filipino learners through needs analysis. It is important to analyze the opinions of the faculty at each institution regarding Korean courses available to Filipino learners, the needs of the learners, and what teachers need to develop. This was the targeted demand research and analysis that was conducted: establishing specific goals and exploring objective based curriculum for Filipino leaners.

In chapter one, the purpose and needs in the study are presented. Also previous literatures on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study trends about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Korean learners in the Philippines are presented.
In chapter two, a notional-functional syllabus and an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for Korean language curriculum development is discussed.
In chapter three, the Philippines's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ditions and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being conducted at the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Diliman, Ateneo de Manila University, Philippine International College is examined.
In chapter four, needs assessment is conducted by questionnaire. The first half of the survey identified a learner’s motivation for the Korean curriculum development. It consists of a subjective assessment of students for the current Korean educational process. The second half,“What would you like to do with Korean?” Korean education standard model features / items of 90 graded similar function relationships, upper and lower feature relationships a reorganized in to learning preferences consists of a survey of 58 and 10 items extracted Korea culture items.
In chapter five, using the results of the needs analysis in chapter four, educational goals and purpose are established, training contents are selected, and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Philippine learners is developed.
In chapter six, the significance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development study for Philippine learners is wrapped-up and the study is concluded with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