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배제 경험 : 기혼 북한이탈여성과 결혼이주여성의 비교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study aims to provide an analysis of the social exclusion experienced by North Korean defectors and marriage immigrants during their assimilation to Korean societ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and six...

This study aims to provide an analysis of the social exclusion experienced by North Korean defectors and marriage immigrants during their assimilation to Korean societ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and six female marriage immigrants, all of whom have resided in Korea for more than six years. The interviews focused on the social exclusion experienced by these women, and the resul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economic exclusion, sociocultural exclusion, and institutional exclusion. First, analysis of the economic exclusion experienced by these women showed that their financial conditions had improved since arriving in Korea, though their current standards of living were not necessarily as high as what they had expected before arrival. Members of both groups mentioned the difficulty of entering the skilled labor market in Korea, citing reasons such as the lack of recognition of their skills, educational background, and work experience. The second category, sociocultural exclusion, was the type of exclusion felt most heavily by both groups. Both the North Korean defectors and marriage immigrants felt that Koreans viewed them as foreigners, as strangers who were not necessarily in Korea to stay. Members of the marriage immigrant group felt that many Koreans regarded them as people who had come to Korea solely for financial reasons. On the other hand, the North Korean defectors mentioned persistent stereotypes that lead to their being viewed as people with abnormal thinking patterns for whom an ordinary lifestyle is difficult. Both groups remarked on the role played by the media, which often exaggerate support policies and provide distorted portrayals that cause unnecessary misunderstandings. Opposing results were seen in terms of language: while the marriage immigrant group viewed Korean language acquisition as a necessary tool to accelerate their assimilation to Korean society, the North Korean group felt that their linguistic habits led to discrimination and therefore needed to be adjusted. Finally, aspects of institutional exclusion (such as exclusion from public services and deprivation of rights to political participation) were not clearly seen; however, problems in institutional systems regarding education and work opportunities were mentioned as significant issues. Neither group seemed to fully understand the emphasis on private education among Korean families, and had become passive observers regarding their children’s education. Most members of both groups shared the tendency of their children to conceal their background amongst their peers. This study aims to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marriage immigrants, and points to the need for the establishment of more specific policies regarding these two groups. The influx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marriage immigrants is a fairly recent phenomenon, continuing to increase since 2000, so it may be difficult to expect an organized structure aimed at full social integration to be achieved quickly; however, this study provides a realistic background of two groups that have experienced social exclusion in Korea, and suggests the need for fuller integration methods.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과 결혼이주여성이 한국 사회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겪는 문제점을 사회적 배제의 틀로 분석하였다. 한국에 정착한지 6년 이상 된 북한이탈여성결혼이주여성 각각...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과 결혼이주여성이 한국 사회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겪는 문제점을 사회적 배제의 틀로 분석하였다. 한국에 정착한지 6년 이상 된 북한이탈여성과 결혼이주여성 각각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이들이 한국 사회의 정착의 과정에서 어떠한 사회적 배제를 경험하는 지 경제적 배제와 사회문화적 배제, 제도적 배제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경제적 배제 분석 결과 이들은 이주 이전에 기대하였던 경제적 수준에 미치지는 못하지만 이주 이전의 생활에 비해 개선된 경제적 여건을 느끼고 있었다. 하지만 두 집단 모두 질 좋은 노동시장으로의 진입장벽이 높다고 느끼고 있었다. 그 이유는 한국사회가 이들을 질 좋은 일자리를 가질 만 한 능력이 부족하다고 여기거나, 이들의 과거 학력이나 경력 등을 제대로 인정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였다. 가장 뚜렷하게 나타나는 배제의 양상은 사회문화적 배제이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한국인들이 자신들을 언제든지 한국을 떠날 수 있는 사람들로 인식한다고 생각했다. 결혼이주여성에 대해서는 돈을 보고 한국으로 온 사람들로 취급하는 반면, 북한이탈여성에 대해서는 ‘완전히 비정상적인 생활과 사고를 하다가 한국으로 온 사람들’로 인식되고 있거나, ‘정상적인 방법으로 잘 사는 것은 어려운 사람들’로 오해를 받는 것에서 비롯된다고 생각하였다. 또한 북한이탈주민과 결혼이주여성은 이들에 대한 지원이 많은 것처럼 포장된 정책홍보로 인해 불필요한 오해를 받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미디어에서 이들을 다루는 것에 있어서 왜곡이 크다고 지적하였다. 언어의 경우 두 집단이 느끼는 언어는 완전히 다른 양상을 보였다. 결혼이주여성은 한국어의 습득이 사회적응을 위한 촉진 요소로 작용하여 한국어에 익숙해질수록 한국사회 적응이 높아질 것이라고 기대하는 반면, 북한이탈여성은 자신들의 언어습관이 차별을 만들어 내는 사회적 위계의 요인으로 작용하며, 기존의 언어습관을 고쳐야만 한다는 강요를 느끼고 있었다. 제도적 배제에서 사회참여의 기회 즉, 공공서비스로 부터의 배제나 정치적 참여기회의 박탈은 분명하게 드러나지 않는다. 다만 취업과 관련된 제도적 장치가 부족하다고 주장하였으며, 교육제도와 관련된 문제는 다소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사교육이 중심이 된 한국의 교육현실을 이해하지 못하며 자녀교육과 관련해 두 집단 모두 소극적인 방관자로 전락한 상태였다. 이 두 집단은 대체적으로 아이가 북한이탈주민 가족이거나 다문화가족 출신임을 숨기려고 하는 경향을 보인다는 측면에서 유사성을 보인다. 이 논문은 북한이탈여성과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들에 대한 정책이 보다 정교하게 수립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사회적 배제라는 틀로 이 두 집단의 경험을 살펴봄으로써 사회통합에 대한 접근을 다원화 할 수 있었고, 사회에서 배제되었다고 느끼는 집단의 경험과 그 이유의 맥락을 좀 더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韩语论文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