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는 유의어휘교육, 한자어교수법 그리고 한국어 교육용 한자어 어휘선정 등에 관한 많은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이를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선행연구자들의 조사를 통하여 현재 ...
본고에서는 유의어휘교육, 한자어교수법 그리고 한국어 교육용 한자어 어휘선정 등에 관한 많은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이를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선행연구자들의 조사를 통하여 현재 중국에서 하고 있는 한국어교육 및 한국어 한자어 교육 현황을 밝혔다. 한자어 교육은 중국학습자에게 반드시 필요하다.
2장에서는 어휘교육에 관한 이론적인 지식을 제시하였다. 모국어 화자들이 L1을 확장하는 방법을 중심으로 언어학습의 시발점을 두었다. 이에 어휘의 유의어 관계 반의어 관계, 두 가지의 어휘 관계를 제시했으며 한자어 의미의 유연성과 한자어 형태의 유연성을 살펴보았다. 따라서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어휘 교육할 때도 이러한 어휘 이론을 의거해서 교육의 방향의 지표를 세워야 할 것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2.2에서는 한국 한자 어휘와 중국 한자 어휘를 비교 분석을 해 보았다.
3장에서는 한국어 교육용 한자어를 선정하기 위해 조현용(2000), 조남호(2003), 교육과정평가원(2008), 배주채(2010), 강현화(2013) 다섯 개 근거 자료를 정했다. 한국 대학에서 사용하고 있는 초급 한국어 교재 4권과 중국대학교에서 사용 중인 초급 한국어 교재 4권 모두 8권을 선정하였다. 이 모든 자료에 등장한 어휘를 가지고 빈도수를 중심으로 대조 분석을 하였다. 한국어 연구자들이 쓴 5가지 자료 중에서 5회 빈도를 가진 어휘 수는 160개, 대학교 한국어 교재 중에서 5회 이상의 빈도를 가진 어휘 수는 116개로 정리할 수 있었다. 이상의 두 가지 어휘 목록을 최종적으로 비교하여 추출한 한자어 어휘는 모두 197개였고, 이를 중국 내 한국어 학습자들이 학습해야 할 기초 한자어휘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선정된 어휘를 주제(10개 주제: 숫자 및 단위, 시간, 개인정보, 사물, 장소 및 위치, 음식, 표현 및 기타, 교통, 학업, 취미 )별과 형태별( "동형동의어", "동형이의어", "이형동의어")로 다시 분류하였다.
4장에서는 3장에서 주제별로 분류한 결과에 따라 주1회 모두 10주 교육과정을 제시했으며 그중에서 1주차(주제는 개인정보이다) 수업을 선택해서 한국어 한자어 교육용 수업지도안을 제시했다.
이상으로 본고에서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중 한자어 교육을 위한 어휘 선정 및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용 한자어를 선정하여 선정된 어휘 목록을 다시 주제별로 분류하고, 한국 한자어 및 중국 한자어를 비교분석을 통해 실제 한자어 교육 방안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이는 보다 더 질이 높은 한국 한자어 어휘를 교육할 경우 중국인 한국어 학생에게 도움이 될 것이며, 그들이 한자어학습 시에 발생될 수 있는 어려움을 감소시켜 줄 수 있을 것을 기대할 수 있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